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402

파주여행, 임진각에서 분단의 비극 너머 평화를 염원하다 파주 임진각에서 분단의 비극 너머 평화를 염원하다 글·사진 남상학 분단의 비극을 말할 때 우리는 쉽게 파주를 먼저 떠올린다. 그 이유는 파주의 판문점과 임진각 때문이다. 판문점은 정전협정 조인 장소이며, 정전협정 이후 유엔군과 북한군의 공동경비구역으로 지정된 곳이며, 군사분계선에서 7km 남쪽으로 임진강을 사이에 두고 위치한 임진각은 6.25 전쟁의 비극이 그대로 남아 있는 대한민국 대표 평화관광지이다. 여기에 만약 북한군이 다시 불법 남침을 시도할 경우 파주는 지리적으로 서울로 진입할 수 있는 최단 거리라는 점에서 남북 갈등이 있을 때마다 이슈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파주시 평화누리길 평화누리길은 2010년 5월 8일 개장된 DMZ 접경지역인 김포시, 고양시, 파주시, 연천군 등 4개의 시·군을 잇는 .. 2024. 2. 12.
김포 여행, 서울의 관문이자 전략적 요충지 김포여행 서울의 관문이자 전략적 요충지 글·사진 남상학 김포는 지리적으로 서쪽으로 염하를 사에 두고 강화도와 접해 있으며, 한강 · 예성강 · 임진강의 하구에 속한 지역으로 서울의 관문으로 국가의 요충지 역할을 해 왔으며, 지금은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북한의 개풍군과 접하고 있어서 항상 경계의 끈을 늦출 수 없고 민간인 통제구역이 많아 일부 주민들이 불편을 겪는 지역이다. 그러나 드넓게 펼쳐진 김포평야와 수도 서울에 인접한 이점을 살려 크게 발전하고 있다. 김포 평화누리길 김포 평화누리길은 DMZ 접경지역인 김포에 조성된 걷기 길로 2010년 5월 8일 개장하였다. 이후 김포를 시작으로 고양, 파주, 연천의 경기지역으로 확대되면서 경기 평화누리길이라고 명명된 한국의 최북단 걷는 길이 완성되었다. 김포.. 2024. 2. 11.
강화도, 섬 전체가 박물관인 섬 강화도 여행 섬 전체가 박물관인 섬 글·사진 남상학 강화도는 섬 전체가 박물관이다. 하늘이 열린 땅, 마니산 참성단으로부터 160여 기에 이르는 선사시대 고인돌 유적, 몽골족의 침입에 맞서 싸운 대몽항쟁의 중심인 '고려궁지', 부처의 힘을 빌어 나라와 백성의 평안을 바란 '팔만대장경', 왜란과 호란을 겪으며 왕실의 피난처로서 곳곳에 '5전 7보 53돈대, 영원한 제국을 꿈꾼 정조대왕이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하기 위해 설립한 외규장각 등이 이곳 강화에 있다. 그리고 조선 시대 병자호란과 구한말 서구 열강의 빈번한 외침에 맞서 고군분투했던 강화도는 한 마디로 국방의 보루였다. 강화도는 그야말로 살아 있는 역사박물관인 셈이다. 그런가 하면, 드넓은 갯벌과 해안 풍경, 그리고 낙조의 아름다움까지, 강화가 품고 .. 2024. 2. 10.
교동도, 실향민의 애환이 짙게 밴 섬 교동도 실향민의 애환이 짙게 밴 섬, 교동도 글·사진 남상학 교동도는 강화군 북서쪽에 있는 섬이다. 2014년 7월 교동대교가 개통되기 전까지 교동도는 고립된 섬이나 다름없었다. 북한이 바로 보이는 최전방 접경지역이어서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안쪽에 있는 섬이기 때문이다. 육지의 군사분계선(MDL)은 철조망으로 나뉘어 있지만, 이곳 중립 수역에는 바다 위로 보이지 않는 철책이 흐른다. 지금도 교동도 주민이 아닌 외지인은 교동대교 입구의 해병대 검문소에서 출입증을 받은 후에야 다리를 건널 수 있고, 야간(오후 8시~오전 6시)에는 통행할 수 없다. 해안선 37.5km 중 25.5km가 철책선 교동도는 우리나라에서 열두 번째로 큰 섬이다. 북쪽으로 북한의 황해도 연안군, 배천군과 마주하고 있어.. 2024. 2. 8.
비무장지대( DMZ), 피로 얼룩진 공존과 평화의 땅 비무장지대 ( DMZ) 피로 얼룩진 공존과 평화의 땅 글 · 남상학    한반도의 근현대 역사는 강대국의 힘의 대결에 얼룩진 아픔의 기록이다.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의 기쁨을 맛본 것도 잠시, 국토는 38선을 기준으로 소련과 미국 관할로 분할되었다. 당시만 해도 독립 국가 설립의 과정으로 간주했으나, 이후 6·25전쟁의 포화는 결국 한반도의 허리를 휴전선으로 갈라놓았다.  1953년 7월, ‘한국휴전협정’에 의하여 임진강에서 동해안까지 총 1292개의 말뚝을 박았다. 이를 기반으로 약 248㎞에 걸쳐 가상의 선을 군사분계선(MDL)으로 정한 다음, 남북으로 각각 2㎞ 범위를 완충지대로 하여 비무장지대를 설정했다.  그 결과 휴전선은 서쪽의 예성강과 한강 어귀의 낙도인 교동도에서부터 개성 남방의 판문점을 .. 2024. 1. 25.
리움미술관, 교과서에 등장하는 국보급 문화재 즐비 리움미술관 교과서에 등장하는 국보급 문화재 즐비 글·사진 남상학 ▲백자 대호, 국보 제262호 (3층 전시실에서 촬영) 조선 후기인 18세기에 만든 순백자로 '달항아리'라고도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백자에 비해, 장독을 떠올리게 할 정도로 크다. 현재 전 세계에 20여 점만 남아있다. 무늬 한 점 없는 담백한 모습이 '한국의 미'를 잘 나타낸다. 리움미술관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한남동 747-18)에 있는 국내 최대의 사설미술관이다. 일찍이 삼성문화재단은 1965년 설립 이래로 한국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이바지해 왔다. 삼성그룹 창립자 고(故) 호암 이병철 회장은 고미술품에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한국의 문화재와 미술품을 수집했다. 이를 기반으로 호암미술관과 호암갤러리, 로댕갤러리를 운영해.. 2024. 1. 8.
사육신묘·사육신역사공원, 충절의 표상 사육신을 기리는 실천 도량 사육신묘 · 사육신역사공원 충절의 표상 사육신(死六臣)을 기리는 실천 도량 글·사진 남상학 조선의 6대 임금인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 1456년(세조 2) 목숨을 바친 6명의 신하 사육신의 묘가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있다. 한강 인도교와 노량진역 중간의 높은 언덕에 자리한 사육신묘는 1972년 5월 25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 사육신공원 입구 쪽 담벼락에 시 한 편이 적혀 있다. “수양대군이 불러온 피바람 / 그렇지만 세조의 피바람 뒤에 / 우리는 의(義)를 알았다. / 사육신이 죽지 않았던들 / 우리가 '의'를 알았겠는가 / 이것도 고난의 뜻이지 않을까 / '고난' 뒤에는 배울 것이 있다.” (함석헌 선생 중에서) 사육신의 죽음이 의로운 죽음이었음을 일깨우는 글이다. 당대의.. 2024. 1. 6.
짚풀생활사박물관, 짚풀로 만들어진 생활 유물 전시 및 체험 활동 짚풀생활사박물관 짚풀로 만들어진 생활 유물 전시 및 체험 활동 글·사진 남상학 종로구 명륜동에 자리 잡은 짚풀생활사박물관을 찾았다. 짚풀이란 “모든 알곡의 이삭을 떨어낸 줄기가 있는 풀, 갈대, 밀, 벼, 삼대, 띠, 칡, 싸리, 댕댕이, 자오락, 부들, 순비기 따위를 통틀어 일컫는다. 짚과 풀은 인류의 기원부터 우리 조상들의 의식주(衣食住)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함께했다. 그뿐만 아니다. 출산, 혼례, 상례 등의 생활의례, 민속놀이와 신앙 등의 삶과도 밀접한 관련이 맺고 있었다. 또한, 짚풀은 초가지붕, 아궁이의 연료, 가축의 사료, 농사에 쓰이는 거름 등 활용도가 높고 광범위했다. 따라서 우리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집풀문화가 형성되었고, 우리 조상들은 땅에서 자란 짚풀을 인간의 생활에 요긴하게 .. 2024. 1. 5.
봉은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심 속 천년 고찰 봉은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심 속 천년 고찰 글·사진 남상학 ▲길가에 선 일주문, 그 뒤로 사천왕상이 있는 진여문이 보인다. 봉은사는 서울의 중심지인 강남구 삼성동에 자리 잡은 천년고찰이다. 통일신라 시대(794년) 연회국사(緣會國師)가 창건하여 견성사(見性寺)라고 하였으나, 이후 1498년 성종의 계비 정현왕후가 성종의 능(선릉) 동편에 있던 이 절을 크게 중창하고 절 이름을 봉은사(奉恩寺)로 바꿨다. 1501년(연산군 7)에는 나라에서 절에 왕패(王牌)를 하사하였다. ▲봉은사에 대한 설명판 1548년(명종 3)에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명으로 보우(普雨)가 주지로 머물고, 1550년(명종 5)에 선교양종(禪敎兩宗)이 부활될 때 선종의 본사가 되고, 1560년에 보우가 다시 주지로 취임하여 지금의 터로.. 2023. 12. 28.
인천 국제성서박물관, 전 세계의 성경과 성경 관련 역사 자료 가득 인천 국제성서박물관 전 세계의 성경과 성경 관련 역사 자료 가득 글·사진 남상학 전 세계의 성경과 성경 관련 역사 자료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박물관이 인천에 들어섰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에 자리한 국제성서박물관이 그것이다. 국제성서박물관은 주안감리교회 담임 목사였던 (故) 한경수 감독이 평생 수집한 유물과 미국의 성경수집가 데이비드 웨이크필드(David Wakefield, 1924~1993)의 기증품을 기반으로 1995년 4월 30일 인천주안감리교회에서 개관했다. 국제성서박물관에는 유럽, 중동, 북미, 아시아, 아프리카 작지에서 수집한 중세시대 필사본 성서, 금속활자본, 한국어 번역 초기 성경 15,000여 점의 성경과 기독교 관련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이 중에는 중세 시대 양피지.. 2023. 12. 27.
제주 함덕해수욕장과 서우봉, 모든 조건이 잘 갖춰진 사계절 관광지 제주 함덕해수욕장과 서우봉 모든 조건이 잘 갖춰진 사계절 관광지 글·사진 남상학 제주도 서쪽에 협재해수욕장이 있다면, 동쪽에는 함덕해수욕장이 있다. 함덕해수욕장은 제주시에서 동쪽으로 14km,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에 있다. 함덕이라는 지명은 함 씨가 놓은 돌다리인 ‘함다리’를 한자화하면서 넓은 바위를 의미하는 덕(德) 자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눈부신 모래밭과 맑은 에메랄드빛의 바다, 검은 현무암 위에 가로 놓여 있는 아치형 구름다리, 빨간 등대, 야자수 등이 잘 어우러지면서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하여 ‘한국의 몰디브’라는 별칭이 있다. 제주도에서도 바다색이 예쁜 해변으로 손꼽힌다. 하얀 백사장, 맑은 물의 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은 하얀 백사장, 낮은 수심, 거세지 않은 파도, 유달리 맑은 물.. 2023. 12. 21.
귤을 수확하며 경험하는 ‘나눔의 기쁨’, 제주 동생네 귤 농원에서의 2주간 귤을 수확하며 경험하는 ‘나눔의 기쁨’ 제주 동생네 귤 농원에서의 2주간 글·사진 남상학     막냇동생 내외가 제주도에 정착한 지 몇 년이 지났다. 평생 연구와 교육에 매진하던 동생으로선 귤 농장을 관리한다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전문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데다 친환경 농업을 고집하기 때문이다.  수확이 끝나면 새로운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가지치기를 한다. 가지치기는 웃자란 가지를 제거하여 영양의 낭비를 막고 공기 순환과 햇빛 침투에 도움을 주므로 필수적이다. 이 작업은 봄이 될 때까지 틈틈이 계속된다. 나아가 다음 해 알찬 열매를 거두려면 친환경 거름도 해야 한다.  봄이 되어 새잎이 돋고, 한참 성장할 때쯤에는 잡초와의 싸움이 시작된다. 어디 그뿐인가? 사정없이 달려드는 해충과 질병에 대.. 2023. 12. 19.
제부도 맛집 · 전곡항 맛집 · 궁평항 맛집 (경기 화성 서신면) 경기 화성 맛집 (2) : 서신면 제부도 맛집 · 전곡항 맛집 · 궁평항 맛집 (서신면) 매바위횟집 (명품 스페셜 세트, 광어/우럭/ 놀래미/도미/농어회, 산우럭매운탕, 조개해물탕, 연포탕) : 서신면 제부리, 031-356-8477, 주차가능 석구네횟집 (산모듬회정식, 도미/농어/우럭회, 산우럭매운탕, 해물칼국수) : 서신면 제부리 190-118, 031-357-2458, 주차가능 조개들의 입맞춤 (조개찜, 모둠조개구이, 쭈꾸미철판구이, 연포탕) : 서신면 제부리 190-93, 031-357-6157, 주차가능 양지치즈조개구이활어회 (모듬해산물 세트, 생우럭 매운탕, 낙지. 쭈꾸미, 연포탕) : 서신면 제부리 290-42, 031-357-6784, 주차가능 대박났네 (해산물요리한상, 광어,우럭회, 매운.. 2023. 12. 18.
묵호 볼거리, 도째비골 스카이밸리와 묵호 등대, 그리고 이야기가 있는 논골담길 묵호 볼거리 도째비골 스카이밸리와 묵호 등대, 그리고 이야기가 있는 논골담길 글·사진 남상학 해가 떠오르는 고장 동해는 1980년 삼척군 북평읍과 명주군 묵호읍이 통합되며 신설된 도시다. 묵호항은 태백 산간지방의 탄광개발과 더불어 성장한 항만으로 지금은 동해항의 보조항만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정기여객선으로 울릉도와 독도를 연결하는 관광항로가 개설되어 있다. 송구영신의 시기가 다가오면 전국에서 수많은 사람이 모여든다. 최근 동해의 여러 관광지 가운데 2021년 6월 묵호등대와 월소택지 사이 도째비골에 조성된 스카이밸리와 해랑전망대가 눈길을 끈다. 도째비는 도깨비의 강원도 방언이다. 이곳에 전해 내려오는 도깨비 전설을 바탕으로 꾸몄다. 도째비골스카이밸리는 높이 59m 스카이워크, 도째비골해랑전망대는 길이 8.. 2023. 12. 15.
동해 추암 촛대바위, 파도와 바람이 빚은 바닷가 바위 숲과 해안 절벽 동해 추암 촛대바위 파도와 바람이 빚은 바닷가 바위 숲과 해안 절벽 글·사진 남상학 여행 3일차, 쏠비치삼척에서 단잠을 깼다. 커튼을 여니, 구름 속에서 붉은 해가 솟고 있었다. 늘 느끼는 것이지만, 동해에서 솟는 해는 유난히 감상을 자극하는 힘이 있다. 어제 초곡 촛대바위를 보았으니, 오늘은 동해의 추암(湫岩)을 찾아갈 예정이다. 바다에서 솟아오른 형상의 바위 그 모양이 촛대와 같아 촛대바위라 불리는 이곳, 해안의 바위 사이에서 뾰족하게 솟은 촛대바위는 촛대라는 비유가 꼭 들어맞는다. 촛대바위로 오래전부터 알려진 이곳의 촛대바위는 여러 촛대바위 중에서 원조격이다. 지질학에서 시스택(sea stack)이라 일컫는 지형이다. 파도의 침식이 만든 예술품인 셈이다. ▲추암 앞바다로 솟는해 추암의 명물, 촛대바.. 2023. 12. 14.
초곡 용굴촛대바위길, 기암괴석이 즐비한 초곡 해안의 절경 초곡 용굴촛대바위길 기암괴석이 즐비한 초곡 해안의 절경 글·사진 남상학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초곡리는 마라토너 황영조 선수가 태어나 자란 동네다. 조그마한 해변 마을에 생가가 있고, 마을 언덕에 황영조기념공원이 있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 후 마을 앞 초곡항 오른쪽 해안의 절경을 감상할 수 있는 초곡 용굴 촛대바위 길이 조성되면서 더욱 활기를 띠고 있다. 주차장은 마을 앞 바로 해안가에 있다. 방파제로 둘러싼 작은 포구엔 어선 몇 척 정박하여 있고, 갓 잡아 온 생선을 말리는 풍경이 영락없는 어촌풍경이다. 늘어선 식당 앞을 지나면 방파제 초입에 우람하게 초곡 용굴 촛대바위길 입구가 보인다. 본래 강원도 삼척시 초곡 해안은 동해의 ‘해금강’으로 불릴 정도로 수려한 자연경관을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 2023. 12. 13.
죽변항, 죽변 등대공원과 죽변 해안 스카이레일 죽변항 죽변 등대공원과 죽변 해안 스카이레일 글·사진 남상학 죽변항은 경북 울진군의 북단, 죽변면 죽변리에 있는 어항이다. 남쪽의 후포항과 함께 울진을 대표하는 어항이다. 북쪽으로 강원도 삼척시와 인접하고 울릉·독도와 최단 거리에 있는 울진군의 북쪽 관문이자, 동해안 최고의 어업 전진기지다. 1995년 국가 어항으로 지정되었으며, 오징어, 꽁치, 가자미 등이 많이 잡히며, 특히 울진 대게가 유명하다. 대게는 몸통에서 뻗어 나간 게의 다리 모양이 대나무처럼 생겼다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지역주민들은 죽변이 대나무가 많이 자라는 지역이고, 대게의 이름 ‘대’는 대나무에서 따온 것이므로 '대게의 원조는 바로 죽변'(?)이라고 주장한다. 죽변 등대공원 죽변항은 예부터 군사상 중요한 위치에 속했기에 왜구가 자주 .. 2023. 12. 13.
울진 망양정(望洋亭), 일찍이 시인 묵객들이 앞다투어 노래한 그곳 울진 망양정(望洋亭) 일찍이 시인 묵객들이 앞다투어 노래한 그곳 글·사진 남상학 망양정은 울진군 근남면 산포리 761-1번지 언덕 위에 있다. 동쪽으로는 망양정 해수욕장 푸른 바다가 가없이 펼쳐지고, 북쪽으로는 왕피천이 흐르는 절경지다. 망양해수욕장이 근처에 있다. 망양정은 이름 그대로 바다를 바라보기 딱 좋은 자리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구조의 망양정에 오르면, 동해의 망망대해와 하늘이 막힘없이 열린다, 그야말로 일망무제(一望無際)다. 이전(移轉)을 거듭한 망양정 망양정은 본래 고려 시대에 기성면 망양리 해변언덕에 세워졌으나 오랜 세월이 흘러 허물어졌다. 그 뒤 조선 시대인 1471년(성종 2) 평해 군수 채신보(蔡申保)가 현종산 남쪽 기슭으로 이전, 수축하였다. 옛 지도를 보면,.. 2023. 12. 12.
울진 후포항, 등기산(등대)공원과 아찔한 등기산 스카이워크 울진 후포항 등기산(등대)공원과 아찔한 등기산 스카이워크 글·사진 남상학 청송에서 빠져나와 동해로 방향을 틀어 후포항으로 달렸다. 경북 울진군의 명소인 후포 등기산(등대)공원은 후포항의 끝자락에 있다. 땀과 더위를 식혀주는 여름 바다도 매력 있지만 특별한 맛과 멋이 넘치는 겨울 바다는 색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후포항은 소박한 항구이지만 후도등대를 중심으로 꾸민 등기산공원을 비롯하여 등기산스카이워크가 들어서 있다. 인기 예능 프로그램 에 나오면서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덕분에 이를 주제로 벽화마을도 꾸몄다. 앞서 이곳에서 촬영한 드라마 , 누군가의 추억 속에 남았을 따스한 고향 풍경이 낡은 담벼락을 가득 채우고 있다. ▲공원 안내도 ▲등기산공원 위 정자 남호정 등기산(등대)공원 바다에서 튀어 올라 우뚝 .. 2023. 12. 12.
청송 주산지 : 산으로 병풍을 두른 저수지, 그 물속에 자생하는 왕버들 청송 주산지 산으로 병풍을 두른 저수지, 그 물속에 자생하는 왕버들 글·사진 남상학 주왕산 용추협곡을 들러본 뒤에 주산지(注山池)로 향했다. 주산지는 경북 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리 73에 있다. 길 양쪽으로는 청송 사과단지다. 몇 년 전 가을 이곳을 지나다가 사과 한 상자를 사서 맛있게 먹었던 기억이 새롭다. 나는 육질이 단단하고 당도와 산미가 뛰어난 청송 사과를 좋아한다. 주산지 주차장에 도착하여 차에서 내리면 사과장수 아주머니들이 사과를 깎아주며 맛을 보라고 한다. 군밤장수 아저씨도 있다. 군밤 한 봉지 사 들고 오른다, 주차장에서부터 주차장까지는 1㎞의 협곡을 걸어가야 한다. (15분 거리) 길은 약간 오르막이지만 평탄하여 어렵지 않다. 말끔하게 정리된 길이다. 계곡에는 키 큰 낙엽송들이 잎을 떨군.. 2023. 12. 2.
청송 주왕산, 수많은 암봉과 기암괴석 그리고 수려한 계곡 청송 주왕산 수많은 암봉과 기암괴석, 그리고 수려한 계곡 글·사진 남상학 주왕산(720.6m)은 한반도 백두대간의 등줄기인 태백산맥이 국토 동남부로 뻗어 나온 줄기에 자리 잡고 있다. 수많은 암봉과 깊고 수려한 계곡이 빚어내는 절경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 3대 암산의 하나이다. 1976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북쪽에는 설악산과 오대산, 남쪽에는 경주, 서쪽에는 속리산과 덕유산 등의 국립공원이 인접해 있으며, 태행산, 두수람, 가메봉 등의 봉우리 외에도 주방계곡, 절골계곡, 월외계곡, 주산지 등이 산재하여 있다. 주왕산은 아름다운 계류와 죽순처럼 솟아오른 암봉 및 기암괴석에다 울창한 송림이 한데 어우러져 한 폭의 산수화 같은 절경을 이루고 있다. 대전사에서 계류를 끼고 올라가는 좌우로 우람하게 치솟은 .. 2023. 12. 2.
한 시간 달려가 만나는 하나개해수욕장 해상관광로 한 시간 달려가 만나는 하나개해수욕장 해상관광로 글·사진 남상학 어느 가을, 미국에 이민 간 친구가 30년 만에 모국방문차 한국에 와서 옛 친구들과 함께 용유도로 나들이를 떠났다. 수도권에서 가장 가까운 바다이면서 젊은 시절 을왕리해수욕장의 추억이 깃든 곳이기에 선택된 곳이었다. 먼저 을왕리해수욕장을 둘러본 뒤, 우리가 찾아간 곳은 무의도에 있는 하나개해수욕장, 용유도에서 다리로 연결된 무의도 하나개해수욕장의 해상관광로를 걸어보기 위해서였다. 이 관광로는 왼쪽 해안을 따라 총 길이 850m로 원점회귀형 데크로 되어 있다. 본래 ‘무의도에서 가장 큰 갯벌’이라는 뜻의 하나개해수욕장은 1km 길이의 해변에 밀가루처럼 고운 입자의 모래가 깔려 있어 해수욕이다. 해수욕 외에도 드넓은 갯벌에서의 조개잡이, 바다낚.. 2023. 11. 26.
박선주 · 김진아(지나) 작가의 ‘팔레트 Palette 展’ 박선주 · 김진아(지나) 작가의 ‘팔레트 Palette 展’ ►일시 : 2023.11. 14~ 12 : 31 ►장소 : 문화실험공간 ‘호수’ (문의 02-3431-9784)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 서호에서 롯대호텔 쪽으로 나오는 길목, ‘문화실험공간 호수’가 있다. 이곳 2층에서는 ‘팔레트 Palette 展’이 열리고 있었다. 팔레트 전? 미술도구를 전시한다고? 궁금하여 들어가 보았다. 이 전시는 그림물감을 담아놓는 도구가 아니라 작가만이 사용하는 고유의 색깔이 묻어 있어 이를 표현하는 장치, 곧 디지털 드로잉을 활용한 새로운 미술 장르를 뜻하는 것이었다. ‘팔레트 Palette展’은 디지털 드로잉 작업을 주로 하는 박선주, 김진아(지나) 2인의 작품전, 이들은 송파구에서 장래성 있는 청년예술인을 선발하는.. 2023. 11. 25.
늦가을 석촌호수 산책 늦가을 석촌호수 산책 글·사진 남상학 11월 하순, 겨울로 접어드는 송파나루공원(석촌호수)을 찾았다. 잠실 부근에 갈 때 가끔 찾는 곳이다. 이곳 석촌호수는 도심 속의 호수라는 점에서 매력을 지닌 곳이다. 1970년 한강 본줄기를 메우면서 내륙 인공호수가 조성된 곳. 현재의 석촌호수 북쪽 잠실벌은 옛 한강 변 송파나루가 있던 한강 본류였다. 당시 이곳 송파나루는 교통이 좋아서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던 나루터였다고 한다. 이 인공호수는 송파대로가 개통하면서 송파대로 좌우로 동호, 서호로 나누어졌고, 호수 주변을 새롭게 단장하고 1981년 12월 이상적인 형태의 석촌호수공원이란 이름을 얻었다. 나는 지하철 2호선 잠실역 2번 출구로 나와 롯데월드타워 방향으로 걸었다. 123층 국내 최고의 롯데타워는 한국 전.. 2023. 11. 23.
조선빈티지회원전, 五人五色으로 빛나는 ‘오색찬란’전 조선빈티지 회원전 五人五色으로 빛나는 ‘오색찬란’전 운현궁에 들렀다가 우연히 운현궁 기획전시실에서 조선빈티지 회원전인 오인 오색(五人五色)으로 빛나는 을 관람했다. 이 전시회에 참가한 이들은 정모원, 박세희, 진은주, 이태현, 이종현 등 5인으로 모두 자수를 좋아하는 동호인들이라고 했다. 자수에 문외한인 눈으로 보아도 전시된 작품 하나하나가 매우 섬세하고 치밀한 것으로 보아 매우 숙련된 솜씨임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실의 꼬임과 굵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사물의 질감과 입체감·원근감 등을 살렸다. 작품 완성하느라 기울인 정성과 인내를 짐작하게 했다. 전시는 2023년 11월 14(화)부터 11월 19일 (일)까지이며,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다. 무료 ▲ personal color w.. 2023. 11. 15.
운현궁, 흥선대원군의 정치 활동 근거지 운현궁 흥선대원군의 정치 활동 근거지 글·사진 남상학 종로에 나간 김에 오랜만에 운현궁(雲峴宮)에 들렀다. 서울 한복판(종로구 운니동)에 있는 운현궁에는 고즈넉한 옛 정취와 함께 늦가을 햇볕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았다. 운현궁은 조선 고종(高宗, 재위 1863~1907)의 아버지 이하응(李昰應)의 사저(私邸)였으며, 제26대 임금인 고종이 출생하여 12세 왕위에 오르기 전까지 살던 잠저(潛邸)이다. ‘잠저’는 왕이 즉위하기 전에 거주하던 집을 가리키는 말로, 이는 『주역』의 “잠룡(潛龍: 덕을 닦으며 숨어 사는 성인 혹은 영웅)이라는 말에서 유래하였다. 조선의 태조·중종·인조·선조·철종·고종 등 왕족이나 왕자가 아니었던 이들이 혁명·반정·추대 등의 방법으로 왕이 되었거나, 세조·효종·영조 등.. 2023. 11. 15.
한글비근린공원의 한글 고비(옛 비석), 이곳에 16세기 한글로 기록된 묘비(墓碑)가 있다고? 한글비근린공원의 한글 고비(옛 비석) 이곳에 16세기 한글로 기록된 묘비(墓碑)가 있다고? 글·사진 남상학 ▲한글비근린공원임을 알려주는 표지석 한글과 관련하여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서울 노원구에 한글비 근린공원이 있다고 하여 단숨에 달려갔다. 공원이름에 ‘한글비’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것이 매우 흥미로웠기 때문이다. 한글비근린공원은 서울 노원구 하계동 288-2에 있다. 중계역 3번 출구로 나가 서라벌고등학교 쪽으로 10분 남짓 올라가면 서라벌고등학교 못미처 닿게 된다. 한글비근린공원은 그리 넓지 않으나 조경 시설이 인근의 학교나 아파트와 잘 어우러져 있어 공원에 들어설 때부터 친근하게 다가온다. 언제라도 동네 사람들이 찾아와 잘 다듬어진 잔디밭, 길게 늘어진 산책로, 그 누구와도 같이 앉아 얘기할.. 2023. 11. 11.
제주도 맛집 (7) : 대정 맛집 · 안덕 맛집 · 가파도 맛집 · 마라도 맛집 제주도 맛집 (7) 안덕 맛집 · 대정 맛집 · 가파도 맛집 · 마라도 맛집 ►안덕 사계리 맛집 순천미향 (제주 왕은갈치조림, 제주삼합, 순살 은갈치조림, 성게미역국, 고등어구이, 전복해물뚝배기) : 안덕면 사계리 163-6, 064-792-2004, 목요휴업, 주차 제주선채향 (전복칼국수, 전복죽, 전복회) : 안덕면 사계리 2294-2, 064-794-7177, 월요휴업, 주차 춘미향식당 (목살, 흑돼지목살, 갈치조림, 춘미향정식, 전복성게미역국, 벵어돔/돌돔 조림, 흑돼지 두루치기) : 안덕면 사계리 2820-4, 064-794-5558, 수요휴업 올레마당 (전복죽/물회, 전복뚝배기, 전복성게미역국, 모둠생선구이, 갈치조림) : 안덕면 사계리 135-1, 064-792-7881, 주차 사계바다 (해.. 2023. 11. 10.
제주도 맛집 (6) : 성산포 맛집 · 표선 맛집 · 남원 맛집 제주도 맛집 (6) : 성산포 맛집 · 표선 맛집 · 남원 맛집 ►성산 성산리 (성산일출봉) 맛집 성산일출봉 청운식당 (오분자기영양솥밥, 전복뚝배기, 전복성게미역국, 전복죽, 갈치조림) : 성산읍 성산리 192-2, 064-782-3912, 주차 제주김만복 (만복이네 김밥, 통전복주먹밥, 전복컵밥, 왕전복죽, 전복성게해물면, 오징어무침, 숯불갈비주먹밥, 성게미역국) : 성산읍 성산리 392, 064-782-8580, 주차 경미네집 (해물모듬, 해물라면, 성게/멍게, 전복죽, 전복/한치덮밥, 문어숙회) : 성산읍 성산리 145-4, 064-782-2671, 마지막 화요일휴업 코코마마 (씨푸드 세트메뉴) : 성산읍 성산리 140-8, 064-782-5569 / 이국적인 분위기 성산흑돼지두루치기 (흑돼지삼합/.. 2023. 11. 10.
제주도 맛집 (5) : 서귀포 시내 맛집 ● 제주도 맛집 (5) : 서귀포 시내 맛집 ►서귀동 (정방폭포·새섬·매일올레시장·이중섭미술관) 맛집 바다를본돼지 (바다본 런치메뉴, 바다를 본 흑돼지, 전복뚝배기, 해물된장찌개, 흑돼지김치찌개) : 서귀동 42, 0507-1413-1058, 주차 오돈가 (흑돼지모듬, 흑돼지근고기/항정살/갈매기살/오겹살, 흑돈마호크) : 서귀동 155, 064-762-9277, 주차 센트로 (토마토조개스튜, 살치살스테이크, 리코타치즈샐러드, 고르곤졸라뇨끼, 버섯/크림리조또, 후추/애초비/조개/바질파스타) : 서귀동 172-4, 070-8614-6245, 화요일, 주차 바다어멍 (통갈치구이, 은갈치구이/조림) : 서귀동 202-21, 064-733-4542, 주차 기흥어물 (옥돔국, 갈치/전복갈치구이, 갈치/우럭/전복갈치.. 2023.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