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기 및 정보1750

은행나무가 유명한 천년 고찰, 양평 용문사(龍門寺) 양평 용문사 천연기념물 '은행나무’로 이름난 천년 고찰 용문사(龍門寺) 글·사진 남상학 양평 용문사는 수도권에서 많이 찾는 사찰에 속한다. 절 자체의 규모보다는 그리 멀지 않아 오가기가 쉬울뿐더러 용문사 계곡의 깨끗한 물과 공기가 도시인의 마음을 끌기 때문이다. 더구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사찰 경내의 은행나무로 하여 유명해진 용문사는 은행잎이 노랗게 물드는 가을의 대표적 관광코스가 된지 이미 오래다. 이 때쯤이면 용문사에 이르는 가로수나 경내는 노란 은행잎의 물결이 장관을 이룬다. 용문산관광단지에 가까워지면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높이 1,157m의 용문산이다. 관광단지를 품에 안고 있는 용문산의 웅장한 산세와 기암괴석이 만들어 낸 절경은 금강산을 방불케 한다. 용문산 정상은 이전에 출입금지 지역이었으.. 2006. 3. 20.
군사적 요충지 김포(金浦), 그 역사적 현장 - 문수산성, 애기봉, 조각공원, 김포 군사적 요충지, 그 격전의 현장 - 문수산성, 애기봉, 김포조각공원, 덕포진 - 글·사진 남상학 봄이 오는 길목에서 한나절 가벼운 나들이로 김포를 택했다. 강화도는 뻔질나게 드나들면서 그 나들목에 있는 김포는 강화의 그늘에 가려져 있어 그저 지나치는 곳으로 제쳐놓기 일쑤였다. 그러나 김포는 지형적으로 볼 때 강화 못지않게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 지질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강화도는 본디 김포반도의 일부였는데, 염하 물에 침식을 당하여 떨어져 나가 섬이 되었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김포는 강화의 어머니격으로 강화와 서로 떼어서 생각할 수 없는 곳이며, 강(한강 하류)을 사이에 두고 강화와 마주보고 있어 군사적으로도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문수산성 먼저 김포하면 떠오르는 것은 문수산성이다. 김포.. 2006. 3. 14.
온양민속박물관,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의 산 교육장 아산 온양민속박물관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의 산 교육장 글·사진 남상학 아산시는 오래 전부터 온천 휴양지이며, 현충사를 비롯한 이순신 장군의 묘소가 있어 사랑을 받고 있다. 그리고 외암민속마을을 비롯하여 전국 최대 규모의 온양민속박물관이 있어 우리들에게 더욱 친근하다. 온양민속박물관은 아산 시내 온양 권곡동에 자리한 온양민속박물관은 22,000평의 대지 위에 조상들의 생활 전반에 결친 민속자료를 전시한 국내 최대의 민속박물관이다. 우리 민족이 살아온 발자취와 민속자료들을 입체적으로 전시하여 관광객으로 하여금 우리 고유 전통문화의 정취를 느껴보게 하고 세계 속에 한국문화의 독창성을 선양할 수 있는 산 교육장의 역할을 하고 있다. 전통한식으로 지어진 정문을 들어서면 1,900여 평의 본관 전시실이 있고,.. 2006. 3. 7.
청계천(2) : 청계천 주변엔 어떤 볼거리, 즐길거리가 있는가 청계천(2) 청계천 주변에는 어떤 볼거리, 즐길 거리가 있을까? 역사, 문화, 생태 환경으로 되살아난 삶의 현장 글 · 남상학 청계천은 역사와 문화적으로도 우리에게 많은 의미와 볼거리를 제공한다. 복원공사 전 구간이 5.8㎞에 이르고, 다리만 해도 22개나 된다. 청계천의 새 물길을 따라가면 과거와 현재, 자연과 첨단이 공존하는 청계 10경을 만날 수 있다. 성인 걸음으로 시간당 4㎞를 걷는다고 하면 1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그러나 이것저것 구경하다보면 4∼5시간은 족히 걸릴 정도로 다양한 볼거리가 곳곳에 산재해 있다. 각종 조형물과 역사유적, 경관조경 등 볼거리도 풍성해 다 돌아보더라도 지루하지는 않다. 22개의 다리 외에도 각종 조형물과 총 9개의 분수가 조성돼 있다. 각각의 다리와 시설물들에도 .. 2005. 12. 27.
청계천(1) : 우리 곁으로 돌아온 청계천, 그 의미와 과제 청계천(1) 청계천, 생태환경으로 되살아난 현장 - 역사, 문화, 생태 환경으로 살아나다 글·사진 남상학 1. 청계천 물길 열리던 날 시인 정진규는 청계천 복원에 부쳐서 '새 물꼬 새물맞이 노래'라는 제목으로 축하시를 썼다. 오늘 새 물고 트는 날 새 물길 열리는 날 노자(老子) 선생이 방긋이 웃는다 그날 개천(開川)하던, 처음 물길 트던 세종임금 영조대왕도 좋다 좋도다 웃고 계시다 그 물길 막히고 끊겼던 지난 나날들 서울의 복장이 왜 아니 답답했겠는가 염장 미역 같았어라, 어둠의 감탕들 우리네 살림 곳곳에 아니 스며들었다 말할 수 없으리 진작 열었어야 했다. 開川(개천), 본래 이름 그대로 열었어야 했다. 2005년 10월 1일 청계천 새 물길이 열렸다. 조선시대 개천(開川)으로 불렸던 청계천이 이름 .. 2005. 12. 27.
서울 월드컵경기장과 월드컵공원 : 난지도, 새로 쓰는 서울의 역사 월드컵경기장과 월드컵공원 서울 월드컵경기장과 월드컵공원 둘러보기 - 난지도(蘭芝島), 새로 쓰는 서울의 역사 글 · 남상학 1. 인류 화합의 장(場)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에 있어 보통 상암월드컵 경기장이라고도 불린다. 이 경기장의 탄생은 2002한일월드컵의 개최와 직접 관계가 있다. 1996년 5월 FIFA에서 2002년 제17회 월드컵축구대회 개최지로 한국과 일본의 공동 개최가 결정되자, 1997년 10월 한국은 한일월드컵 주경기장 위치로 상암동을 선정하였다. 당시 상암지구는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 송전탑, 석유비축기지, 골재야적장 등이 산재해 있어 불모지나 다름없는 땅이었다. 서울시는 이곳에 한일월드컵 주경기장과 함께 주변을 생태공원으로 조성할 것을 결정하여, 1.. 2005. 12. 23.
산청, 문익점의 목면시배유지(木綿始培遺址) 경남 산청 문익점의 목면시배유지(木棉始培遺址) 글·사진 = 남상학 지리산 천왕봉의 기상이 서린 산청, 빼어난 자연경관과 청정함이 있고, 고귀한 선비정신이 깃들어 있는 곳이며, 일찍이 우리의 의생활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온 문익점이 처음으로 목화를 재배한 곳이다. 남명 조식의 유적지를 돌아보고 나서 20번 도로로 동진하여 단성으로 달렸다. 추수를 끝낸 들판은 한가롭고 적요하다. 반달 모양의 논으로 둘러싸인 남사민속마을은 높은 흙돌담으로 둘러친 한옥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약 40여 가구 한옥 집들은 특별히 단장하지 않은 탓으로 오히려 옛 고향의 멋이 그대로 드러나는 곳이다. 얼마 안 가서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 106-1, 경호강이 한가롭게 흐르는 들판 곁 아담하게 지은 문익점목화시배지(文益漸木棉始.. 2005. 11. 23.
산청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유적을 찾아서 경남 산청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유적지를 찾아서 - 벼슬을 끝내 사양한 산림처사 - 글·사진 남상학 어제 하루 종일 운전에 좀 피곤하기도 했으나, 공기가 맑은 지리산 기슭 유평마을에서 잠을 잔 탓인지 단잠에서 깨어난 몸은 예상 외로 거뜬하고 상쾌했다. ‘하늘이 울어도 천왕봉은 울지 않는다’는 천왕봉이 있는 곳. 또 산청에는 조선 시대 실천적 학문을 중히 여겼던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가르침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대원사계곡을 나와 59번 도로로 우회전 덕산(시천)으로 향했다. 감이 노랗게 익은 마을은 마침 오늘이 덕산 장날이어서 길가에 여러 물건들을 진열하느라 부산했다. 선비정신의 산실 덕천서원(德川書院) 먼저 찾은 곳은 덕천서원. 서원 입구의 입덕문(入德門)에 이르니 수령이 400년이 넘는 은.. 2005. 11. 21.
지리산 대원사계곡 '하늘 아래 첫 동네'를 가다 지리산 대원사(大源寺)계곡 ‘하늘 아래 첫 동네’ 윗새재를 가다 글·사진 남상학 무르익은 가을 경치를 감상하며 차는 지리산 동쪽에 있는 대원사 계곡을 찾아가는 길이다. 산청 IC에서 59번 지방도로로 우회전하여 밤머리재를 넘었다. 꼬불꼬불한 오르막길은 지리산 한 자락에 오르고 있음을 증명하듯 만만치 않았으나, 길 양옆으로 빨갛게 물든 단풍나무의 아름다움으로 오히려 즐거움을 주었다. 고개를 넘어서니 길옆으로 집집마다 빨갛게 익은 감들이 멀리서 온 손님을 환영이라도 하듯 주렁주렁 열렸다. 삼장면 평촌리에서 우회하여 4 km정도에 이르는 대원사 입구까지는 왼쪽으로 저녁 해를 받고 있는 계곡의 모습이 한가롭고 정겨운 모습이다. 기암괴석과 계곡이 맑은 대원사 계곡 지리산 천왕봉에서 중봉과 하봉을 거쳐 쑥밭재와 새.. 2005. 11. 21.
청주 상당산성(上黨山城), 양반 고을의 그 역사의 숨결 청주 상당산성 양반고을의 숨결, 청주 상당산성(上黨山城) - 거대한 포곡식(包谷式) 화강암 석축산성 - 글·사진 남상학 충청북도 청주시(淸州市) 산성동(山城洞)에 있는 상당산성(上黨山城: 사적 제 212호)은 고도 청주역사의 산 증인이자 파수꾼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 조선말까지 청주 역사의 이모저모를 품에 안고 있기 때문이다. 바람소리, 물소리 맑은 선비의 고장 청주를 한 눈에 조망하려면 상령산(上嶺山) 정수리를 감싸고도는 상당산성에 올라야 한다. 신라, 고구려, 백제의 바람이 뒤엉켜 불어오던 이곳은 삼국의 문화를 고스란히 담은 청주 역사의 질그릇이다. 마파람(동풍), 높새바람(북동풍), 하늬바람(서풍)이 번갈아 불어오다 돌연 역사의 가지에 부딪치고, 산자수명한 충청도 정취에 취해 .. 2005.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