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353

경남 함양의 산과 물 조망 명소, 금대산의 금대암과 거연정, 군자정, 동호정, 농월정 경남 함양의 산과 물 조망 명소 - 금대산의 금대암과 거연정, 군자정, 동호정, 농월정 - 글·사진 문화일보 박경일 기자 *지난 2003년 방화로 추정되는 화재로 전소됐다가 이태 전에야 복원된 경남 함양의 농월정. 정자는 월연암이라 이름 붙여진 거대한 바위를 딛고 서 있는데, 바위에는 물살이 씻고 깎아 만든 기기묘묘한 형상으로 가득하다. 지리산은 ‘몸으로 만나야 하는’ 산입니다. 지리산의 능선으로 들어가 안개로 휘감긴 이른 새벽, 혹은 은하수가 쏟아지는 여름밤에 두 발로 산을 딛고 서봐야 지리산을 비로소 알 수 있지요. 지리산을 보려면 산이 드러내는 경관뿐만 아니라, 그 산 안에 든 스스로의 모습까지 들여다봐야 한다는 뜻입니다. 턱까지 차오르는 숨이며 고된 종주로 딱딱해진 근육, 길고 짙은 숲에서의 청량.. 2017. 7. 15.
양평 산음자연휴양림, 사계절 보약 같은 '치유의 숲' 양평 산음자연휴양림 사계절 보약 같은 '치유의 숲' 경기 양평군 단월면 산음리 산84 / 전화 031-774-8133 숲은 듣는다. 밤사이 피운 꽃망울의 열림, 바람 따라 여행을 시작하는 씨앗의 떨림, 서걱서걱 풀잎을 꿰는 애벌레의 움츠림 하나하나에 귀 기울인다. 나무는 땅속 깊이 뿌리내려 울창한 그늘을 만들고, 한 걸음 비켜서서 물길을 틔운다. 생을 다하는 순간까지 살아 있다는 증거로 싹을 틔우고, 때가 되면 스스로 거름이 된다. 숲은 인내하고, 생명을 보듬고, 마지막에 길을 낸다. 숲을 찾는 사람에게 내미는 손길과 발길이다. 양평에 자리한 산음자연휴양림의 숲길이 그렇다. 화려하지 않아 아지트로 삼고 싶은 공간이다. 휴양림은 사계절 내내 마음을 다독이는 치유의 숲을 품었다. 위로가 필요할 때면 찾아가고.. 2017. 7. 15.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 국내 인기 여행지는? 본격적인 여름 여름 휴가철, 국내 인기 여행지는 어디? 조선 성열휘 기자 제이드가든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제공 극심했던 가뭄을 해갈한 장마도 어느덧 끝을 향해 가며, 본격적인 여름 휴가 시즌을 앞두고 있다. 특히 올여름에는 평년보다 기온이 더욱 높을 것이라는 기상청 예보에 따라 더위를 피해 산과 바다로 떠나는 피서객들의 행렬은 더욱 길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맵퍼스는 지난해 7~8월 자사 내비게이션 앱 '3D 지도 아틀란(이하 아틀란 3D)'의 목적지 검색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분석해 여름철 추천 여행지를 선정했다. 특히 항상 전국 곳곳을 누비며 도로 위를 달리는 전자지도 현장실사팀의 의견까지 더해 올여름 최고의 여행지를 추천한다. 수도권 근교는 가볍게 떠날 수 있는 당일치기 여행 근거리 당일.. 2017. 7. 15.
남해대교 건너 만나는 보물섬 남해 드라이브 남해대교 건너 시작되는 보물섬 남해 드라이브 글, 사진 : 진우석(여행작가) / 기사 제공 : 한국관광공사 *남해는 마늘과 유채 꽃이 어우러진 도로를 달리는 맛이 일품이다. '한 점 신선의 섬(一點仙島)'으로 불리는 남해는 아름답다. 다랑논에서 마늘이 쑥쑥 자라고 노란 유채꽃이 흐드러지며, 작은 어촌은 쪽빛 바다를 품고 빛난다. 남해는 1973년 남해대교가 준공되어 하동과 연결되고, 2003년 창선·삼천포대교로 사천과 이어지면서 드라이브 명소로 주목받는다. 나비처럼 생긴 남해는 양 날개 위쪽으로 하동과 사천이 이어진다. 따라서 드라이브는 남해대교로 들어와 명소를 둘러보고 창선·삼천포대교를 통해 나가거나, 그 반대로 진행하는 게 좋다. 남해대교를 건너면 울창한 벚나무들이 손을 흔들어준다. 벚나무 아래 '한.. 2017. 7. 8.
제주 추천 맛집 제주 추천 맛집 ● 제주시 오라숲소리 (한정식) : 오라2동 1188-4 / 064-744-2545 검은쇠몰고오는 (제주 흑우, 흑우 떡갈비) : 연동 296-7 / 064-712-1692 두루두루 (객주리조림, 꼼장어구이, 한치회) : 연동 291-10 / 064-744-9711 올레국수 (고기국수) : 연동 261-16 / 064-742-7355 미짬뽕 (고기짬뽕) : 제주시 연동 251-8 / 064-747-8282 / *월 휴무 장수물식당 (국수) : 연동 310-79 / 064-749-0367 이금돈지 (통갈치구이, 갈치조림, 고등어김치찜) : 연동 293-44 / 064-711-8866 광명식당 (제주 돼지순대) : 일도1동 1103 / 064-757-1872 꺼멍도새기 (갈치조림, 성게보말미.. 2017. 6. 28.
부산 및 경남 추천 맛집 부산 및 경남 추천 맛집 (2018. 1. 5 업그레이드) ● 부산 뚱보집 (쭈꾸미구이, 보쌈, 콩나물국밥, 두부정식) : 중구 중앙동1가 21 / 051-246-7466 실비집 (쭈꾸미구이, 석쇠불고기, 장어구이, 보쌈) : 중구 중앙동1가 22-3 / 051-245-6806 상짱 (해물 덮밥-가이센돈, 튀김요리) : 중구 중앙동4가 36-17 / 051-469-.. 2017. 6. 28.
대구 및 경북 추천 맛집 대구 및 경북 추천 맛집 (2018. 1. 5 업그레이드) ■ 대구 서영홍합밥 (홍합밥) : 중구 계산동 2가 31-2 / 053-253-1199 약전시장원조국수 (빵게칼국수) : 중구 계산동 2가 149-1 / 053-256-6420 카페 무아 (연잎밥) : 중구 종로 38-1 / 053-255-4717 탐해 (해물 한판) : 대구 중구 종로 46-1 / 070-4208-9696 국일따로국밥.. 2017. 6. 28.
전주 및 전북 추천 맛집 전주 및 전북 추천 맛집 ● 전주 가족회관 (정식, 비빔밥) : 완산구 중앙동 3가 80 / 063-284-0982 족떡이네 (떡갈비) : 완산구 교동 64-8 / 063-285-0198 화순집 (민물매운탕) : 완산구 교동 2-8 / 063-284-6630 한벽집 (오모가리탕, 민물매운탕) : 완산구 교동 2-9 / 063-284-2736 한국집 (육회 비빔밥) : 완산구 전동 2-1 / 063-284-2224 조점례피순대 : 완산구 전동3가 2-19 / 063-232-5006 육일식당 (감자탕) : 완산구 효자동1가 358-31 / 063-221-3687 별주부조개찜 (찜, 보쌈, 문어초회) : 완산구 효자1동 669-10 / 063-226-9923 별주부=별따주는부뚜막 (세계정상 해물) : 완산구 .. 2017. 6. 28.
광주 및 전남 추천 맛집 광주 및 전남 추천 맛집 (2018. 1. 5 업그레이드) ● 광주 해물의 제왕 (해물계왕찜) : 치평동 1208-7 / 062-384-9593 수화강황울금국밥 (강황머리국밥) : 동구 궁동 35-10 / 062-233-8778 충장로뉴욕브레드 (자이언트버거용) : 동구 금남로1가 19-6 / 062-222-4034 가원 (얼음그릇 냉면) : 동구 동명동 18-12 / 062-225.. 2017. 6. 28.
충북 추천 맛집 충북 추천 맛집 (2018. 1. 5 업그레이드) ● 괴산 둔율올갱이마을 : 칠성면 율원리 1011-1 / 043-830-3903 우리매운탕 (메기매운탕) : 괴산읍 대덕리 93-6 / 043-834-0005 서울식당 (40년 전통 올갱이국) : 괴산읍 동부리 661-62 / 043-832-2135 토속정 (올갱이 전골) : 청천면 청천리 82-12 / 043-832-0979 ● 단양 단골.. 2017. 6. 28.
충남 추천 맛집 충남 추천 맛집 (2018. 1. 5 업그레이드) 대전 광천식당 (수육, 두부두루치기와 오징어두루치기) : 중구 선화동 52-2 / 042-226-4751 김판순 김치찌개 : 중구 안영로 45 / 042-586-5252 대전송어장 (송어탕, 수육, 통매운탕, 회) : 중구 침산동 178-3 / 042-285-8383 별뜨는집 (묵은지 고등어조림) : 중구 대사동 6.. 2017. 6. 28.
강원 추천 맛집 강원 추천 맛집 (2018.1. 5 업그레이드) ● 강릉 가마솥소머리국밥 (만두전골무한리필) : 포남동 1058-1 / 033-920-9383 중앙돈가스 (돈가스, 우동) : 성남동 60-12 / 033-655-0355 해성횟집 (삼숙이탕) : 성남동 50 중앙시장 2층30호(강릉중앙시장) / 033-648-4313 금성닭집 (금성베니닭강정) : 성남동 51-120 (강릉.. 2017. 6. 28.
경기 추천 맛집 경기 추천 맛집 (2018. 9. 4 업그레이드) ● 가평 동기간 (숯불장작구이, 닭볶음탕) : 가평읍 개곡리 487 / 031-581-5570 동이동치미메밀막국수 : 가평읍 읍내리 635-1 / 031-582-3432 / 월요 휴무 명지쉼터가든 (잣국수) : 북면 이곡리 207-2 / 031-582-9462 금강막국수 숯불닭갈비 (막국수, 닭갈비) : 상면 임초.. 2017. 6. 28.
인천 추천 맛집 인천 추천 맛집 (2018. 9. 4 업그레이드) <중구> 부산자갈치회집조개구이 : 중구 북성동 1가 98-228 / 032-761-6633 부앤부 (유슬짜장) : 중구 북성동 2가 9-7 / 032-777-3335 신기루 (2천원 짜장면, 3천원 짬뽕) : 중구 북성동 2가 12-12 / 032-773-5257 십리향 (화덕만두) : 중구 북성동 2가 10-26 / 032-762-5888 원.. 2017. 6. 28.
서울 추천 맛집(구별-가나다순) 서울 추천 맛집 업그레이드(2018. 9. 5) ● 강남구 포메인 (쌀국수) : 수서동 714-4 문암빌딩 1층 / 02-445-7131 / 수서역 3출 112m동 203갈비해물찜 : 수서동 714 / 02-451-7532 / 수서역 3출 2분 / 15:30 오픈, 토 12:30 두꺼비집 정통부대찌개 : 수서동 714 / 02-2226-1177 / 수서역 3출 도보 2분 우전일식 (회, 덮밥, 알.. 2017. 6. 28.
서천 아펜젤러순직기념관을 찾아서 최초의 감리교 선교사 서천 아펜젤러순직기념관을 찾아서 충남 서천군 서면 서인로225번길 61 (서면 마량리 251-1) / 041-952-1885 글 · 사진 남 상 학 충남 서천군 서면 마량포구는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성경이 전래한 뜻 깊은 곳이다. 이런 역사적인 사건을 바탕으로 서천군은 성경 전래지 성역화 사업의 일환으로 마량포구를 굽어보는 야트막한 언덕 위에 성경전래지기념관을 지었다. 또 마량리 마을 초입의 더 높은 언덕 위에 미국감리교 선교회에서 한국에 공식적으로 파견한 첫 선교사 아펜젤러가 성경반포사업차 인천에서 서천으로 가던 중 어청도 인근에서 풍랑을 만나 순교한 것을 기념하여 아펜젤러순직기념관을 세웠다. 어청도는 거리상 마량리와 가장 가깝다는 이유였다. 아펜젤러순직기념관의 규모는 연면적 3.. 2017. 6. 26.
서천 마량포구, 한국최초 성경전래지기념관과 기념공원 서천 마량포구 한국최초 성경전래지기념관과 기념공원 글 · 사진 남 상 학 일출과 일몰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서해안 마량포구, 이곳이 우리나라 최초로 성경이 전해진 곳으로 알려져 한국 최초 성경전래지기념관이 개관되고 기념공원도 조성하여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마량진 최초성경전래지는 2002년 한 고등학교 교사가 조선왕조실록 48권(순조실록 권19)에 ‘마량진에서 책을 받았다’고 기록된 것을 발견하고 연구의 필요성을 처음 제기하면서 발견됐다. 2004년부터는 서천 기독교계와 서천군이 나서 역사적 사실임을 재확인하면서 한국교회 안에서 비로소 역사적 현장으로 인식되기 시작됐다. 기록에 의하면, 마량포구는 1816년 영국 해군 머레이 맥스웰(Murray Maxwell) 대령이 서해안 탐사를 위해군함을 이끌고 .. 2017. 6. 24.
장항 송림산림욕장과 스카이워크, 솔향기와 바다내음을 맡으며 하늘을 걷는 재미 장항 송림산림욕장과 스카이워크 솔향기와 바다내음을 맡으며 하늘을 걷는 재미 글 · 사진 남 상 학 금강이 굽이굽이 흘러 서해와 만나는 곳, 충청도와 전라도의 경계를 이루는 지점에 자리한 항구 장항. 장항제련소 굴뚝이 상징하듯 우리나라의 산업화를 이끌던 장항이 지금은 살아 있.. 2017. 6. 23.
석정문학관 탐방, 전원시인 신석정(辛夕汀)의 문학을 찾아서 석정문학관 전원시인 신석정(辛夕汀)의 문학을 찾아서 - 자연과 역사를 온몸으로 살아온 민족시인 시인 - 글 · 사진 남 상 학 ▲전라북도 부안군부안읍 선은1길 10 / 063-584-0560~1 전북 부안에 가면 목가시인 신석정의 시 세계를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다. 2011년 10월 개관한 석정문학관은 신석정(辛夕汀, 1907~1974) 시인의 고향 마을인 부안읍 선은동에 지하1층 지상2층, 연건평 1,573㎢의 현대식 건물로 아름답게 조성되었다. 신석정 시인의 생가 터와 마주보고 있는 석정문학관은 5권의 대표시집·유고시집·친필원고 등으로 문학세계를 조명하는 상설전시실, 현실의식을 담은 다수의 작품을 만날 수 있는 기획전시실, 선생의 일대기를 영상으로 만나는 세미나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5,000여.. 2017. 6. 17.
부안 매창공원, 조선 시대의 명기(名妓) 매창(梅窓)의 시를 음미하다. 부안 매창공원 조선 시대의 명기(名妓) 매창(梅窓)의 시를 음미하다.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매창로 89 / 063-580-4434 글 · 사진 남상학 매창공원은 매창이뜸 주변에 조성된 공원으로 이계생의 시와 묘로 꾸며진 시문학 공원이다. 조선의 여류시인이자 명기인 이매창(李梅窓, 1573~1610)을 추모하여 조성한 부안의 매창공원은 전북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에 있다, 이 공원에는 매창의 묘, 매창의 시비, 매창을 기리는 시비, 매창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 그리고 명창 이중선(李仲仙)의 묘가 자리 잡고 있다. 매창의 묘는 지방기념물 65호로 지정되어 있다. 여류시인 이매창 이매창은 조선 중기의 기생이자 여류시인이다. 허난설헌과 함께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류 시인으로 평가받는 매창은 1573년(선조 6년) .. 2017. 6. 14.
남사당의 발상지이자 본거지, 안성 - 남사당패 바우덕이의 사당과 무덤 남사당의 발상지이자 본거지, 안성 - 남사당패 바우덕이의 사당과 무덤 - 글 · 사진 남 상 학 바우덕이 사당 앞에 세운 바우덕이 동상 안성은 조선시대 남사당놀이의 발상지이자 총본산으로 우리나라 대중문화의 중심지였다. 안성에는 남사당놀이패의 꼭두쇠 바우덕이의 자취가 그대로 .. 2017. 6. 3.
'재미로', 재미로 넘실거리는 추억의 남산 골목 '재미로', 재미로 넘실거리는 추억의 남산 골목 - 명동역 3번 출구에서 서울애니메이션센터까지 450m의 남산길 - 글 · 사진 남 상 학 명동역 3번 출구에서 퍼시픽호텔과 명동주민센터를 지나 서울애니메이션센터까지 이어지는 길은 내가 30여 년이나 오르던 출·퇴근길이었다. 내가 근무하던 예장동은 대부분 산언덕으로 그 언덕에 KBS 방송국, 서울예전(드라마센터), 숭의여자중고등학교, 리라초등학교가 있었다. 그 후 KBS는 여의도로 떠나고 그 자리에 애니메이션센터가 들어섰다. 예술전문학교 자리도 학교는 떠나고 극장과 교육원이 되었다. 내가 재직한 맨 위쪽의 숭의여자중·고등학교 역시 대방동으로 이전했지만 그 자리에 숭의여자대학교가 우뚝 서 있다. 그 동안 주요기관들이 다소 바뀌고 학생들로 붐비던 '숭의서림'은.. 2017. 5. 27.
국립한글박물관, 대한민국의 대표적 문화유산 ‘한글’ 살펴보기 국립한글박물관 대한민국의 대표적 문화유산 ‘한글’ 살펴보기 글 · 사진 남 상 학 국립한글박물관으로 들어가는 입구 한글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문화유산이다. 민족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국립한글박물관이 2014년 9월 9일 제568돌 한글날에 맞춰 문을 열었다. 이 한글박물관은 한글의 지나온 역사를 실물 자료 중심으로 재조명하는 공간이며, 동시에 오늘날 눈부시게 발달하고 있는 한글 문화의 다양성과 문자로서의 미래를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공간이기도 하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한쪽에 자리 잡고 있다. 연면적 1만 1322㎡,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들어선 한글박물관은 문화행사, 전시, 교육 등이 가능한 잔디마당과 쉼터 등도 갖추고 있다. 1층에는 한글누리(한글정보실)가 있고, 2층.. 2017. 5. 23.
2017년 숭의(崇義) 퇴직교사모임《옛숭회》나들이 2017년 숭의(崇義)여중·고 퇴직교사 모임《옛숭회》나들이 * 탐방 일시 : 2017년 5월 16일 * 탐방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및 국립한글박물관 * 참석 인원 : 24명(남 12, 여 12) 5월 16일, 날씨가 좋았다. 오늘은 마침 ‘스승의 날’ 다음날이다. 지난주만 해도 황사주의보에 미세먼지 ‘아주 나쁨’이 계속되었는데 아침부터 하늘이 맑았다. “그럼 그렇지, 교육현장에서 평생 ‘제자 사랑’을 실천한 분들이 모처럼 모이는 날인데” 가벼운 마음으로 전철을 탔지만, 몇 분이나 참석할지 걱정이 앞선다. “몸이 불편하여, 검진 날이어서, 사모님 병간호 때문에 등등 … ” 이미 여러분으로부터 참석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전화로 전해 들었기 때문이다. 이런저런 생각에 잠겨 있는데 열차 안에서 박창섭, 이정수 .. 2017. 5. 17.
홍천 수타사와 비발디파크에서의 즐거운 하루 강원 홍천 수타사와 비발디파크에서의 즐거운 시간 - 5월 초 연휴기간 1박 2일 - 글·사진 남상학 수타사 계곡 산소길에서 만나는 출렁다리 5월 4일, 나는 아내와 함께 홍천에 있는 수타사 계곡을 걸었다. 수타사 계곡은 홍천군 동면 노천리 공작산에서 발원, 신봉리를 거쳐 덕치리로 약12km에 이르며, 넓은 암반과 큼직큼직한 소(沼)들이 비경을 이루고 있고, 계곡 양쪽으로는 기암절벽과 빽빽이 우거진 숲이 호위하고 있어 이곳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다 보면 비경삼매에 빠져들기 일쑤이다. 봄에는 철쭉, 가을엔 단풍이 어우러져 풍경을 감상하며 잠시 쉬어가기에 딱 알맞은 곳이다. 이곳에서부터 계속 계곡을 따라가 보면, 맑은 물을 끼고 있는 갈대숲이 나온다. 산새소리를 벗하며 감상하는 비경은 마음속까지 맑게 해준다. .. 2017. 5. 6.
강화도조약 현장, 그림 같은 소나무숲길 아래 켜켜이 쌓인 고난의 무늬 강화도조약 현장 그림 같은 소나무숲길, 그 아래 켜켜이 쌓인 고난의 무늬 강화도= 이한수 기자 ▲ 강화대교 지나 읍내 방향으로 간다. 삼거리에 있는 서문에서 길을 건넌다. 성곽 안쪽에 네모난 돌이 서 있다. '연무당 옛터'라고 새겼다. 강화도조약이 체결된 곳이다. 잔디밭 터만 남았다. 흔히 불평등조약이라 한다. 일제 침략이 여기서 비롯됐다 한다. 설명문에도 그렇게 적혀 있다. 이 섬은 켜켜이 쌓인 지층(地層)이다. 어떻게 자르든 아픈 역사의 무늬가 나타난다. 이번엔 1876년에서 베어내기로 한다. 이해 2월 26일(이하 양력) 강화도조약(한일수호조규)이 체결됐다. 강화대교 지나 읍내 방향으로 간다. 삼거리에 있는 서문에서 길을 건넌다. 성곽 안쪽에 네모난 돌이 서 있다. '연무당 옛터'라고 새겼다. 강화.. 2017. 4. 20.
경기 연천 '임진강·한탄강', 붉은 주상절리 하얀 돌단풍꽃 평화 향한 몸짓 경기 연천 '임진강·한탄강' 붉은 주상절리 하얀 돌단풍꽃 평화 향한 몸짓 연천 = 글·사진 박경일 기자 *경기 연천의 왕림교에서 내려다본 차탄천의 은대리 주상절리. 여기에 차탄천의 물을 끼고 걷는 트레킹 코스 ‘에움길’이 있다. 수직의 직벽을 이룬 주상절리 협곡 사이로 이어진 오솔길을 따라 물새 떼가 날아오르는 물을 건너가며 걷는 길이다. 삼국시대 이래로 수많은 전쟁이 지나간 땅. 여기는 접적 지역인 경기 연천입니다. 분노와 적의(敵意), 그리고 긴장과 대치. 지금 전방지구는 북한의 잇단 도발과 북폭설로 일촉즉발의 긴장이 팽팽하게 당겨진 활시위처럼 아슬아슬합니다. 이런 긴장 속에서 구태여 전쟁의 상흔이 여태 남아있는 접적 지역을 찾아갔던 건 평화에 대한 소망 때문이라고 해두겠습니다. 저마다 해법은 다를지.. 2017.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