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기 및 정보/- 강원도

관동팔경의 으뜸, 강릉 경포대(鏡浦臺)에서 노닐다.

by 혜강(惠江) 2006. 4. 28.

 

강릉 경포대


신선이 된 듯 강릉 경포대에서 노닐다

 


글·사진  남상학

 

 

 

 

  경포대는 강원도 강릉시 저동(시내에서 북으로 6km)의 경포호수 북안(北岸)에 있는 조선시대 누대이다. 고려 충숙왕 13년(1326) 강원도 안렴사(按廉使) 박숙(朴淑)이 방해정(放海亭)에 의하여 신라 사선(四仙)이 놀던 방해정 뒷산 인월사(印月寺) 터에 창건되었으며, 그뒤 1508년(중종 3) 강릉부사 한급(韓汲)이 지금의 자리에 옮겨지었다고 전해진다. 그 후 영조 18년(1742년), 부사 조하망의 중수를 비롯한 수차례의 중수가 있었다. 보물 제2046호로 지정. 

 

이곳에서 바라보는 경치는 그야말로 일품이다. 저녁이 되어 달빛이 쏟아지면 ‘하늘에, 바다에, 호수에, 술잔에, 그리고 그대(임) 눈동자에 뜬 다섯 개의 달’을 보았다는 풍류와 여유가 서려 있는 곳이다. 1982년경포대와 주변의 누각·정자·해수욕장 등을 포함하여 강원도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정면 6칸, 측면 5칸의 거대한 팔작지붕 건물로 우선 그 크기에 압도된다. 경포호를 면한 정면의 모서리에는 2층 누대를 꾸며, 상좌의 자리를 만들어 입체면의 모양을 하고 있다. 삼척의 죽서루의 ‘관동제일루’, 밀양의 영남루의 ‘영남제일루’처럼 지역을 대표하는 정자 건물로 그 자부심을 간직한 ‘제일강산(第一江山)’이라는 현판이 경포대에도 걸려 있다. 

 

 

 

   대호인 “경포대”의 전자액(篆字額)은 유한지, 해서체로 쓴 현판 액자는 헌종 때 한성부판윤을 지낸 이익회(李翊會)가 쓴 것이다. 누대 천정에는 숙종의 어제시(御製詩)와 율곡 선생이 10세 때에 지었다는 <경포대부(鏡浦臺賦)>를 비롯하여 조하망(趙夏望)의 상량문 등 수많은 명사와 시인묵객의 글이 걸려 있는 것으로 보아 많은 유명 인사들이 이곳을 들렀던 모양이다.  그만큼 풍광이 아름답고 풍류를 즐기려는 사람이 많이 찾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숙종의 어제시를 소개하면, 

   汀蘭岸芷繞西東(정란안지요서동) : 난초 지초 동과 서로 서로 가지런히 감아 돌고,
   十里煙霞映水中(십리연하영수중) : 십리 호수 물안개는 물 속에도 비추이네. 
   朝噎夕陰千萬像(조일석음천만상) : 아침 햇살 저녁 노을 천만가지 형상인데,
   臨風把酒興無窮(임풍파주흥무궁) : 바람결에 잔을 드니 흥겨움이 무궁하네.

 

 

 


   경포호는 수면이 거울같이 맑기 때문에 붙은 이름인데, 경호라고도 하고 사람에게 유익함을 준다고 해서 군자호(君子湖)라고도 한다. 호수 한가운데 자리잡은 바위는 각종 철새들이 찾아와 노는 곳으로 새바위라 하며, 조선 숙종 때 송시열(宋時烈)이 쓴 ‘조암(鳥岩)’이라는 글씨가 남아 있다. 황희(黃喜,1363-1452)는  <경포대(鏡浦臺)>에서 경포대의 아름다움을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澄澄鏡浦涵新月(징징경포함신월)  해맑은 경포호 초승달을 머금고                  
   落落寒松鏁碧烟(낙낙한송소벽연)  낙락한 찬 솔은 푸른 안개 잠 겼네.         
   雲錦滿地臺滿竹(운금만지대만죽)  땅엔 구름 비단이 가득, 누대에는 대가 가득    
   塵寰亦有海中仙(진환역유해중선)  티끌세상 중에도 바다 신선이로다.              


  또 조선 선조 때의 문인이며 관찰사를 지낸 송강(松江) 정철(鄭澈)은 그의 가사작품의 하나인 <관동별곡(關東別曲)>에서 경포대를 지나며 그 아름다운 경치를 노래하였다. 그 대목은 다음과 같다.

   사양(斜陽) 현산(峴山)의 척촉(躑躅)을 므니발와
   우개지륜(羽蓋之輪)이 경포(鏡浦)로 나려가니
   십리(十里) 빙환(氷紈)을 다리고 고텨 다려
   장송(長松) 울흔 소개 슬카장 펴더시니
   믈결도 자도 잘샤 모래랄 헤리로다.
   고주(孤舟) 해람(解纜)하야 정자(亭子) 우희 올라가니
   강문교(江門橋) 너믄 겨틔 대양(大洋)이 거긔로다
   종용(從容)한댜 이 기상(氣像) 활원(闊遠)한댜 뎌 경계(境界)
   이 도곤 가잔단 또 어듸 잇닷말고
   홍장(紅粧) 고사도 헌사타 하리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위 글을 풀어놓으면 다음과 같다.

    노을 비낀 현산의 철쭉꽃을 이어 밟아, 우개지륜을 타고 경포로 내려가니,
    십 리나 펼쳐 있는 얼음같이 흰 비단을 다린 것 같은,
    맑고 잔잔한 호수가 큰 소나무 숲속에 한껏 펼쳐져 있으니,
    물결이 너무나 잔잔하여 물 속 모래알까지도 헤아릴 만하구나.
    한 척의 배를 띄워 호수를 건너 정자 위에 올라가니,
    강문교 넘은 곁에 동해가 거기로구나.
    조용하구나 경포의 기상이여, 넓고 아득하구나 저 동해의 경계여,
    이곳보다 아름다운 경치를 갖춘 곳이 또 어디 있단 말인가?
    과연 고려 우왕 때 박신과 홍장의 사랑이 호사스런 풍류이기도 하구나.



   <관동별곡>은 선조13년(1580) 정철이 강원 관찰사로 부임, 그 곳의 자연 경관을 노래한 기행가사로 관동의 이름난 경치로서 관동팔경을 꼽고 있다. 여기에는 북에 있어 가지 못하는 통천의 총석정, 고성의 삼일포를 포함하여 남으로 간성의 청간정, 양양의 낙산사, 강릉의 경포대, 삼척의 죽서루, 울진의 망양정과 평해의 월송정을 일컫는다.  그 중에서 경포대는 관동팔경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힌 것은 경포호 수변의 야트막한 언덕위에 세워져 있어 주변 경포호와 바닷가의 아름다움을 아우룰 수 있는 경관 때문이었을 것이다.  

    넓은 호수와 바다가 한눈에 들어오고, 호수에 비친 달의 운치와 바다 위로 떠오르는 일출의 장관을 함께 볼 수 있는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다. 경포대에서 바라보는 경포호의 여유로운 풍광과 잔잔함이 가슴을 애잔하게 해준다. 경포호(鏡浦湖, 또는 경호라고 불림)는 ‘거울처럼 맑다’는 이름을 가질 만큼 아름답다.  주위 송림과 호수가의 낚시, 겨울의 철새, 봄의 벚꽃축제 등 사계절 관광객들에게 만족을 주는 곳이다. 그러나 경포호가 가장 아름다울 때는 봄이다. 경포대와 호수 주변으로 벚꽃이 만발하여 마치 신선의 경지를 자아내기 때문이다. 

 

 

경포호수

 

   경포대에서 내려다보이는 경포호 주변에는 12개의 정자가 있었으나 현재는 경포대를 비롯해, 금란정, 경호정, 호해정, 석란정, 창랑정, 취영정, 상영정, 방해정, 해운정, 월파 등 10개만이 남아있다.  이렇듯 우리네 선조들은 경포호의 아름다운 풍광을 벗 삼아 멋진 정자를 지어놓고 그 위에 올라 푸르게 펼쳐진 경포호를 바라보며 시를 한 수 읊었을 것이다. 일찍이 "경포팔경"으로 알려진 갓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경 : 녹두일출(綠荳日出) - 녹두정(綠荳亭: 寒松亭)의 해돋이.
   2경 : 죽도명월(竹島明月) - 죽도(竹島: 江門島)의 밝은 달.
   3경 : 강문어화(江門漁火) - 강문 바닷가의 고기잡이배의 불.
   4경 : 초당취연(草堂炊煙) - 초당의 저녁밥 짓는 연기.
   5경 : 홍장야우(紅粧夜雨) - 홍장암의 밤비.
   6경 : 증봉낙조(甑峰落照) - 시루봉의 저녁 노을.
   7경 : 환선취적(喚仙吹笛) - 환선정에서 들려오는 신선들의 피리 소리.
   8경 : 한송모종(寒松暮鍾) - 한송사(寒松寺: 印月寺)의 저녁 종소리.


   또 옛부터 경포대는 달맞이 명소로도 유명한데, 달이 하나가 아니라 무려 여섯 개나 뜬다고 한다.  밝은 달이 뜨는 밤이면 하늘과 바다 그리고 호수에 하나씩 달이 뜨고 너와 나의 술잔 그리고 님의 눈동자에도 달이 뜬다고. 이 얼마나 멋스럽고운치가 있는가? 

   경포대 해수욕장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방해정은 정자이긴 하지만 온돌방과 마루를 가지고 있는 'ㄱ'형의 건물이다. 마치 강릉 시내에 있는 칠사당의 축소판인 듯한 이 건물은 조선 철종 때인 1859년에 통천군수를 지냈던 이봉구란 사람이 관직에서 물러나면서 객사의 건물 일부를 헐어다가 만든 것이라고 한다.  담장 너머에는 집주인이 가꿨을 법한 많은 분재들이 마당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담 너머로 본다는 게 조금 거슬리긴 하지만 방해정과 그 뒤편으로 어울린 소나무 숲이 매우 인상적이다.  

 

 

방해정과 홍장암


   방해정 앞에 있는 바위를 <홍장암(紅粧岩)>이라고 부르는데, 이 바위는 고려 말의 강릉 기생 홍장(紅粧)이 경포대에 놀러오기만 하면 반드시 그 바위 위에서 놀았기 때문에, 후세 사람들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그 바위를 <홍장암>이라고 불렀다 한다. 이 홍장암에는 아름다운 사랑이야기가 전해 온다. 

    고려 말 우왕 때의 강릉기생 홍장과 강원도 순찰사 박신(朴信)과의 사랑이야기가 그것이다. 두  사람은 서로 사랑하여 아주 깊이 정이 들었는데 박신이 임기가 끝나 서울로 돌아갈 때 강릉부윤(江陵府尹)으로 있던 조운흘(趙云 )이 '홍장은 이미 죽었다'고 하고, 그녀를 마치 신선처럼 꾸민 뒤 박신을 한송정(寒松亭)으로 유인하여 놀려 주었다는 일화가 <동인시화(東人詩話)>에 전한다.

   조선 효종 때, 성리학자 이익(李瀷)의 제자 신후담(愼後聃)이 홍장과 박신의 이와 같은 애정 고사를 소설화하여 <홍장전>을 지었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은 김태준(金台俊)의 <조선소설사>에서도 그의 <속열선전(續列仙傳)>등 여러 소설 작품들과 함께 거론된 바 있다.

 

    퉁소소리는 연기 낀 오동나무 숲에 메아리 치는데
   하늘에서 나뭇잎은 나부끼며 떨어지네
   관산의 그림자는 떠나는 난새 서운케 하는데
   바닷물 소리는 성난 말처럼 극성 부리네
   사나이 장부는 먼 데서 왔다 돌아가지 않는데
   어여쁜 홍랑은 이미 간 지 오래 되네
   행인은 황대의 단꿈을 묻고자 하는데
   무지개처럼 끊긴 지 오래

이 시는 이조 말기의 학자 석하 박원묵(石下 朴元默)이 강릉 경포대를 올라 지은 시이다. 이처럼 경포대를 주제로 지은 시편들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경포대 뒷편으로는 근래에 조성된 공원이 마련되어 있는데 송강 정철 선생의 관동별곡시비와 신사임당 동상, 충혼탑 등이 들어서 있다.

 

경포 해변


   경포호는 겨울철 얼음낚시의 명소로 사랑받고 있고, 경포대 해수욕장은 동해안 최고의 해수욕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동해의 창파를 가득 담고 펼쳐진 명사오리(明沙五里)이다. 길이1.8km, 면적1.44㎢의 하얀 모래밭과 외부와의 세계를 차단하는 듯 둘러 쳐진 송림병풍 4km는 정(靜)과 동(動)의 조화로 경포해수욕장 특유의 아름다움을 자아낸다.  남쪽의 송정 해수욕장 및 안목 해안과 이어져 긴 백사장이 펼쳐진다. 

  우리가 찾아간 4월 중순의 경포 해변은 바람이 일어 무엇을 삼키기라도 하려는 듯 밀려오는 파도로 넘실거렸다. 해수욕장 앞의 오리바위와 십리바위에서 밀려오는 파도는 하얀 모래밭에 흰 빛깔을 내며 연신 부서진다. 철이 아닌 데도 모래사장에는 바다의 장관을 보러 나온 사람들이 꽤 많았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