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문학기행(국내)

김천 백수문학관, 현대시조의 중흥을 연 정완영(鄭椀永)의 문학세계

by 혜강(惠江) 2022. 3. 3.

 

김천 백수문학관

 

현대시조의 중흥을 연 정완영(鄭椀永)의 문학세계

 

글·남상학

 

 

 

  경북 김천시 직지사 일주문 근처, 직지문화공원과 사명대사공원을 정원처럼 앞에 두고 백수문학관이 자리를 잡고 있다. 2008년 개관한 백수문학관은 당시 국내 최초 생존 문인을 기리는 문학관이라는 점에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기도 했다.

 

  그러나 김천시는 한국 현대시조의 선구자로 시조의 중흥기를 열었던 시조 시인 백수(白水) 정완영(鄭椀永, 1919~2016) 선생의 작품을 널리 알리고 숭고한 문학정신과 혼을 기리기 위해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에 문학관으로 개관했다.

 

  직지사 가는 길로 직지천을 거슬러 산으로 든다. 직지 문화공원을 지나 사찰 초입의 고요가 시작될 즈음, 짧은 오르막 위로 ‘백수문학관’이라 큼직하게 새겨진 표지석이 우뚝 서 있다. 바위의 왼쪽 어깨 위에는 책 모양의 석판이 얹어져 있고 그의 대표 시 ‘조국’이 적혀 있다.

 

 

 

  앞마당의 가장자리는 큼직한 연필 조형물들이 솟아 있는 연필 공원이고, 산 아래 자리 고른 둔덕진 터에 백수 문학관이 들어앉았다.

 

 

 

  대지면적 3,587㎡, 전체면적 603.2㎡의 규모의 아담한 단층 기와로 지어진 백수문학관은 지하 1층, 지상 1층의 한식 기와 형태로 그의 소장품과 문학세계를 감상해 볼 수 있는 전시실, 집필실, 3천여 점의 기증도서가 비치된 자료실, 세미나실, 수장고, 편의시설 등을 갖췄다.

 

 

 

  전시실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그의 흉상이 방문객을 맞는다. 120㎡ 규모의 전시실은 8개의 코너로 구분되어 있다. 제1 코너 ‘시의 연보’에는 시인의 흉상, 연보, 주요작품, 수상경력 등을 소개하는 패널이 전시하고 있다.

 

 

 

  정완영은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봉계리(일명 예지리)에서 태어났다. 호는 백수(白水)이다. 김천 봉계 공립보통학교 4학년 무렵 여름에 홍수로 전답을 잃고 아버지와 함께 일본으로 건너갔다가 1932년 귀국하여 고향에서 다니던 보통학교를 마쳤다.

 

  보통학교 마친 것이 학력 전부지만, 그는 1960년 『국제신보』 신춘문예에 시조 「해바라기」 당선, 같은 해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동시 「골목길 담 모롱이」 당선, 196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조 「조국」 당선, 같은 해 『현대문학』에 시조 「애모」, 「강」, 「어제오늘」로 추천, 196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시 「해바라기처럼」이 당선되는 등 5관왕으로 화려하게 문단에 입문하여 현대시조의 중흥기를 연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1천여 편이 넘는 그의 작품은 다양한 시적 소재를 사용하여 한국적인 한의 정서를 조국에 대한 애정으로 승화시켜 표현한 것들이다. 그는 전통적인 서정을 바탕으로 자연을 관조하는 세계를 시로 그려냈다.

 

 「조국」을 비롯한 「부자상」, 「분이네 살구나무」 등 정 시인의 작품은 초·중·고교 교과서에 수록돼 있을 정도로 현대 시조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시조를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정서를 담기에 좋은 장르로 믿고 시조를 널리 알리기 위해 시조 범국민운동을 제창하면서 1966년 이호우와 함께 시조 문학회를 창립하였고 시조시인협회 회장, 한국문인협회 고문, 영남 시조문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정완영은 한국문학상, 가람시조문학상, 중앙일보 시조 대상, 육당문학상, 만해시문학상, 현대불교 문학상 등을 수상하였고, 1995년 은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한국 현대시조 분야에서 뚜렷한 업적을 남긴 그는 2016년 향년 97세, 백수(白壽)를 눈앞에 둔 때였다. 유해는 백수문학관 뒷산에 수목장으로 안장되었다.

 

 

 

  제2코너인 ‘창작 시집’에는 정완영 시인의 시집과 사진을 전시하여 선생의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1946년 출간 동인지 『오동(梧桐)』을 비롯하여 시조집으로 『채춘보(採春譜)』(1969), 『묵로도(墨鷺圖)』(1972), 『실일(失日)의 명(銘)』(1974) 등이 있다. 1979년 시 100편과 사진 100장으로 환갑기념 시사집 『백수 시선』을 발간하였다.

 

  그 밖에 작품집으로 『나비야 청산가자』, 『엄마 목소리』, 『세월이 무엇입니까』, 『이승의 등불』, 『산이 나를 따라와서』, 동시조집 『꽃가지를 흔들 듯이』, 『연(蓮)과 바람』, 『난(蘭)보다 푸른 돌』, 『오동잎 그늘에 서서』, 『이승의 등불』, 『세월이 무엇입니까』, 『내 손녀 연정에게』 등이 있다. 시조 이론서 『시조창작법』, 『고시조 감상』, 『시조 산책』 등이 있고, 산문집 『다홍치마에 씨 받아라』가 있다.

 

 

 

  제3코너인 ‘문학적 배경’에는 백수 정완영의 시 창작 배경이 그래픽 패널로 설치되어 시인이 글을 쓸 당시 시인의 마음을 헤아려 볼 수 있다.

 

  백수 정완영의 호 ‘백수(白水)’는 김천의 ‘천(泉)’자를 풀어 엮은 것이다. 그의 수많은 작품 안에는 고향이 들어앉아 있다. 고향을 노래한 시조는 100편이 넘는다. 그의 고향은 김천의 봉산면 예지리. 구름도 울고 넘고 바람도 쉬어간다는 추풍령을 등에 지고 소백산맥의 첫 자리 융기봉인 황악산을 바라보며 앉은 고을이다.

 

  벽면 가득 김천의 황악산이 솟아 있고 감천이 굽이쳐 흐른다. 그 앞쪽에 선생의 대표작인 「조국」, 「분이네 살구나무」, 「추청」, 「모과」, 「부자상」 등이 쓰인 유리벽이 서 있다. 고향의 자연과 선생의 시가 한 몸이다. 백수(白水)는 직역하면 ‘흰 물’이라는 뜻이다. 그는 김천의 깨끗한 물, 오염되지 않은 물이 되어 세상을 정화하고자 한 것일까?

 

 

 

  제4코너인 ‘문인과의 교류’에선 소설가 박종화, 시인 구상, 박목월 등의 서간문 및 시인이 받은 훈장, 일기장 등의 소장품을 관람할 수 있다.

 

 

 

  제5 코너 ‘시인의 실제 창작공간’이 연출되어 있다. 즐겨 입던 얇은 코트와 베레모가 옷걸이에 걸려 있고 벽에는 ‘백수시당’이라 새겨진 작은 목판과 그의 작품 ‘직지사운(直指寺韻)’이 유리 액자에 담겨 걸려 있다. 벽 쪽에 선 열 폭 병풍에는 그의 연작시 ‘겨울나무’가 쓰여 있다. 책상 위에는 부채와 원고지, 안경, 펜, 필통, 그리고 문진으로 썼을 법한 작은 돌멩이 하나가 놓여 있다.

 

 

 

  제6 코너 ‘대표 시조’에는 대표 시조 9개 작품 「조국(祖國)」, 「부자상」, 「분이네 살구나무」, 「추청(秋晴)」, 「모과」, 「을숙도」, 「겨울나무 3」, 「겨울나무 5」, 「겨울나무 9」 등이 그래픽 패널로 소개된다. 벽면의 실사와 유리파티션에 이중적으로 겹쳐져 여러 각도에서 배경이 바뀌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행여나 다칠세라/ 너를 안고 고르면/ 떨리는 열 손가락/ 마디마디 애인 사랑/ 손 닿자 애절히 우는/ 서러운 내 가얏고여,//⃫ 둥기둥 줄이 울면/ 초가삼간 달이 뜨고/  흐느껴 목 메이면/ 꽃잎도 떨리는데 / 푸른 물 흐르는 정에/ 눈물 비친 흰 옷자락, // 통곡도 다 못하여/ 하늘은 멍들어도/ 피맺힌 열두 줄은/ 굽이굽이 애정인데/ 청산아, 왜 말이 없이/ 학(鶴)처럼만 여위느냐,” - 「조국(祖國)」

 

  이 시는 가얏고의 애절한 가락에 의탁하여 조국에 대한 애틋한 사랑을 노래한 작품이다. 작자는 가야금 가락이야말로 우리 민족의 한 맺힌 정서를 가장 잘 드러내는 것으로 생각하여 그것에 감정을 이입하여 분단 조국의 슬픔을 노래하였다. 전편에 흐르고 있는 가얏고의 유장한 가락이 민족의 정한을 심화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두메 골 외딴 집에/ 복사꽃 혼자 진다.// ⃫ 사립문 열어놓고/ 물소리도 열어놓고/⃫ 사람은 집 다 비운 채// 복사꽃만 혼자 진다.”의 「복사꽃」에서는 자연에 동화된 두멧골 외딴집의 봄 풍경을 한 폭의 그림처럼 시각적으로 그려냈다.

 

  그리고, “동네서 젤 작은 집/ 분이네 오막살이// 동네서 젤 큰 나무/ 분이네 살구나무// 밤사이 활짝 펴올라/ 대궐보다 덩그렇다.”라고 노래하는 「분이네 살구나무」는 ‘작다’와 ‘크다’의 이미지로 상립(相立)시켜서 시각적 심상을 돋보이게 그려 낸 작품이다. 어느 누구도 감히 침범할 수 없는 백수의 시 세계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제7 코너 ‘탁본 체험공간’에서는 관람객들이 시인의 시를 탁본해 가져 갈 수 있고, 제8코너 정완영의 대표시를 멀티비젼을 통해 감상할 수 있고, 제8코너는 멀티미디어 감상 공간으로 꾸며졌다.

 

 

 

   김천시와 한국문인협회 김천시지부에서는 해마다 백수 정완영 전국 시조백일장을 열어 그의 문학정신를 기리고, 시조 문학 인구의 저변확대에 노력하고 있다.

 

  부근의 세계도자기박물관도 김천의 볼거리 가운데 하나다. 이곳에는 한국도자기와 유럽 도자기 등 1천63 점을 소장하고 있다.

 

 

 

 

◎상세정보

 

►주소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실 118-18 (대항면 운수리 91)

►전화 : 054-436-6834

►관람 : 오전 9시 ~ 오후 6시

►휴관 : 매월 월요일, 신정, 설날 및 추석 당일

►관람료 : 무료

►가는 길 :김천역 앞 좌석버스 111번, 일반버스 11번 이용/ 경부고속도로 추풍령 I.C에서 추풍령방면으로 약 11㎞/ 경부고속도로 김천 I.C에서 추풍령 방면으로 약 9.5㎞, 직지 문화공원 지나 직지사 들어서기 전, 세계도자기 박물관 뒤편에 백수 문학관이 자리한다.

 

 

<출처 : 카카오맵>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