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읽고 싶은 시

낡은 집 / 이용악

by 혜강(惠江) 2020. 8. 11.

 

 

<출처 : 다음 카페 '공중부양-비상'>

 

 

낡은 집

 

 

- 이용악

 

 

날로* 밤으로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
대대손손 물려 줄
은동곳* 산호 관자* 갖지 못했니라.

재를 넘어 무곡* 다니던 당나귀
항구로 가는 콩실이* 늙은 둥글소*
모두 없어진 지 오랜
외양간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
털보네 간 곳은 아무도 모른다.

찻길이 놓이기 전
노루 멧돼지 족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 놓고 뛰어다니던 시절
털보의 셋째 아들
나의 싸리말 동무*는
이 집 안방 짓두광주리* 옆에서
첫울음을 울었다고 한다.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송아지래두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
마을 아낙네들은 무심코
차가운 이야기를 가을 냇물에 실어 보냈다는
그날 밤
저릎등(燈)*이 시름시름 타들어 가고
소주에 취한 털보의 눈도 일층 붉더란다.

갓주지* 이야기와
무거운 전설 가운데서 가난 속에서
나의 동무는 늘 마음 졸이며 자랐다.
당나귀 몰고 간 애비 돌아오지 않는 밤
노랑고양이 울어울어
종시 잠 이루지 못하는 밤이면
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 구석에서
나의 동무는
도토리의 꿈을 키웠다.

그가 아홉 살 되던 해
사냥개 꿩을 쫓아다니는 겨울
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어디론지 사라지고 이튿날 아침
북쪽을 향한 발자국만 눈 위에 떨고 있었다.

더러는 오랑캐령* 쪽으로 갔으리라고
더러는 아라사*로 갔으리라고
이웃 늙은이들은
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제철마다 먹음직한 열매
탐스럽게 열던 살구
살구나무도 글거리*만 남았길래
꽃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울안에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

 

 

- 시집 《낡은 집》(1938) 수록

 

 

◎시어 풀이

 

*날로 : 낮으로.

*흉집 : 흉가(凶家), 사는 사람마다 흉한 일을 당하는 불길한 집.

*은동곳 : 은으로 만든 동곳(상투를 튼 뒤에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물건)

*산호 관자 : 망건에 달아 망건 줄을 꿰는 작은 고리.
*무곡(貿穀) : 이익을 보려고 곡식을 몰아서 사들임. 또는 그 곡식.
*콩실이 : 콩을 싣고 다님.

*둥글소 : 황소, 수소.

*싸리말 동무 : 어렸을 때 마마를 함께 앓으면서 싸리말을 타고 나았던 동무. ‘싸리말’은 싸리로 조그맣게 말처름 만든 것으로, 마마에 걸린 지 12일 되는 날 역신을 쫓아낼 때 쓴다.

*짓두광주리 : 바느질 도구를 담는 그릇인 반짓고리(함경도 방언).

*저릎등 : ‘겨릅등’의 방언. ‘겨릅’은 삼대를 태워 밝히는 등(燈)

*갓주지 : 갓을 쓴 절의 주지 스님. 옛날 아이들을 달래거나 울음을 그치게 할 때 갓주지에 관한 이야기를 즐겨 했음

*오랑캐령 : 두만강 일대에 살던 여진족의 땅.

*아라사(俄羅斯) : ‘러시아’의 음차(音借).
*글거리 : 그루터기(함경남도 방언)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일제의 가혹한 수탈로 인해 고향을 떠나 이국땅을 유랑해야 했던 털보네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일제 강점기의 우리 민족의 비극적인 삶을 드러내고 있다. 화자는 시적 대상인 ‘털보네’의 셋째 아들의 친구인 ‘나’로 동네 어른들에게 들은 ‘털보네’ 가족의 일대기를 객관적인 태도로 담담하게 전달하여 우리 민족의 비극성을 전달하고 있다.

 

   시의 구성방식은 현재 ‘낡은 집’의 모습(1, 2연)-과거 털보네의 일대기(3~7연)-현재 ‘낡은 집’의 모습(8연)의 형식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으며, 인물, 사건, 배경 등을 제시하여 서사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또, 함경도 방언을 즐겨 사용하여 향토적이며 사실적인 느낌을 주어 일제 강점기 농촌의 전형적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이 시는 폐허가 된 ‘낡은 집’을 소재로 일제 강점기의 비참한 현실을 사실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낡은 집에서 살다가 현실적 가난에 못 이겨 이국땅으로 떠나야 했던 털보네 ‘가족 이야기’를 제재로 하고 있는데, 이 작품 속의 화자는 털보네 셋째 아들의 어린 시절 친구로 설정되어 있다.

 

  이 작품의 1, 2연과 마지막 연은 ‘털보네’가 떠나간 뒤 흉가가 된 ‘낡은 집’을 소개하고 있다. ‘낡은 집’은 밤낮으로 왕거미가 줄을 치고, 마을의 흉가로 남은 집이다. 여기서 ‘낡은 집’은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이 겪어야 했던 비참한 삶의 모습이다. 그리고 이 집에서 산 사람들은 후손에게 물려줄 만한 아무것도 갖지 못한 궁핍한 사람들이다. 재 넘어 곡식 장사 다니던 당나귀, 항구로 콩을 싣고 가던 황소도 없어져 외양간엔 초라한 냄새가 가득할 뿐, 여기 살던 ‘털보네’는 어디로 갔는지 행방을 아무도 아는 이가 없다. ‘항구’는 일제 강점기 식민지 수탈의 상징적 공간이다. 그러므로 이 모든 상황은 일제의 수탈로 삶의 기반을 잃고 어디론가 떠나 유랑생활을 해야 하는 우리 민족을 상징한다.

 

  그리고 중간에 삽입된 3~7연은 털보네의 빈궁한 삶과 유랑의 모습이 드러나 있다. 화자의 죽마고우이며 털보네의 셋째 아들은 집 안방 반짇고리 옆에서 출생했지만, 축복을 받지 못한다. 무심코 하는 말이지만 마을 아낙네들은 ‘송아지래두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라고 말한다. 이 ‘차가운 이야기’(청각의 촉각화)는 아이의 탄생이 축복이 아닌, 가난한 살림이 가중(加重)되는 것으로 보고 원망하는 말이다. 그날 밤 털보는 삼대를 태워 불을 밝히는 ‘저릎등’의 등불이 타들어 가는 심정으로, 눈이 붉어질 정도로 술을 마신다. ‘~ 다고 한다’, ‘~ 더란다’라는 표현은 남으로부터 들은 사실을 전할 때 사용하는 서사적인 말투로서 객관적인 표현에서 흔히 사용한다.

 

  그렇게 태어난 화자의 친구는 가난 속에서 늘 마음을 졸이며 살았고, 당나귀 몰고 나간 아버지가 돌아오지 않아 잠을 이루지 못하는 밤에는 방앗간 구석에서 자고, 가난한 중에서도 소박한 ‘도토리의 꿈’을 키우려 하지만 현실은 이를 용납하지 않았다. 그렇게 지내던 친구는 아홉 살 되던 해 겨울밤, 털보네 가족 모두는 눈 위에 발자국만 남기고 국경을 넘어 북쪽으로 야반도주했다. ‘발자국만 눈 위에 떨고 있었다’라는 것은 유랑민의 아픔을 감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마을 이웃 노인들은 털보네가 간 곳은 오랑캐 땅 아니면, 러시아일 것이라고 추측할 뿐이다.

 

  마지막 8연은 황폐해진 낡은 집의 현재 모습을 다시 묘사하여 강조하고 있다. 흉가로 남은 ‘낡은 집’의 과일나무는 그루터기만 남았고, 꽃피는 철이 와도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 황폐한 집이 되어 있다.

 

   이용악 시인이 살았던 경성읍은 ‘우라지오 바다’며 ‘아라사 벌판’으로 진출하는 관문 노릇을 하는 국경도시였다. 이용악의 조부는 여기서 일찍부터 몸소 소달구지에 소금을 싣고 아라사(阿羅斯, 러시아)를 넘나들었다. 이 일은 그의 부친 대(代)에도 계승되었으며 이 일로 하여 이용악은 어릴 무렵 부친을 잃고 말았다. 실제 이용악의 어릴 때 집은 남문 밖 시장 거리에 근접해 있어서 이 같은 사실을 밑받침해 주고 있는데 이를 종합해 볼 때 그의 계층적 성분이 기층인 소상공인 부류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진다.

 

   결국, 이 시는 유랑민이 되어 고향을 떠난 친구 ‘털보네의 이야기’를 담담한 어조로 들려주고 있지만, 털보네 가족의 궁핍한 삶의 공간인 ‘낡은 집’이라는 상징적인 소재를 통해 일제 강점기 고향을 떠나 유랑해야 하는 우리 민족의 비극적인 삶을 보여 주고 있다.

 

 

▲작자 이용악(李庸岳, 1914~1971)

 

 

  시인. 함북 경성 출생. 1935년 《신인문학》에 <패배자의 소원>을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1935년 조선 문학가 동맹에 가담한 후 6·25 때 월북. 그는 일제 강점기에 만주 등지로 떠돌며 살아야 했던 민족의 비극적 현실을 시로 형상화하는 데 주력하였다. 시집으로는 《분수령》(1937), 《낡은 집》(1938), 《오랑캐꽃》(1947) 등이 있다. 1949년 현대시인 전집의 제1집으로 〈이용악집〉이 나왔다. 월북 후, 남한에 《이용악 시전집》(1988), 《북쪽은 고향》〉(1989), 《두만강 너 우리의 강아》(1989) 등이 출간되었다.

 

 

 

►해설 및 정리 : 남상학 시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