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은
- 신동엽
봄은
남해에서도 북녘에서도
오지 않는다.
너그럽고
빛나는
봄의 그 눈짓은,
제주에서 두만까지
우리가 디딘
아름다운 논밭에서 움튼다.
겨울은,
바다와 대륙 밖에서
그 매서운 눈보라 몰고 왔지만
이제 올
너그러운 봄은, 삼천리 마을마다
우리들 가슴 속에서
움트리라.
움터서,
강산을 덮은 그 미움의 쇠붙이들
눈 녹이듯 흐물흐물
녹여 버리겠지.
- 《한국일보》(1968) 게재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통일에 대한 뜨거운 염원을 함축적인 언어로 노래한 시로 분단의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간절한 소망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 시에서 ‘봄’은 통일을 의미하며, 화자는 남과 북이 군사적 대립을 끝내고 우리 민족의 분단을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 극복하여 자주적 · 평화적으로 통일을 이룰 것을 간절히 소망하고 있다.
통일에 대한 뜨거운 염원을 노래하고 있는 이 시는 ‘봄’과 ‘겨울’의 대립적이고 이미지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으며, 적절한 상징과 비유를 사용하여 노래하고 있다. 또한, 단정적인 어조로 화자의 확고한 의지와 신념을 드러내고 있으며, 대유법, 대조법 등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화자가 의도하는 바를 잘 표현하고 있다.
이 시는 분단의 현실을 ‘겨울’, 통일의 시대를 ‘봄’으로 상징하여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1연에서 화자는 ‘봄은/ 남해에서도 북녘에서도/ 오지 않는다’라고 표현하여 통일의 주체가 우리 민족임을 단정적인 어조로 밝히고 있다. 여기서 ‘봄’은 통일이 이루어진 날로 민족의 동질성이 회복되는 날이다. 그리고 ‘남해’와 ‘북녘’은 외세를 상징한다.
2연에서는 우리 국토를 비유(대유)하는 시어들(‘제주에서 두만’, ‘아름다운 논밭’)을 통해 자주적 통일의 기운이 우리 민족이 살고 있는 이 땅에서 움트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여기서 ‘너그럽고/ 빛나는/ 봄의 그 눈짓’은 화해의 기운, 통일의 기운을 의미하며, ‘우리가 디딘/ 아름다운 논밭에서 움튼다’는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에서 통일의 기운이 싹트고 있음을 보여준다.
3연에서는 조국의 분단이 외세에 의해 이루졌지만, 통일은 외세가 아닌 ‘삼천 리 마을마다/ 우리들 가슴 속에서 움터야 한다며 우리 민족의 힘으로 통일을 이루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여기서 ‘겨울’은 ‘봄’과 대립되는 것으로 분단의 현실을 의미하며, ‘바다’와 ‘대륙 밖’은 1연의 ‘남해’, ‘북녘’과 같이 외세를 가리키며, ‘눈보라’는 민족 분단을 의미한다.
마지막 4연에서는 ‘움터서,/ 강산을 뒤덮은 그 미움의 쇠붙이들/ 눈 녹이듯 흐믈흐물/ 녹여 버리겠지’라고 표현하여, 삼천리 마을(‘국토’의 대유)마다 싹튼 통일의 기운이 증오로 가득 찬 군사적 대립과 긴장을 눈 녹이듯 녹여 버려, 결국, 자주적이며 평화적인 통일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라는 예언적 진단을 내리고 있다.
'문학관련 > - 읽고 싶은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문시(散文詩) 1 / 신동엽 (0) | 2020.06.29 |
---|---|
봄의 소식 / 신동엽 (0) | 2020.06.29 |
추운 산 / 신대철 (0) | 2020.06.28 |
편지2 - 이중섭 화가께 / 신달자 (0) | 2020.06.27 |
노을 / 신달자 (0) | 2020.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