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읽고 싶은 시

서울 길 / 김지하

by 혜강(惠江) 2020. 5. 5.


<사진 : 김지하 시인> 




서울 길

 

- 김지하

 

 

간다
울지마라 간다
흰 고개 검은 고개 목마른 고개 넘어
팍팍한 서울길
몸 팔러 간다

언제야 돌아오리란
언제야 웃음으로 화안히
꽃 피어 돌아오리란
댕기 풀 안쓰러운 약속도 없이
간다

울지마라 간다
모질고 모진 세상에 살아도
분꽃이 잊힐까 밀 냄새가 잊힐까
사뭇 사뭇 못 잊을 것을
꿈꾸다 눈물 젖어 돌아갈 것을
밤이면 별빛 따라 돌아올 것을

간다
울지마라 간다
하늘도 시름겨운 목마른 고개 넘어
팍팍한 서울 길
몸 팔러 간다.

 

- 시집 타는 목마름으로(1982) 수록

    

 

이해와 감상

 

 이 시는 1960년대부터 시작된 산업화로 먹고살 길을 찾기 위해 고향을 떠나 서울로 가야만 했던 농촌 젊은이들의 비애를 노래한 작품이다. 감각적 이미지로 고향의 모습을 환기시키고 있으며, ‘간다/ 울지 마라 간다몸 팔러 간다와 같은 시구를 처음과 끝에 배치하여 수미 상관의 구성으로 시적 안정감을 주고 있다.

 

 이 시의 화자는 서두에서 '간다/ 울지 마라 간다' 구절의 단호함과 맞물려 '몸 팔러 간다'는 표현이 시의 서두와 끝에 반복함으로써 결연한 의지를 표현하는 동시에 쓸쓸하고 슬픈 감정을 넘어 농촌을 떠나지 않고서는 먹고 살 수 없는 농촌의 현실에 대한 한스러운 비애를 느끼게 한다. ‘흰 고개 검은 고개 목마른 고개 넘어/ 팍팍한 서울길은 서울 길의 힘듦을 표현하여 서울이 주는 심리적 부담감을 드러낸 것이다. 그리고 몸 팔러 간다는 일용직 노동자로 힘겨운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농촌을 등지고 서울로 가야만 하는 그 길이 목마르고 팍팍하기만 한 길임을 알기에, ‘화안히/ 꽃 피어 돌아오리란/ 댕기 풀 안쓰러운 약속도 없는 것이다. 성공해서 돌아온다는 보장도 없고, 사랑하는 이와 미래를 기약할 수도 없는 것이다. 또한, 그에게 분꽃밀 냄새로 비유된 고향의 기억을 꿈꾸다 눈물에 젖고, ‘별빛을 따라서라도 매일 밤 돌아오고 싶은 그리움으로 남게 될 것 또한 그는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시의 곳곳에서 반복되고 있는 '간다/ 울지 마라 간다'는 것은 대화의 형식이나 내용상 독백조로서, 그를 배웅하는 어느 누구보다도 화자 자신을 향해 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1970년대는 본격적인 경제 발전과 함께 공업화와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전됨에 따라 농어촌의 인구가 도시 및 개발 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급격하게 일어났다. 따라서 산업화로 인한 농촌 해체 과정에서 젊은이들은 돈을 벌기 위해 정든 고향을 떠나 서울로 몰려들었다. 이 시는 먹고 살기 위해 내키지 않는 서울행을 해야 했던 농민들의 아픔을 형상화한 것이다.

 


작자 김지하(金芝河, 1941 ~ )

 

 시인. 전남 목포 출생. 본명은 김영일(金英一). 1969시인<황톳길>, <> 등의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대학 다닐 때 4·19혁명, 6·3사태 등을 겪으면서 학생운동에 깊이 관여했고, 졸업 후에도 박정희 정권의 독재정치에 반대하는 민주화운동의 선두에서 활동했다. 1964년에는 한일회담을 반대, 1970년 담시 오적(五賊)사건, 1974년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 등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는 등 고초를 겪었다.


 그의 시는 초기에는 현실에 대한 자신의 울분을 서정적으로 그렸다. 최근에는 생명사상에 의한 생명에 대한 외경과 달관의 자세로 구도자적 정서를 주제로 노래한다. 대표작으로 <화개>, <흰그늘의 산알 소식과 산알의 흰그늘 노래>가 있다. 시집으로 황토(1970), 타는 목마름으로(1982), 오적(五賊)(1985), 남녘땅 뱃노래(1987), 애린 1·2(1987), 이 가문 날의 비구름(1988), 별밭을 우러르며(1989), 비단길(2006) 등이 있다.


'문학관련 > - 읽고 싶은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화과 / 김지하  (0) 2020.05.05
오적(五賊) / 김지하  (0) 2020.05.05
강강술래 / 김준태  (0) 2020.05.04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 김종삼  (0) 2020.05.04
장편(掌篇) 2 / 김종삼  (0) 2020.05.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