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 김소월
나는 꿈꾸었노라, 동무들과 내가 가지런히
벌* 가의 하루 일을 다 마치고
석양에 마을로 돌아오는 꿈을,
즐거이, 꿈 가운데.
그러나 집 잃은 내 몸이여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이처럼 떠돌으랴, 아침에 저물 손에
새라 새로운 탄식을 얻으면서.
동이랴, 남북이랴
내 몸은 떠가나니, 볼지어다.
희망의 반짝임은, 별빛이 아득함은,
물결뿐 떠올라라, 가슴에 팔다리에.
그러나 어쩌면 황송한 이 심정을! 날로 나날이 내 앞에는
자칫 가늘은 길이 이어가라.
나는 나아가리라.
한 걸음, 또 한 걸음. 보이는 산비탈엔
온 새벽 동무들, 저 저 혼자······산경(山耕)을 김매이는.
- 시집 《진달래꽃》(1925) 수록
◎시어 풀이
*벌 : 벌판
*보습 : 보습 : 쟁기 끝에 달아 땅을 가는 데 쓰이는 농기구
*저물손에 : 저물 무렵에
*황송한 : 형용사 분에 넘쳐 고맙고도 송구한
*가늘은 : 가느다란.
*산경(山耕) : 산에 있는 경작지
▲이해와 감상
이 시는 1920년대 창작된 작품으로, 소월의 시에 흔히 보이는 이별의 정한이나 그리움 등을 노래한 시와는 다르게, 시인의 현실 의식이 강하게 반영된 시라고 볼 수 있다. 이 시는 땅을 잃은 농민의 슬픔과 땅을 되찾고자 하는 의지를 통하여 국권 회복에 대한 염원과 의지를 노래하고 있다.
이 시의 화자는 농사를 짓는 사람이지만, 현재 집도 땅도 잃고 유랑하는 처지를 탄식하고 있었으나 희망을 발견하고, 현실의 암울함과 극복 의지를 소망하는 삶과 현실을 대조하여 드러내고 있다. 영탄법과 도치법을 사용하여 시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으며, 어조의 변화를 통해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시상의 전개 과정을 보면, 1연에서는 화자가 소망했던 꿈과 소망을, 2~3연에서는 집도 땅도 잃고 고통과 절망 가운데 살고 있는 현재의 모습을, 4연은 절망적 현실을 극복하려는 미래지향적인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1연은 화자가 꿈꾸었던 일을 드러내고 있다. 화자는 농사를 지으며 평화롭게 살고 싶은 소망을 꿈꾸었다고 한다. 첫 문장 ‘나는 꿈꾸었노라’의 뒤에 나오는 글은 ‘나는’의 주어와 ‘꿈꾸었노라’의 서술어 사이에 들어갈 것들이 도치되어 표현되고 있다.
그런데 2연에 오면, 소박한 꿈을 꾸며 살았지만 그럼 꿈은 이루어지지 않고, ‘그러나’로 시상이 전환되면서 오히려 집과 땅을 잃고 떠도는 현실의 삶을 탄식하고 있다. ‘집 잃은 내 몸이여’라는 영탄적인 표현은 삶 전체, 즉 국권을 상실하여 절망함을 단정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라면!/ 이처럼 떠돌으랴’는 농사를 지을 땅이 없어 방황하는 자가 되어 탄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3연은 희망이 보이지 않는 고통과 절망의 상황을 노래하고 있다. ‘동이랴, 북이랴, 내 몸은 떠나기니’는 삶의 터전을 잃고 유랑하는 모습이며, ‘희망의 반짝임은, 별빛이 아득임은’은 희망은 아득히 멀게 느껴짐을 드러내는 말이다.
이러한 절망은 4연의 ‘그러나’에서 다시 시상이 전환된다. ‘어쩌면 황송한 이 심정을! 날로 나날이 내 앞에는/ 자칫 가늘은 길이 이어가라, 나는 이어 가리라’라고 외친다. 절망 속의 희망에 감사하면서, 험난하지만 실낱 같은 희망이 보이는 길을 나아가겠다고 한다. ‘이어 가라, 나는 이어가리라’라는 표현은 현실을 극복하려는 미래지향적 의지를 드러내는 것이다. 그 길은 ‘산비탈’ 같은 고난과 역경의 길이지만, ‘한 걸음, 또 한 걸음’ 끊임없이 ‘새벽 동무들’과 함께 산에 있는 경작지를 일구는 자세로 나아가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새벽 동무들’은 희망적인 이미지로, 곧 미래를 개척하는 우리 민족을 가리킨다.
인간이 삶을 영위해 나가는 데 땅은 무엇보다도 소중한 터전이다. 삶의 터전인 땅을 상실하였을 때 인간은 절망할 수밖에 없다. 일제 치하의 우리 민족의 삶은 바로 땅을 잃어버린 절망적인 삶이었다. 소월은 나라를 잃고, 땅도 잃어버린 암담한 현실 속에서 나의 문제로서가 아니라, 우리 민족 전체의 문제로서 현실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는 절망적 상황 속에서 체념하거나 좌절하지 않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강력히 표출하고 있다. '나는 나아가리라./ 한 걸음, 또 한 걸음'에서 드러나는 화자의 단호한 의지는 고난을 극복하려는 미래 지향적 전망을 제시한 것이다.
흔히 소월의 시가 드러내는 어조는 여성적이며 애조를 띤 연민의 목소리였다. 그러나 이 시는 그러한 서정의 세계에서 눈을 돌려 사회와 역사의 반영으로서의 현실을 노래하였다. 이것은 그의 내면의 시가 공감의 폭을 널리 확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작자 김소월(金素月, 1902~1934)
시인. 평북 구성 출생. 본명은 정식(廷湜). 1920년 《창조》에 <낭인(浪人)의 봄>, <그리워>, <춘강(春崗)>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고, 이후 주로 《개벽》을 무대로 활약하였다. 이 무렵 발표한 대표적 작품들로는, 1922년 《개벽》에 실린 <금잔디>, <엄마야 누나야>, <진달래꽃>, <개여울> 등이 있고, 1923년 같은 잡지에 실린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삭주구성(朔州龜城)>, <가는 길>과 《배재》에 <접동>, 《신천지(新天地)》에 실린 <왕십리> 등이 있다.
민요 시인으로 등단한 소월은 이별과 그리움에서 비롯하는 슬픔, 눈물, 정한 등의 전통적인 한(恨)의 정서를 여성적 정조(情調)로서 민요적 율조와 민중적 정감을 표출하였다는 점에서 한국 현대시를 대표하는 민요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시집으로 《진달래꽃》(1925)이 있다.
*해설 및 정리 : 남상학 (시인)
'문학관련 > - 읽고 싶은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못 잊어 / 김소월 (0) | 2020.04.28 |
---|---|
먼 후일 / 김소월 (0) | 2020.04.28 |
왕십리(往十里) / 김소월 (0) | 2020.04.27 |
봄 / 김소월 (0) | 2020.04.27 |
길 / 김소월 (0) | 2020.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