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읽고 싶은 시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 황지우

by 혜강(惠江) 2020. 4. 6.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 황지우

 

 

 

나무는 자기 몸으로
나무이다
자기 온몸으로 나무는 나무가 된다
자기 온몸으로 헐벗고
영하(零下) 십삼도(十三度)
영하(零下) 이십도(二十度) 지상(地上)
온몸을 뿌리박고 대가리 쳐들고
무방비의 나목(裸木)으로 서서
두 손 올리고 벌 받는 자세로 서서
아 벌 받은 몸으로, 벌 받는 목숨으로 
기립(起立)하여, 그러나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온 혼()으로 애타면서 속으로 몸속으로
불타면서
버티면서 거부하면서 영하(零下)에서
영상(零上)으로 영상(零上) 오도(五度)
영상(零上) 십삼도(十三度) 지상(地上)으로
밀고 간다, 막 밀고 올라간다
온몸이 으스러지도록
으스러지도록 부르터지면서
터지면서 자기의 뜨거운 혀로 
싹을 내밀고 
천천히, 서서히, 문득, 푸른 잎이 되고
푸르른 사월 하늘 들이받으면서
나무는 자기의 온몸으로 나무가 된다
아아, 마침내, 끝끝내
꽃피는 나무는 자기 몸으로
꽃피는 나무이다  

 

 

    - 시집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1985)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겨울 나무가 온갖 시련을 이기고 잎과 꽃을 피우는 봄 나무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시로, 나무의 놀라운 생명력과 강인한 의지를 통해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노래하고 있다.

 

 나무를 의인화하여 나무로부터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유추하고 있으며, 계절의 순환이라는 자연적 현상과 상징적, 대립적 시어, 그리고 상승적, 역동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나무의 굳센 의지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 시는 제목에서 나타내고 있듯이, 추운 겨울을 견뎌 내고 봄을 맞아 꽃을 피우는 나무의 모습을 통해, 고통스러운 현실을 이겨 내고 새로운 날을 맞이하리라는 희망을 제시하고 있는데, 구조상으로는 겨울-나무-나무의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 ‘겨울-나무는 고난과 시련을 겪고 있는 상태이고, ‘-나무는 이를 극복하고 생명력이 절정인 상태이다. 화자는 겨울-나무로부터 -나무로의 변화를 통해서 겨울의 시련과 고통을 극복하고 쟁취한 의지의 선물임을 말하고 있다.

 

 1~10행에서 겨울-나무란 고난과 시련을 겪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화자는 1연의 서두와 2연의 말미에서 나무는···(중략)···자기 온몸으로 나무는 나무가 된다라고 선언하듯 말한다. 이 시구를 이해하면, 이 시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그러면 나무자기 몸으로, ‘자기 온몸으로 나무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아마도 이것은 외부의 힘에 의해 좌우되지 않고, 그 외부의 힘에 맞서 싸우고, 외부의 힘을 이겨 냄으로써 비로소 나무나무로 존재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실존철학의 주장과 마찬가지로 나무, 생명은 생명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고통이나 시련과 싸우는 과정에서 생명이 된다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우리는 이 시에 등장하는 나무를 인간 또는 생명으로 확대해서 읽을 수 있다. 가령 3~6행에 등장하는 헐벗고 영하 삼십도 영하 이십 도 지상에/ 온몸을 뿌리박고 대가리 쳐들고 무방비의 나목(裸木)으로 서서/ 두 손 올리고 벌 받는 자세가 바로 그것이다. ‘겨울-나무의 맥락 속에서 나무는 헐벗은 나목이거나 벌 받는 몸 또는 목숨으로 형상화되는데, 이때 나무는 생명체로서의 나무가 아니라 벌을 내리는 외부의 힘에 의해 조종되는 대상일 뿐이다.

 

 하지만 겨울-나무의 상태는 작품의 중반부를 지나면서 서서히 바뀐다. 그것은 정확히 나무가 버티면서 거부하면서 영하에서/ 영상으로밀고 올라가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영하에서 영상으로 밀고 올라가는 이 과정이야말로 생명으로서의 나무가 탄생하는 순간이다. 그런데 외부의 부정적 현실에 맞서는 나무의 싸움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우선 그것은 온몸이 으스러지도록 으스러지도록 부르터지면서/ 터지면서 자기의 뜨거운 혀로 싹을내미는 과정처럼 격렬하다. 이 격렬한 싸움으로 인해 나무는 비로소 푸른 잎을 틔운다. 그리하여 시인은 이 과정 끝에 도달한 -나무푸르른 사월 하늘 들이받으면서처럼 온몸으로 들이받는 행위로 설명한다. 이 들이받음이 목숨을 건 싸움이고, 이 싸움을 통해서만이 나무는 자기의 온몸으로 나무가 된다라는 진술은 성립한다.



  결국, 우리가 일상적으로 목격하는 꽃피는 나무의 형상은 이 싸움에서 살아남은 나무의 생명력으로 인해 가능한 것이다. 시인은 이러한 자연, 나무의 생명력을 형상화함으로써 불행한 현실을 살아가는 동시대의 사람들에게 상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 시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게로>1985년에 출간된 첫 시집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에 실려 있는 작품으로, 암울했던 80년대의 정치적 분위기를 선명하게 담고 있는 80년대 최대 문제작으로 평가된다. 그러므로 황지우의 초기작들이 모두 그렇듯이, 이 시는 나무가 부정적인 현실을 극복하고 꽃을 피운다는 생명력에 대한 예찬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1980년대의 불행한 현실이나 부당한 권력에 맞서려는 의지가 투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나무가 영하(零下)의 온도를 버티면서 거부하면서자신을 영상(零上)으로 밀어 올리는 장면은 외부의 억압적 현실을 이겨 내려는 생명력의 상징, 즉 민중적인 희망에의 의지로 읽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작자 황지우(黃芝雨, 1952 ~ )

 

 

 시인. 본명 황재우. 전남 해남 출생. 1980중앙일보신춘문예에 <연혁(沿革)>이 입선, 문학과 지성에 수필 대답 없는 날들을 위하여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섬세한 감각, 아름다운 서정과 시대에 대한 분노가 교묘하게 결합한 시를 주로 썼다.

 

 김수영 문학상 수상작인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1983)라는 기호, 만화, 사진, 다양한 서체 등을 사용하여 시 형태를 파괴함으로써 풍자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시집으로는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1985), 나는 너다(1987), 소용돌이무늬 속의 연꽃(1990), 게눈 속의 연꽃(1990), 저물면서 빛나는 바다(1995), 백석문학상 수상작인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1998)가 있다. 시작 활동뿐만 아니라 극작 및 미술평론에서도 능력을 보였다.

 

 

 

<해설 및 장리> 남상학 (시인)

 

 

 

 

'문학관련 > - 읽고 싶은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를 기다리는 동안 / 황지우  (0) 2020.04.07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 황지우  (0) 2020.04.07
비 / 황인숙  (0) 2020.04.06
비문(飛蚊) / 황동규  (0) 2020.04.06
풍장(風葬) / 황동규  (0) 2020.04.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