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렌지
- 신동집
오렌지에 아무도 손을 댈 순 없다.
오렌지는 여기 있는 이대로의 오렌지다.
더도 덜도 아닌 오렌지다.
내가 보는 오렌지가 나를 보고 있다.
마음만 낸다면 나도
오렌지의 포들한 껍질을 벗길 수 있다.
마땅히 그런 오렌지
만이 문제가 된다.
마음만 낸다면 나도
오렌지의 찹잘한 속살을 깔 수 있다.
마땅히 그런 오렌지
만이 문제가 된다.
그러나 오렌지에 아무도 손을 댈 순 없다.
대는 순간
오렌지는 이미 오렌지가 아니고 만다.
내가 보는 오렌지가 나를 보고 있다.
나는 지금 위험한 상태다.
오렌지도 마찬가지 위험한 상태다.
시간이 똘똘
배암의 또아리를 틀고 있다.
그러나 다음 순간,
오렌지의 포들한 껍질에
한없이 어진 그림자가 비치고 있다.
누구인지 잘은 아직 몰라도.
- 시집 《누가 묻거든》(1989)
◎시어 풀이
포들한 : 부드럽고 도톰한
또아리 : ‘똬리’의 잘못, 둥글게 빙빙 틀어 놓은 것. 또는 그런 모양.
이 작품은 ‘오렌지’를 소재로 하여 철학적 인식을 형상화한 시로, 존재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일임을 말하고 있다.
화자인 ‘나’는 일상적 사물로서의 오렌지와 본질적 의미로서의 오렌지를 대립적으로 제시하여, 사물의 본질에 가 닿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표현하는 한편 본질 파악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기도 하다.
관념적이요 형이상학적인 존재의 본질 탐구라는 철학적 문제를 구체적인 언어와 상징적인 수법을 사용하여 동일 어구를 반복하여 표현하고, 다양한 심상(시각, 촉각, 미각)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1연에서는 존재의 의미가 파악되기 이전의, 인식 대상으로서의 오렌지를 표현하고 있다. ‘오렌지에 아무도 손을 댈순 없다’는 첫 문장에서 ‘오렌지’는 관념적 대상으로서의 오렌지이며, ‘아무도 손 댈순 없다’는 것은 진정한 본질에 미미지 못하는 것으로 본질을 알아보려는 시도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내가 보는 오렌지가 나를 보고 있다’는 것은 ‘나’와 오렌지가 동등한 존재라는 것을 말해준다.
2~3연에서, 이 시에서 화자는 마음만 먹으면 오렌지의 포들한 껍질을 벗길 수도 있고, 찹잘한 속살을 깔 수도 있다. 그런데 그 오렌지에 손을 대는 순간 오렌지는 오렌지로서의 본질을 잃게 된다. 여기에서 오렌지는 이 세상의 사물을 대표하는 하나의 대상이며, 그 오렌지의 포들한 껍질을 누구나 벗길 수 있는 것처럼 우리는 사물의 일상적, 표면적 의미는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시인은 4연에서 ‘그러나 오렌지에 아무도 손을 댈 순 없다.’ 라고 하여 사물의 진정한 의미, 즉 본질을 파악하는 것은 지극히 어렵다는 점을 다시 말하고 있다. 그리고 ‘시간이 똘똘/ 배암이 또아리를 틀고 있다’면서 오렌지의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는 무의미한 시간이 흘러간다고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한다.
하지만 마지막 연에서는 누구인지 아직은 잘 모르지만 ‘한없이 어진 그림자가 비치고 있다’고 말함으로써, 사물의 본질을 인식할 수 있을 것 같은 한 가닥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시인. 대구 출생. 1948년 《대낮》이라는 시집으로 문단에 나왔고, 1954년 <서정의 유형>으로 자유문학상을 받아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시집으로 《서정의 유형》(1954), 《모순의 물》(1963), 《들끓는 모음》(1965), 《새벽녘의 사랑》(1970), 《송신》(1973), 《미완의 밤》(1976), 《해뜨는 법》(1977), 《송별》(1986), 《누가 묻거든》(1989) 등이 있다.
신동집의 시는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인간의 존재의식을 추구하였으며, 문체와 소재의 다양한 실험을 시도하여 시의 표현 기교를 증대시켜 온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해설 및 정리> 남상학 시인
'문학관련 > - 읽고 싶은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운동회 / 이성교 (0) | 2020.03.30 |
---|---|
세한도(歲寒圖) - 벼루읽기 / 이근배 (0) | 2020.03.29 |
향(香)아 / 신동엽 (0) | 2020.03.29 |
산에 언덕에 / 신동엽 (0) | 2020.03.28 |
종로 5가 / 신동엽 (0) | 2020.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