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읽고 싶은 시

종로 5가 / 신동엽

by 혜강(惠江) 2020. 3. 28.

 

 

 

 

종로 5

 

 

- 신동엽

 

 

 

이슬비 오는 날,
종로 5가 서시오판 옆에서
낯선 소년이 나를 붙들고 동대문을 물었다.

 

밤 열한 시 반,
통금에 쫓기는 군상(群像) 속에서 죄 없이
크고 맑기만 한 그 소년의 눈동자와
내 도시락 보자기가 비에 젖고 있었다.

 

국민학교를 갓 나왔을까.
새로 사 신은 운동환 벗어 품고
그 소년의 등허리선 먼 길 떠나온 고구마가
흙 묻은 얼굴들을 맞부비며 저희끼리 비에 젖고 있었다.

 

충청북도 보은 속리산, 아니면
전라남도 해남 땅 어촌(漁村) 말씨였을까.
나는 가로수 하나를 걷다 되돌아섰다.
그러나 노동자의 홍수 속에 묻혀 그 소년은 보이지 않았다.

 

그렇지.
눈녹이 바람이 부는 질척질척한 겨울날,
종묘(宗廟) 담을 끼고 돌다가 나는 보았어.
그의 누나였을까.
부은 한쪽 눈의 창녀가 양지쪽 기대앉아
속내의 바람으로, 때 묻은 긴 편지를 읽고 있었지.

 

그리고 언젠가 보았어.
세종로 고층 건물 공사장,
자갈지게 등짐하던 노동자 하나이
허리를 다쳐 쓰러져 있었지.
그 소년의 아버지였을까.
반도의 하늘 높이서 태양이 쏟아지고,
싸늘한 땀방울 뿜어낸 이마엔 세 줄기 강물.
대륙의 섬나라의
그리고 또 오늘 저 새로운 은행국(銀行國)
물결이 뒹굴고 있었다.

 

남은 것은 없었다.
나날이 허물어져 가는 그나마 토방 한 칸.
봄이면 쑥, 여름이면 나무뿌리, 가을이면 타작마당을 휩쓰는 빈 바람.
변한 것은 없었다.
이조(李朝) 오백 년은 끝나지 않았다.
옛날 같으면 북간도(北間島)라도 갔지.
기껏해야 버스길 삼백 리 서울로 왔지.
고층 건물 침대 속 누워 비료 광고만 뿌리는 거머리 마을,
또 무슨 넉살 꾸미기 위해 짓는지도 모를 빌딩 공사장,
도시락 차고 왔지.

 

이슬비 오는 날,
낯선 소년이 나를 붙들고 동대문을 물었다.
그 소년의 죄 없이 크고 맑기만한 눈동자엔 밤이 내리고
노동으로 지친 나의 가슴에선 도시락 보자기가
비에 젖고 있었다.

 


                 - 동서춘추(1967)

 

 

시어 풀이

 

서시오판 : 신호등

자갈지게 : 자갈을 담은 지게

등짐 : 등에 진 짐

은행국(銀行國) : 자본국

토방 한 칸 : 토방이 딸린 작은 방.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산업화가 진행되던 1960년대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주한 농민들이 도시에서 노동자나 거리의 여자로 변해 가는 모습을 바라보며 산업화의 물결에 희생되는 민중들의 비애를 형상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따라서, 이 시의 화자인 는 노동자의 신분으로, 근대화에 대한 강한 거부감과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비판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 시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묘사로 당대의 사회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소년의 이야기를 반복함으로써 시상을 집약하고 있다. ‘창녀노동자를 떠올리는 회상 장면을 중간에 삽입하여 민중의 비극적 현실을 부각하였고, 1연과 2연이 9연에서 변형되어 반복되면서 주제 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시는 화자가 종로 5가 신호등 앞에서 동대문을 묻는 한 소년과 만남을 계기로 당대 민중들의 운명을 서술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전 9연의 이 시는 내용상 크게 5단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단락은 12연으로 한 소년과 만남이 제시된 부분이다. ‘이슬비 내리는 날통금에 쫓기는 밤 열한 시 반이라는 시간적 배경과 종로 5가 서시오판 옆이라는 공간적 배경이 자아내는 절박한 상황은 크고 맑기만 한 그 소년의 눈동자와 대비됨으로써 더욱 고조된다. 한편, ‘서시오판은 신호등을 뜻하는 것으로 소년의 운명의 갈림길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소년의 눈동자내 도시락 보자기가 비에 젖고 있었다라는 표현은 같은 민중의 시각에서 소년에게 동정과 연민을 드러냄 것이다.


 둘째 단락은 34연으로 소년의 모습과, 그것으로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는 소년의 운명을 암시하는 부분이다. ‘새로 사 신은 운동환 벗어 품고에서 때묻지 않은 동심을 엿볼 수 있으며, ‘저희끼리 비에 젖고 있는/ 먼 길 떠나온 고구마는 따스한 온정을 지닌 존재임을 알게 해 준다. 그러나 노동자의 홍수 속에 묻혀 보이지 않는 그에게서 어린 노동자로서 그가 헤쳐나가야 할 비극적 운명이 상징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셋째 단락은 56연으로 언젠가 보았던 창녀와 막노동자의 모습을 회상하는 부분이다. ‘그렇지라는 한 마디는 자신의 기억 속에서 떠올린 사실의 분명함을 요약하는 말이다. 화자는 그들을 소년의 가족이 아닐까 상상해 본다. 화자는 양지 쪽 기대 앉아/ 속내의 바람으로 때 묻은 긴 편지를 읽고 있는 부은 한쪽 눈의 창녀고층 건물 공사장에서 허리를 다쳐쓰러져 있는 등짐하던 노동자가 겪는 개인적 비극을 세 개의 외세 대륙섬나라새로운 은행국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다. 반도라는 지정학적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민족의 고난을 대륙섬나라로 나타내고 있으며, 미국 자본에 의존하여 수출 주도형 산업화 정책을 펼치고 있는 60년대 경제 정책을 새로운 은행국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인의 투철한 현실 인식은 결국 화자로 하여금 현실은 이조 오백 년과 다를 것이 없으며, 8연의 북간도로 갈 수밖에 없었던 일제 강점기에 비해 나을 것이 없다는 극단적인 생각을 갖게 하는 것이다.

 

 넷째 단락은 78연으로 농촌의 황폐한 현실과, 그로 인한 농민들의 이농(離農) 현상을 요약하여 보여준다. ‘남은 것은 없었다’, ‘변한 것은 없었다’, ‘이조 오백 년은 끝나지 않았다로 이어지는 화자의 애환 어린 탄식과 옛날 같으면 북간도라도 갔지라는 자조 섞인 독백에서 당시 농촌 현실의 궁핍화를 충분히 헤아려 볼 수 있다

 

 마지막 단락인 9연은 1연과 2연을 변형 반복하는 부분으로, 화자의 신분을 노동으로 지친 나라는 구체적 표현으로 알려주고 있다. ‘낯선 소년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지식인의 시각이 아니라, 같은 노동자의 입장에서 그의 고통을 바라보는 화자의 동정심과 애정은 마침내 나의 가슴에선 도시락 보자기가/ 비에 젖고 있었다라는 끝 구절로 용해됨으로써 전편에서 서술된 내용에 대한 신빙성을 한층 더 강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노동자 계급인 화자의 눈에 비친 현실은 이슬비 오는 날로 시작하여 비에  젖고 있었다로 끝나는 작품의 어두운 분위기만큼 침울하고 고통스럽다.

 

 

작자 신동엽(申東曄, 1930-1969)

 


 시인. 충남 부여 출생. 195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장시 <이야기하는 쟁이군의 대지>가 석림(石林)이라는 필명으로 당선, 등단하였다.

 

 민족 현실에 대한 치열한 의식을 바탕으로 한 시를 발표하였다. 민족 고통을 전제로 한 참여적 경향의 시와 분단 조국의 현실적 문제에 관심을 표명한 서정시와 서사시를 썼다. 시집에 《아사녀》, 《금강》,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등이 있다.

 

 

 

<해설 및 정리> 남상학 (시인)

 

 

 

'문학관련 > - 읽고 싶은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香)아 / 신동엽  (0) 2020.03.29
산에 언덕에 / 신동엽  (0) 2020.03.28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 신동엽  (0) 2020.03.28
껍데기는 가라 / 신동엽  (0) 2020.03.28
나목(裸木) / 신경림  (0) 2020.03.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