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읽고 싶은 시

오감도(烏瞰圖) / 이상

by 혜강(惠江) 2020. 2. 22.





오감도(烏瞰圖)

 

                           - 이 상


 

13인의아이도로로질주하오.
(길은막다른골목이적다하오.)

1의아해가무섭다고그리오.
2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3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4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5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6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7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8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9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10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11의아해가무섭다고그리오.

12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13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13인의아해는무서운아해와무서워하는아해와그렇게뿐이모엿소.

(다른사정은없는것이차라리나았소)

그중에1인의아해가무서운아해라도좋소.
그중에2인의아해가무서운아해라도좋소.
그중에2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
그중에1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

(길은뚫린골목이라도적당하오.)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지아니하여도좋소.  

 

                           - 조선중앙일보(1934)

 

 

<시어 풀이>

오감도(烏瞰圖) : 조감도(鳥瞰圖)를 조작하여 만든 조어. 까마귀의 이미지를 통해 부정적이고 불길한 분위기를 만듦.



이해와 감상

 

 작품 <오감도>는 초현실주의적 경향을 나타내는 오감도연작시 중의 첫 작품(시 제1)으로, 형식 파괴와 새로운 기법(자동기술법)으로 현대인의 본질적 실존을 제재로 하여 현대인의 불안 심리와 두려움을 드러내고 있다. 동일한 통사 구문의 반복이 특징이다.


 <오감도>1934724일부터 88일까지 조선중앙일보에 연재된 작품으로, 원래는 30회를 목표로 연재를 시작하였으나 독자들의 항의가 빗발쳐 더 이상 연재를 할 수 없어 15회에 중단되고 말았다. 처음 이 작품이 발표되었을 때, 그에 대한 비남은 극에 달했다. 모무지 알 수 없는 난해시라는 말과 함께 피해 망상이나 과대 망상에 사로잡힌 정신병자에 불과하다는 혹평을 받고 중도 하차했지만, 한편으로는 이상이야말로 구태(舊態)의 한국 문학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모더니즘 문학의 진경을 펼쳐 보인 점에서 앞서간 문학으로 최초의 모더니스트로서 현대 문학의 기수라는 극찬을 받기도 했다.

 

 우선 제목의 <오감도(烏瞰圖)>는 원래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상태의 그림이나 지도를 뜻하는 조감도(鳥瞰圖)’인데, 작가가 일부러 까마귀 오()를 사용함으로써 까마귀가 내려다본 세상으로 표현하여 사람들에게 낯섦을 환기시키고 한편으로는 불길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아이아해로 표기한 것도 아이라는 낱말이 환기하는 언어의 일상적 습관성을 낯설게 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도는 띄어쓰기를 파괴함으로써 기존 질서를 거부하려는 데에서도 나타나는데, 이것은 당대 삶의 질서를 부조리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데에서 연유한 것으로, 당대의 시단에 충격을 주고, 새로운 질서 체계를 추구하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시는 서두부터 심상치 않다. 1연에서 ‘13’, ‘질주‘, ‘막다른 골목이 그렇고 2연에 반복적으로 사용된 무섭다라는 표현이 그것이다. 이들 시어들은 제목에 보이는 까마귀와 더불어 불길하고 불안함으로 다가온다. 우선 ‘13’이라는 숫자는 서양에서는 일반적으로 불길함을 상징하며, 또한 불안감이 감도는 예수의 최후의 만찬에 참석한 사람 수와 관계된다. ‘막다른 골목은 탈출구가 차단된 절망적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13인의 아이가 질주한다는 것은 불길한 공포를 느끼고 있는 자아의 분신이거나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 살라아가는 불안하게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시인이 처한 시대 상황, 즉 일제 강점기와 연결시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 벗어나려는 행위가 질주한다이다.

 

  그런데 막다른 골목에 갖힌 ‘13은 모두 무섭다. 이것은 시적 공간으로 설정된 막다른 골목처한, 불안한 인간의 심리의식을 보여준다. 나열 형식의 반복적 형식은 무서움을 강조하려는 표현 방식이다. ‘무서운아이와무서워하는아이는 공포의 주체이며 객체일 뿐 무서운 것은 매양 마찬가지다. 이들 모두 현대인의 불안의식을 드러낸다.

 

  마지막 연의 길은뚫린골목이라도적당하오1연의 길은막다른골목이라도좋소와 대립하는 역설적인 표현이다. 골목이 막혔든 뚫렸든, 아이들이 질주하든 안 하든, 무서운 아이이든 무서워하는 아이이든 상관없다고 말한다. 공포로부터의 탈출이 불가능한, 다시 말해서 질주의 의미가 없음을 가리킨다. 따라서 ‘13의 아이들은 도로를 질주하지 않아도 좋다. 결국, 시인을 둘러싼 불안감이나 공포심은 상황이 어떻게 변해도 결국은 존재하게 된다는 것으로, 이것은 현대인들이 느끼는 심리적 정황과 유사하다.

 

  이상은 시대를 앞서 갔던 인물이다. 게다가 자유와 개성을 추구했던 그로서는 모든 인간적 가치와 자유가 박탈된 식민지 상황을 제대로 수용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처럼 비극의 시대를 살았던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고뇌와 방황, 벗어날 수 없는 절망적 현실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이상은 냉소적 인식과 표현을 통해 드러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작자 이상(李箱, 1910~1937)

 

 본명은 김해경(金海卿). 서울 출신. 3세 때부터 부모 슬하를 떠나 통인동 본가 큰아버지 김연필(金演弼)의 집에서 성장하였다. 1921년 누상동에 있는 신명학교(新明學校)를 거쳐 1926년 동광학교(東光學校 : 뒤에 보성고등보통학교에 병합), 1929년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를 졸업하였다. 그 해 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사로 근무하면서 조선건축회지 조선과 건축의 표지도안 현상모집에 당선되기도 하였다.

 

 1933년에는 각혈로 기사의 직을 버리고 황해도 배천(白川) 온천에 요양 갔다가 돌아온 뒤 종로에서 다방 제비를 차려 경영하였다. 이 무렵 이태준·박태원·김기림·윤태영·조용만 등과 교류하였다. 1934년에 구인회(九人會)에 가입하여, 특히 박태원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1>에 삽화를 그려주기도 하였다.


 그의 작품 활동은 1930조선에 첫 장편소설 <1212>을 연재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뒤 <이상한 가역반응> <파편의 경치> <공복> <삼차각설계도(三次角設計圖)> 등을 발표하였다. 이어 1933가톨릭청년에 시 <193361> <꽃나무> <이런 시()> <거울> 등을, 1934월간매신(月刊每申)<보통기념> <지팽이 역사(轢死>, 조선중앙일보에 국문시 <오감도(烏瞰圖)> 등 다수의 시작품을 발표하였다. 특히, <오감도>는 난해시로서 당시 문학계에 큰 충격을 일으켜 독자들의 강력한 항의로 연재를 중단하였던 그의 대표시이다. 수필에는 <권태> <산촌여정(山村餘情)>, 소설로는 <날개> <지주회시(蜘蛛會豕)> <동해(童骸)> 등이 있다.

 

 이상은 1930년대를 전후하여 세계를 풍미하던 자의식 문학 시대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의식 문학의 선구자인 동시에 초현실주의적 시인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의 문학에 스며 있는 감각의 착란(錯亂), 객관적 우연의 모색 등 비상식적인 세계는 그의 시를 난해한 것으로 성격 짓는 요인으로서 그의 개인적인 기질이나 환경, 그리고 자전적인 체험과 무관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현실에 대한 그의 비극적이고 지적인 반응에 기인한다.

 

 그리고 그러한 지적 반응은 당대의 시적 상황에 비추어볼 때 한국 시의 주지적 변화를 대변함과 동시에 현대시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는 계기가 되었다. , 그러한 지적 태도는 의식의 내면세계에 대한 새로운 해명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무의식의 메커니즘을 시세계에 도입하여 시상의 영토를 확장하게 하였다. 그의 시는 전반적으로 억압된 의식과 욕구 좌절의 현실에서 새로운 대상(代償) 세계로 탈출하려 시도하는 초현실주의적 색채를 강하게 풍기고 있다.

 

 1936, 변동림과 혼인한 뒤 곧 일본 동경으로 건너갔으나 1937년 사상불온혐의로 구속되었다. 이로 인하여 건강이 더욱 악화되어 그 해 428세로 동경대학 부속병원에서 사망하였다. 평론가 김기림(金起林)이상의 죽음이 한국문학을 20년 후퇴시켰다며 아까워했다.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문학관련 > - 읽고 싶은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상(川上)에 서서 / 박재륜  (0) 2020.02.22
꽃나무 / 이상  (0) 2020.02.22
거울 / 이상  (0) 2020.02.22
오월의 유혹 / 김용호  (0) 2020.02.21
창(窓) / 김현승  (0) 2020.02.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