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기 및 정보/- 강원도

강원도 고성 왕곡마을 탐방

by 혜강(惠江) 2021. 5. 14.

강원도 고성 왕곡마을

 

기와집과 초가집이 옹기종기 자리 잡은 전통마을

 

탐방일 : 2021.5.12

 

 

 

▲왕곡마을 전경

  고성 왕곡마을은 강원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에 있다. 조선 후기(18∼19세기)의 한옥 건축을 보여주는 전통마을이다. 왕곡마을은 양반이 아닌 평민들이 살던 마을이다. 소박하고 담백한 한옥이 허물없이 모여 앉아 마을을 이루었다. 2000년 1월 7일 중요 민속문화재 제235호로 지정되었다.

 

 왕곡마을은 속초에서 고성으로 이어지는 7번 국도에서 서쪽으로 약 1.5㎞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송지호 북쪽에 들어선 왕곡마을은 해변과의 거리가 불과 1.3km인데 묘하게도 마을에서는 파도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다섯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들이 마을 둘레를 에워싸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산들이 에워싸고 있는 덕에 한국전쟁 때에도 대부분 집은 폭격을 피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오늘날까지도 고택들이 고스란히 보존되어 전통마을 분위기를 잘 간직하게 된 것이다. 안동 하회마을이나 순천 낙안읍성 마을처럼 규모가 큰 것도 아니고 번듯한 외관을 갖춘 집들이 많은 것도 아니지만, 일단 마을 안에 들어서면 과거로의 시간 여행에 빠져드는 느낌을 준다.

 

 왕곡마을은 중앙의 개울을 따라 이어져 있는 마을 안길을 중심으로 산을 등지고 있다. 왕곡(旺谷)은 다섯 개의 산으로 둘러싸여 계곡을 이루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오봉리(五峰里)는 오음산(五音山)을 주산으로, 두백산(頭伯山), 공모산(拱帽山), 순방산(脣防山), 제공산(濟孔山), 호근산(湖近山)의 5개 봉우리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에서 지어진 명칭이다.

 

 

▲왕곡마을 안내도
▲왕곡마을 보존회
▲왕곡마을 마을회관

 고려 말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분인 양근함씨(楊根咸氏) 함부열(咸傅烈)이 조선 건국에 반대하여 인근 간성 지역에 낙향하였고, 그의 손자 함영근이 이곳 왕곡마을에 정착하면서 마을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강릉 최씨가 들어오면서 마을은 최씨와 함씨의 집성촌이 됐다. 그러다 보니 고성왕곡마을보존회 회장부터 사무국장, 마을 주민까지 서로서로 가족이고 사촌이자 친척이다.

 

 19세기 말 인구가 증가하면서 마을은 금성(錦城), 왕곡(旺谷), 적동(笛洞)의 세 마을로 분리되었다가 일제 강점기 때 다시 합쳐서 오봉(五奉)이라 불렸다. 이곳은 19세기 말 동학(東學)의 활동과 관련이 깊다. 동학의 2대 교주였던 최시형(崔時亨)이 1889년 이곳에 머물며 포교활동을 하였고, 1894년 동학혁명 당시에는 관군을 피해 함일순 가옥에서 지내며 전력을 재정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마을 입구에는‘동학의 빛 왕곡마을’이라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마을 어귀에 들어서면 대형 안내판을 끼고 있는, 수령 150여 년을 넘은 노송 거목 10여 그루가 솔향을 뿜으며 여행객들을 반긴다. 마을은 마을을 중심으로 흐르는 개울을 중심으로 좌우로 가옥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

 

 

▲마을 어귀의 안내판과 노송, 그리고 장승들
▲마을은 개울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자리를 잡았다.

 현재 마을에는 기와 20여 채, 초가 30여 채가 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많은 초가가 밀집 보존되어 있다. 이것은 19세기 전후에 걸쳐 지어진 것이다. 부자 동네도 아닌데 기와집이 제법 많았던 것은 더 안쪽의 구성리 마을에 기와를 만드는 가마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가옥 사이에는 비교적 넓은 텃밭이 있어서 이를 경계로 가옥들이 분산 배치되어 있다.

 

 

▲집 옆에 딸려있는 감자밭

  왕곡마을은 양반이 아닌 양민이 살아온 곳이어서 양동마을의 향단이나 관가정처럼 이 집만이 특별하다 할 만한 집이 없고 모두 그만그만하다. 특별히 어느 집을 내세워 집안의 내력과 건축적인 의미를 미화할 필요가 없는 민속주택이니, 굳이 어느 한 집을 국가 문화재로 지정할 까닭도 없었다. 그래서 마을 전체를 민속문화재로 지정한 연유다.

 

 

▲왕곡마을 정자

 

▲겨울 추위를 이기려는 의지가 담긴 가옥구조가 돋보인다.

 왕곡마을의 굴뚝은 우람하다. 집마다 모양을 다르게 만들었는데, 이 중 특이한 것은 진흙과 기와를 한 켜씩 쌓아 올리고 항아리를 엎어 놓았다. 이 항아리 굴뚝은 집 외부로 열기가 바로 나가는 것을 막고 초가에 불이 옮겨붙는 것도 방지한 왕곡마을 선조의 지혜다.

 

 

▲왕곡마을의 특이한 굴뚝, 항아리를 올려놓은 것에서 선인들의 지혜가 엿보인다.

  마을 안길과 바로 연결되는 앞마당은 가족의 공동작업 공간 역할을 하면서 외부인에게 개방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대부분 가옥은 남향이나 남서향으로 건축하였고, 높은 기단을 보이며, 대문이 없고, 앞쪽에는 담장도 만들지 않았다. 겨울철 바람과 눈이 많은 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것인데, 겨울철 많은 적설량에 대비하면서, 충분한 일사량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것이며, 많은 적설량으로 인한 외부와의 고립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가옥구조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의 평면을 보이며, 안방, 도장방, 사랑방, 마루, 부엌이 한 건물 내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부엌에 외양간이 붙어 있다, 따라서 외양간은 부엌을 통해서만 출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강원 북부지방의 고유 가옥구조를 보여주는데, 온기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눈이 많이 내리고 추운 산간지방에서의 겨울철을 가옥 내부에서 지낼 수 있도록 배려한 선인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기단 위에 집을 세우고, 외양간을 부엌에 달아놓은 형태

 안방의 난방은 부엌에서 하도록 시설하였지만, 부엌을 기준으로 사랑방까지의 거리가 멀어 사랑방은 외부에서 난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아궁이를 설치하였다. 이 아궁이 위로는 가적(집의 측면벽에 달아 외쪽지붕으로 꾸민 것)을 달아내어 비나 눈을 막아 아궁이에 물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등 원활한 난방을 도모하였다.

 

 부엌에서 통하는 뒷마당은 여성들만의 공간으로서 외부의 시선 차단과 겨울의 북서풍을 막기 위해 비교적 높은 담장을 만들었으며, 일부에서는 산죽(대나무)을 이용하여 시설하기도 하였다. 이런 배치는 뒷마당은 보이지 않고 지붕만 보이도록 하여 여성들의 가사 및 노동 활동을 배려한 구조이다.

 

 

▲높이 쌓은 뒷담은 아낙네의 공간이다.

 이 마을은 효자각이 2개나 있는 효자 마을이기도 하다. 예스러운 분위기를 간직한 마을이라 때때로 드라마나 영화의 촬영 무대로 등장한다. TV 문학관의 ‘홍어’를 비롯하여 영화 ‘동주’, ‘배달의 기수’ 등 다수의 반공 영화가 이곳에서 촬영되었다. 마을 사람들은 엑스트라로 나선 경력들을 자랑하기도 한다.

 

 

▲마을 내의 효자각

  특히 영화 <동주>는 북간도의 용정을 배경으로 시작한다. 강원도 고성 왕곡마을에서 촬영한 장면이다. 왕곡마을은 북방식 한옥 문화재 마을이어서 북간도의 용정과 많이 닮아 있다. 영화에 나오는 정미소, 우물 터, 그네터 역시 그대로다.

 

  영화 <동주>는 용정 시절 윤동주의 모습을 그리며 시작한다. 윤동주와 송몽규, 문익환 세 친구의 성장기다. 흑백 화면에 잡힌 마을은 북간도 용정인 양 자연스럽다. 만주 북간도의 명동촌에서 태어난 동주는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하기까지 용정에서 살았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 한 점 부끄럼 없기를, /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 나는 괴로워했다." 하루 묵어가며 별을 헤아릴 만하다.

 

 

▲영화 '동주' 촬영장 표지판과 가옥

 왕곡마을 사람들의 주업은 논농사. 작게는 1천 평, 크게는 1만 평 정도의 논농사를 짓는다. 4년 전만 해도 감자를 많이 경작했다고 하는데 판로가 없어 지금은 식구들 먹을 정도로만 재배한다. 해풍이 불어오는 데다 일교차가 심한 기후 탓에 잡곡 농사도 잘 안되어 밭에서조차 밭벼를 재배한다. 

 

 

▲파종을 위한 씨옥수수
▲농기구와 디딜방아
▲왕곡마을 정미소 건물과 내부
▲비닐하우스에서 키우는 벼 모종

 마을 안에 한과를 만드는 집이 있고 직접 만든 식혜를 마시며 잠시 쉬며 담소를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음식점도 있어 이용할 수 있다.  2004년부터 10월 중순 "고성 왕곡마을 민속체험 축제"가 개최되어 과거로의 여행을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다.

 

 

▲왕곡마을 한과 만드는 집, 판매도 한다.
▲왕곡마을 안에 있는 식당
▲마을의 놀이시설인 그네

   왕곡마을에는 한옥으로 지어진 예쁜 교회도 있다. 한옥 기와 예배당과 처음 보는 십자가, 그리고 종과 사랑방과 아주 작은 목사관이 인상적이다. 열려있는 예배당에 들어가서 보니 화장실과 예배당이 그리 크지는 않지만, 매우 독특하다. 강단의 장식(데코레이션) 또한 범상하다. 왕곡마을의 정신적 중심역할을 해주는 것 같아 반가웠다. 

 

 

▲왕곡마을 오봉교회 전경, 십자가, 마당의 종
▲교회간판
▲교회 내부

 빈집은 숙박 시설로 활용하는데, 요금은 비교적 저렴하다. 토요일마다 월별 절기 체험이나 짚공예 체험 등도 진행하고, 큰상나말집 마당에서는 5~10월 매주 토요일 오후 6시에 <왕곡풍류음악회>가 열렸으나, 코로나 이후에는 모두가 중단되었다. 마을 초입(400m 거리)에 저작거리가 있어 향토음식을 제공한다. (역시 코로나 여파로 운영 중단)

 

 

▲왕곡마을 내의 민박집

 

▲왕곡마을 버스 진입로 쪽의 연못

 

▲왕곡마을 입구의 저잣거리, 식당은 코로나로 운영하지 않아 자료화면으로 처리

 인근에 송지호, 삼포, 백도해수욕장 등이 있다. 특히 백도해수욕장과 삼포해수욕장 중간에 들어선 자작도 해수욕장은 최근에서야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한 피서지다. 동해안의 해수욕장치고는 해변 길이가 4백m 정도로 짧은 편이지만, 내륙 쪽으로 활처럼 깊게 휘어들어 수심이 얕아 안전하다. 바다로 1백m를 나가도 깊이가 어른 가슴 정도에 불과하다. 가족 단위 피서지로 인정을 받은 뒤 최근에는 바닷가에 콘도식 민박집들이 여럿 들어섰다.

 

 

▲주변 해수욕장과 송지호 철새관망타워

 

◎ 여행 정보

 

*주소 : 강원 고성군 죽왕면 왕곡마을길 36-13 (죽왕면 오봉리 355)

*전화 : 033-631-2120

*가는 길 : 7번 국도 송지호를 지나 표지판을 보고 좌회전하여 1.3km 정도 가면 된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속초버스터미널에서 간성 방향 버스 1번 혹은 1-1번을 타고 가다 오봉정류장에서 하차. 도보로 20분 가량 걸어 들어가면 된다.

 

 

*주변 음식점
-자매해녀횟집 : 물회 / 죽왕면 가진해변길 123 / 033-681-1213
-화진포메밀막국수 본점 : 막국수 / 거진읍 화진포길 21 / 033-682-4487

-잿놀이 : 잿놀이밥상 / 토성면 잼버리동로 383 / 033-637-0118

 

*숙소
-왕곡마을(전통한옥숙박) : 죽왕면 왕곡마을길 30 / 033-631-2120

-예다울펜션 : 토성면 사진용촌2길 18 / 070-4882-2889

-VIP모텔 : 거진읍 거탄진로72번길 28 / 033-682-6363
-아미가펜션 : 토성면 토성로 101 / 033-632-5564~5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