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단문(수필)

(수필) 슬픔에 관하여 / 유달영

by 혜강(惠江) 2014. 1. 10.

 

<수필>

 

 

슬픔에 관하여

 

 

 

- 유달영(柳達永)

 

 

 

  사람의 일생은 기쁨과 슬픔을 경위(經緯)로 하여 짜 가는 한 조각의 비단일 것 같다. 기쁨만으로 일생을 보내는 사람도 없고 슬픔만으로 평생을 지내는 사람도 없다.

  기쁘기만 한 듯이 보이는 사람의 흉중(胸中)에도 슬픔이 깃들이며, 슬프게만 보이는 사람의 눈에도 기쁜 웃음이 빛날 때가 있다. 그러므로 사람은, 기쁘다 해서 그것에만 도취(陶醉)될 것도 아니며, 슬프다 해서 절망만 일삼을 것도 아니다.

  나는 지금, 내 책상 앞에 걸려 있는 그림을 보고 있다. 고호가 그린 <들에서 돌아오는 농가족(農家族)>이다. 푸른 하늘에는 흰구름이 얇게 무늬지고, 넓은 들에는 추수(秋收)할 곡식이 그득한데, 젊은 아내는 바구니를 든 채 나귀를 타고, 남편인 농부는 포크를 메고 그 뒤를 따라 집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생활하는 사람의 세계를 그린 그림 가운데 이보다 더 평화로운 정경(情景)을 그린 것은 그리 흔하지 않을 것이다.  넓은 들 한가운데 마주 서서, 은은한 저녁 종 소리를 들으며 감사의 기도를 드리는 농부 내외의 경건한 모습을 우리는 밀레의 <만종(晩鐘)>에서 보거니와, 내가 지금 보고 있는 그림은 그 다음 장면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리고 밀레와 고호의 가슴 속에 흐르고 있는 평화지향(平和志向)의 사상은 마치 한 샘에서 솟아나는 물처럼 구별할 수 없다. 그 무서운 가난과 고뇌(苦惱) 속에서 어쩌면 이렇게도 모든 사람의 가슴을 가라앉힐 수 있는 평화경(平和境)이 창조될 수 있었을까?

 

신비로운 일이다. 베토벤의 <전원교향곡(田園交響曲)>이나 <봄의 소나타>를 들을 때도 나는 이러한 신비를 느낀다. 둘 다 베토벤이 귀머거리가 된 이후의 작품인 것이다. 슬픔은, 아니 슬픔이야말로 참으로 인간으로 하여금 그 영혼을 정화(淨化)하고 높고 맑은 세계를 창조하는 힘이 아닐까? 예수 자신이 한없는 비애(悲哀)의 사람이 아니었더라면, 인류의 가슴을 덮은 검은 하늘을 어떻게 개게 할 수 있을 것인가? 공자(孔子)도 석가(釋迦)도 다 그런 분들이다.

 

나의 막내 아들은 지난 봄에 국민학교 1학년이 되었어야 할 나이다. 벌써 2년 전의 일이다. 그 때 이 아이는 ‘신장종양(腎臟腫瘍)’이라고 하는 매우 드문 아동병(兒童病)에 걸렸다. 그러나 곧 수술(手術)을 받고 지금까지 건강하게 자라왔다. 그런데 오늘, 그 병이 재발(再發)한 것을 비로소 알았고, 오늘의 의학으로는 치료의 방법이 없다는 참으로 무서운 선고(宣告)를 받은 것이다.

 

아이의 손목을 하나씩 잡고 병원 문을 나서는 우리 내외는, 천 근 쇳덩이가 가슴을 눌러 숨을 쉬기도 어려웠다.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것은 시골서 보지 못한 높은 건물과 자동차의 홍수(洪水), 사람의 물결들이 신기(新奇)하고 재미있는 모양이었다.

 

그에게는 티끌만한 근심도 없었다. 나는 그의 얼굴을 바로 보지 못했다. 자기의 마지막 날을 알지 못한다는 것은 사람을 맹목(盲目)으로 만들기 쉬울 것이다. 그러나 또한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가.

 

    “아빠, 구두.”

 

그는 구두 가게를 손가락으로 가리켰다. 구두가 신고 싶었었나 보다, 우리 내외는 그가 가리킨 가게로 들어가, 낡은 운동화를 벗기고 가죽신 한 켤레를 사서 신겼다. 어린것의 두 눈은 천하라도 얻은 듯한 기쁨으로 빛났다. 우리는 그의 기쁜 얼굴을 차마 슬픈 눈으로 볼 수가 없어서 마주 보고 웃어 주었다. 오늘이 그에게는 참으로 기쁜 날이요, 우리에게는 질식한 듯한 암담한 날임을 누가 알랴.

 

아버지가 돌아가시는 것을 ‘천붕(天崩)’이라고 한다. 하늘이 무너진다는 뜻이다. 나는 아버지의 상(喪)을 당하고서야 비로소 이 표현이 옳음을 알았다. 그러나 오늘, 의사(醫師)의 선고(宣告)를 듣고, 천 길 낭떠러지 밑으로 떨어지는 슬픔을 주체할 수 없으니, 이는 천붕보다 더 한 것이다. 6.25 때 두 아이를 잃은 일이 있다. 자식의 어버이 생각하는 마음이 어버지의 자식 생각하는 마음에 까마득히 못 미침을 이제 세 번째 체험한다. 2년 전 어느 날이었다. 수술 경과가 좋아서 아이가 밖으로 놀러 나갈 때, 나는 그의 손목을 쥐고,

 

     “넌 커서 의사가 되는 게 좋을 것 같다. 의사가 너의 병을 고쳐 준 것처럼, 너도 다른 사람의 나쁜 병을 고쳐 줄 수 있게 말이다.” 

하고 말했었다. 그는 고개를 끄덕이었고, 그 후부터는 누구에게든지 의사가 되겠다고 말해 왔었다. 이 밤을 나는 눈을 못 붙이고 죽음을 생각한다. 그리고, 인간의 모든 고귀한 것은 한결같이 슬픔 속에서 생산(生産)된다는 생각을 하면서, 더없이 총명(聰明)해 보이는 내 아들의 잠든 얼굴을 안타까이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인생은 기쁨만도 슬픔만도 아니라는 그리고 슬픔은 인간이 영혼을 정화(淨化)시키고 훌륭한 가치를 창조한다는 나의 신념(信念)을 지그시 다지고 있는 것이다.

 

‘신(神)이여, 거듭하는 슬픔으로 나를 태워 나의 영혼을 정화하소서.’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