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단문(수필)

(수필) 수학이 모르는 지혜 / 김형석

by 혜강(惠江) 2014. 1. 10.

 

<수필>

 

수학이 모르는 지혜

 

- 김형석(金亨錫)

 



 재미있는 우화가 있다. 옛날 아리비아의 어떤 상인이 임종을 맞게 되었다. 그는 자기 앞에 세 아들을 불러 앉혔다. 그리고는

  "내가 너희들에게 남겨 줄 유산이라고는 말 열일곱 필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 고장의 습관에 따라 꼭 같이 나누어 줄 수는 없으니까 맏아들 너는 열일곱 마리의 반을, 둘째 아들 너는 3분의 1을, 그리고 막내 아들 너는 전체의 9분의 1을 갖도록 하라." 고 유언을 했다.  얼마 후 아버지는 세상을 떠났다.  재산을 나누어 가져야 할 삼형제 간에는 오랜 싸움이 계속되었으나 해결을 얻을 길이 없었다. 맏아들은 열일곱의 반으로 아홉 마리를 주장했다. 그러나 동생들은 아홉 마리는 2분의 1이 넘으니까 줄 수 없다는 것이다. 여덟 마리 반이 되지만 반 마리는 처리할 수가 없는 때문이다. 둘째 아들은 여섯 마리를 가져야 한다고 고집을 부렸다. 그러나 형과  동생은 5∼6마리 밖에 줄 수가 없다는 것이다.

   막내 아들은 두 마리를 가져야겠다고 욕심을 부렸다. 그러나 형들은 두 마리는 9분의 1이 넘으므로 우리들만이 손해를 볼 수 없다는 고집이다.  싸움은 여러 날 계속되었지만 누구도 만족스러운 해결을 내릴 수가 없었다.

  어떤 날 이들의 집 앞을 지나가던 한 목사가 있었다. 세 아들은 그 목사에게 아버지의 유산 문제를 해결지어 주도록 청을 드렸다. 누구도 만족할 만한 결론을 얻을 수 없었던 때문이다.  모든 이야기를 듣고 난 목사는

   "그러면 이렇게 합시다. 내가 타고 온 말 한 마리를 내가 당신들에게 드리겠소. 그러면 열여덟 마리가 될 것입니다. 맏형은 그 2분의 1인 아홉 마리를 가지시오. 둘째는 그 3분의 1에 해당하는 여섯 마리를 가지시오. 그리고 당신 동생은 9분의 1에 해당하는 두 마리를 차지하십시오. 그렇게 되면 당신네 세 사람은 모두가 아버지의 약속된 유산보다도 많은 것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라고 말했다.  세 아들은 모두 만족해했다. 목사가 얘기해 준 대로 자기들에게 돌아온 말들을 찾아 가졌다.  일을 끝낸 목사는

   "그러면 나는 다시 길을 떠나야 하겠습니다."

  는 인사를 하고 도보로 대문 앞을 나섰다. 바로 그 때였다. 한 아들이 뒤따라 나오면서,

   "목사님, 말을 타고 오셨다가 어떻게 이 사막 길을 걸어가실 수 있습니까? 외양간에 가 보니까 아직도 한 마리가 남아 있습니다. 우리들이 차지할 것은 다 차지했는데도 한 마리가 남아 있으니 이 말을 타고 가십시오."

  라고 말했다. 목사는

   "그렇습니까? 나에게 한 마리를 다시 주신다면 타고 가겠습니다."

   라고 말하면서 말을 탔다. 타고 보니 그것은 조금 전 타고 왔던 바로 그 말이었다. 아들들은 목사에게 감사를 드렸다. 그리고 목사는 아까와 같이 자기 말을 타고 갔다. 생각해 보면 세 아들은 어리석기 그지없는 젊은이들었다. 목사가 나타나지 않았더라면 언제까지라도 싸우다가 무슨 결과를 가져왔을지 모른다. 그러나 어리석은 사람은 그 세 아들만이 아니다. 오늘의 우리들 모두가 꼭 같은 생활을 해 가고 있지 않은가.

   나라를 사랑한다는 정치가들이 정당 싸움과 감투 싸움을 하는 꼴도 비슷하고, 경제 사회에서 이권을 다투는 사람들의 심정들도 거의 마찬가지이다. 삼형제의 싸움 때문에 선조들의 뜻을 버리고 집안이 망해 가듯이 오늘 우리들은 선조들의 정신적 유산을 짓밟고 불행을 찾아 달리고 있다.

  왜 그런가. 한 가지 마음의 결핍 때문이다. 남의 것을 빼앗기보다 이웃에게 주려고 하는 사랑의 결핍이다. 우리는 확실히 알아야 한다. 빼앗으려 하는 사람들은 둘 다 잃어버리지만 주려고 하는 사람은 모두가 잘 살게 된다는 원칙을…….

  여기 두 사람의 장사꾼이 있다 하자. 갑은 '어떻게 하면 싸고 질긴 물건을 만들어 소비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으로 물건을 생산하며 판다고 하자. 이에 반하여 을은 '좀 나쁜 물건이지만 속여서 이득을 얻을 수 없을까?' 하는 생각으로 기업을 운영한다면 5년, 10년 후에는 어떤 결과의 차이가 나타날까? 갑과 같은 실업인이 많은 사회와 을과 같은 실업인이 많은 사회는 장차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될까?

   과거에 우리는 지나치게 많은 것을 빼앗아 가지려고 애써 왔다. 이웃들로부터 가장 많은 것을 찾아 누리는 사람이 그만큼 잘 살 수 있다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좋은 사회는 어떻게 하면 많은 것을 이웃들과 더불어 소유하며 한 가지로 즐길 수 있는가를 모색해 왔다. 오늘 우리는 그만큼 못 살고 있으며 그들은 그만큼 잘 살고 있다. 우리는 수학으로는 풀리지 않는 이러한 진리를 실천해야 한다.

  목사가 한 마리의 말을 싸우는 아들들에게 주었듯이 우리들도 무엇인가를 줄 줄 아는 모범을 보여 주어야 하겠다. 자신에게도 손해가 없으며 이웃에게도 착한 무엇을 남겨 줄 수 있는 삶의 자세와 바탕을 만들어 주어야 하겠다. 문제는 누가 먼저 그 뜻을 보여 주는가에 달려 있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