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기 및 정보/- 경북. 울산

안동 퇴계 종택(退溪 宗宅), 안동의 정신적 지주로 우뚝 서다.

by 혜강(惠江) 2007. 9. 17.

 

안동 퇴계종택 

안동의 정신적 지주로 우뚝 서다.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468-2

 

글·사진 남상학

 

 

 

  안동의 도산서원을 방문하는 사람은 으례 인근에 있는 대학자 퇴계 이황 선생의 종택을 들른다. 퇴계종택은  역사적 소용돌이 속에서 안동의 정신적 지주로서 우뚝 서 있기 때문이다.   

 

  경상북도 기념물 제42호. 퇴계선생의 옛 종택은 1907년 왜병의 방화로 모두 타 버렸고, 현재의 종택은 13대손 하정공(霞汀公)이충호(李忠鎬)가 1926∼1929년에 지은 것이다.

 

 야산을 등지고 비교적 평탄한 지형에 동남향으로 앉은 종택은 5칸 솟을대문과 ㅁ자형 정침(正寢 : 주택의 가장 중심이 되는 집 또는 방)이 있는 영역, 동쪽에 약간 뒤로 처져서 같은 규모와 양식의 5칸 솟을대문과 추월한수정으로 이루어진 영역, 추월한수정 영역 뒤쪽에 접한 솟을삼문과 사당이 있는 영역 등 크게 세 개의 영역이 각각 담장으로 구분되어 있다. 오른쪽에 있는 추월한수정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정자인데 마루에는 ‘도학연원방’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화강석 기단 위에 서 있는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인데 전면 벽은 반 칸을 약간 넘게 뒤로 물려 전퇴(前退)를 두었다.

 

 비록 이 집은 근대에 지어진 집이지만 사대부가의 공간 영역을 구비하면서 솟을대문과 추월한수정 등 품위와 규모를 갖춘 대종가로서의 품격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옛 살림살이의 풍모가 아직도 남아 있는 집이다.

 

 

 

 

<참고>

 

※ 다음은 2007년 9월 18일자 <만물상>에 실은 이선민 논설위원의 글을 옮겨 본다.

 

 

 

 

  대표적 양반 고장인 경북 안동은 조선 말기~일제시대 항일운동도 활발했던 곳이다. 명성황후가 일제에 살해되고 단발령이 내린 데 분격해 1895년 전국적으로 의병이 일어났을 때 안동에서도 예안(禮安)의병이 봉기했다. 이때 의병대장이 퇴계 이황의 11대 손 이만도였다. 이렇게 시작된 안동의 항일운동이 식을 줄 모르자 일제는 1907년 안동의 정신적 지주였던 퇴계 종택(宗宅)을 불질러 버렸다.    

 

  안동 도산면 토계리에 자리잡은 퇴계 종택은 퇴계의 손자 이안도가 지었다. 퇴계는 만년에 고향 시냇가에 한서암(寒棲庵)이라는 작은 집을 짓고 학문에 몰두하다 그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이안도는 할아버지의 자취가 배 있는 한서암 동남쪽에 후손들이 살 집을 마련했다. 세월이 흘러 퇴계의 10대 손 이휘녕이 원래 집 건너편에 또 한 채 집을 세웠다. 두 집은 1907년 모두 불타 없어졌다.    

 

 지금의 퇴계 종택은 퇴계 13대 손 이충호가 1929년 인근 다른 집안의 종택을 사들여 옮겨 세운 것이다. 숙종 때 학자 권두경이 퇴계를 남달리 흠모해 세운 추월한수정(秋月寒水亭)도 재건했다. 이제 퇴계 고택은 인근 도산서원, 계상서당, 퇴계 묘소와 함께 명소가 됐다. 2001년 퇴계 탄신 500년을 맞아 안동에서 세계유교문화축제가 열렸을 때는 2000여명이 모여 제사를 올렸다.    

 

 34칸, 2119㎡에 이르는 퇴계 종택을 지키는 사람은 지난해까지 15대 손인 이동은(99) 옹과 아들 근필(75)씨뿐이었다. 이 옹의 부인과 며느리가 세상을 뜨는 바람에 살림살이도 바깥 사람에게 맡겨야 했다. 쓸쓸하기까지 하던 퇴계 고택은 서울에서 공부하던 손자 치억(32)씨가 올해 초 결혼해 내려오면서 활기를 되찾았다. 지난달에는 종부(宗婦) 이현주(31)씨가 아들을 순산하면서 4대가 함께 살게 됐다는 소식이다.    

 

 종손(宗孫) 3대는 가학(家學)도 잇고 있다. 동은 옹은 일제시대 경북중을 다니다 “왜놈 교육 받지 말라”는 문중의 엄명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성리학을 공부하며 종택을 지켰다. 근필씨는 대학 졸업 후 인천에서 고교 교사로 출발했지만 곧 고향의 초등학교 교장으로 옮겨 정년퇴임했다. 치억씨는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유교철학 박사논문을 준비 중이다. 세상의 변화에도 퇴계 종택이 면면히 이어지는 것에 지하의 퇴계 선생이 흐뭇해할 것 같다. (조선일보 이선민 논설위원)

 

 

▲ 퇴계묘소

 

 

 

  종택 건너편 동쪽 건지산의 자락에 선생의 묘소가 있다. 묘소는 치장을 하지 않아 너무나 소박했다. 그 이유는 선생의 마지막에 스스로 지은 ‘자명(自銘)’에서 알 수 있다. 이 글은 생애 마지막 귀향 1년 9개월의 마감이자 70년 생애의 자평으로 대 학자의 '겸손'과 '낮춤'의 정신이 잘 드러나 있다.  

 

  生而大癡 壯而多疾 中何嗜學 晩何叨爵
  學求愈邈 爵辭愈嬰 進行之跲 退藏之貞
  深慚國恩 亶畏聖言 有山嶷嶷 有水源源
  婆娑初服 脫略衆訕 我懷伊阻 我佩誰玩
  我思古人 實獲我心 寧知來世 不獲今兮
  憂中有樂 樂中有憂 乘化歸盡 復何求兮

 

  "태어나서는 크게 어리석었고/자라서는 병이 많았네/중년에는 어찌하여 학문을 좋아하고/만년에는 어찌하여 벼슬을 탐했던가/학문은 탐구할수록 더욱 아득하고/벼슬은 사양할수록 더욱 얽매이네/세상에 나아가서는 어려움이 많았고/물러나 숨어서는 절개를 지켰네/나라의 은혜는 가슴 깊이 부끄럽고/성현의 말씀은 참으로 두렵구나/산은 높디 높이 솟아있고/물은 멀리 멀리 흐르는데/순리대로 평복을 입었으니/뭇 비난을 벗어났네/내 품은 회포는 막혀 있고/내 속 마음을 누가 알아주리/내가 옛사람을 생각해 보니/실로 내 마음을 알았구려/어찌 알리오, 다음 세상이/지금을 알아주지 못할지/근심 속에 즐거움 있고/즐거움 속에 근심 있네/조화 따라 돌아가니/다시 무엇을 구하리오"

 

  이는 퇴계가 임종을 앞둔 1570년 형의 아들 영(寗)에게 “내가 죽으면 반드시 조정에서 예장(현대의 국장)을 내릴 것인데 이를 사양하라. 비석을 세우지 말고 작은 돌의 앞면에 미리 지어둔 묘비명 ‘퇴도만은진성이공지묘’(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만 새기라”고 유언한 데 따른 것이다. '퇴도만은'은 도산(陶山)으로 물러난 만년의 은사라는 뜻이다.

 

 



  이러한 뜻에 따라 퇴계 문중은 경북도와 안동시로부터 묘소 치장과 국책사업으로 퇴계기념관 건립 사업 추진을 제안을 받았지만, 정중하게 거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퇴계의 17대 종손 이치억(41) 성균관대 초빙교수는 “퇴계 할아버지께서 마지막까지 화려한 예우를 거부하고 겸양과 검소한 생각을 가지셨기 때문에 그 뜻을 받들기 위한 것' 이라 밝혔다는 것이다. 겸양과 검소함을 실천한 대학자의 뜻에 큰 감동을 받고 발길을 옮겼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