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읽고 싶은 시

불놀이 / 주요한

by 혜강(惠江) 2020. 2. 10.

 

 

<출처 : 다음블로그 '영원한 가을하늘'>

 

 

불놀이

 

- 주요한


  아아 날이 저문다, 서편 하늘에, 외로운 강()물 우에, 스러져 가는 분홍빛 놀…… 아아 해가 저물면 날마다, 살구나무 그늘에 혼자 우는 밤이 또 오건마는, 오늘은 사월(四月)이라 파일날 큰 길을 물 밀어가는 사람소리는 듣기만 하여도 흥성스러운 것을 왜 나만 혼자 가슴에 눈물을 참을 수 없는고?

  아아 춤을 춘다, 춤을 춘다, 시뻘건 불덩이가, 춤을 춘다. 잠잠한 성문(城門) 우에서 나려다보니, 물냄새, 모래냄새, 밤을 깨물고 하늘을 깨무는 횃불이 그래도 무엇이 부족(不足)하여 제 몸까지 물고 뜯을 때, 혼자서 어두운 가슴 품은 젊은 사람은 과거(過去)의 퍼런 꿈을 찬 강()물 우에 내어던지나 무정(無情)한 물결이 그 그림자를 멈출 리가 있으랴?…… 아아 꺾어서 시들지 않는 꽃도 없건마는, 가신 님 생각에 살아도 죽은 이 마음이야, 에라 모르겠다, 저 불길로 이 가슴 태워버릴까, 이 설움 살라버릴까, 어제도 아픈 발 끌면서 무덤에 가보았더니 겨울에는 말랐던 꽃이 어느덧 피었더라마는 사랑의 봄은 또다시 안 돌아오는가, 차라리 속시원히 오늘밤 이 물 속에…… 그러면 행여나 불쌍히 여겨줄 이나 있을까…… 할 적에 퉁, 탕 불티를 날리면서 튀어나는 매화포, 펄떡 정신(精神)을 차리니 우구우구 떠드는 구경꾼의 소리가 저를 비웃는 듯, 꾸짖는 듯 아아 좀더 강렬(强烈)한 열정(熱情)에 살고 싶다, 저기 저 횃불처럼 엉기는 연기(煙氣), 숨막히는 불꽃의 고통(苦痛) 속에서라도 더욱 뜨거운 삶을 살고 싶다고 뜻밖에 가슴 두근거리는 것은 나의 마음…….

  사월(四月)달 따스한 바람이 강()을 넘으면, 청류벽(淸流碧), 모란봉 높은 언덕 우에 허어옇게 흐늑이는 사람떼, 바람이 와서 불 적마다 불빛에 물든 물결이 미친 웃음을 웃으니, 겁많은 물고기는 모래 밑에 들어박히고, 물결치는 뱃슭에는 졸음 오는 이즘'의 형상(形象)이 오락가락어른거리는 그림자 일어나는 웃음소리, 달아논 등불 밑에서 목청껏 길게 빼는 여린 기생의 노래, 뜻 밖에 정욕(情慾)을 이끄는 불구경도 이제는 겹고, 한잔 한잔 또 한잔 끝없는 술도 이제는 싫어, 지저분한 배밑창에 맥없이 누우며 까닭 모르는 눈물은 눈을 데우며, 간단없는 장고소리에 겨운 남자(男子)들은 때때로 불 이는 욕심(慾心)에 못 견디어 번뜩이는 눈으로 뱃가에 뛰어나가면, 뒤에 남은 죽어가는 촛불은 우그러진 치마깃 우에 조을 때, 뜻있는 듯이 찌걱거리는 배젓개 소리는 더욱 가슴을 누른다…….

  아아 강물이 웃는다, 웃는다, 괴상한, 웃음이다, 차디찬 강물이 껌껌한 하늘을 보고 웃는 웃음이다. 아아 배가 올라온다. 배가 오른다, 바람이 불 적마다 슬프게 슬프게 삐걱거리는 배가 오른다.

  저어라, 배를 멀리서 잠자는 능라도(綾羅島)까지, 물살 빠른 대동강(大同江)을 저어오르라. 거기 너의 애인(愛人)이 맨발로 서서 기다리는 언덕으로 곧추 너의 뱃머리를 돌리라 물결 끝에서 일어나는 추운 바람도 무엇이리오 괴이(怪異)한 웃음소리도 무엇이리오, 사랑 잃은 청년(靑年)의 어두운 가슴속도 너에게야 무엇이리오, 그림자 없이는 밝음'도 있을 수 없는 것을. 오오 다만 네 확실(確實)한 오늘을 놓치지 말라. 오오 사르라, 사르라! 오늘밤! 너의 빨간 횃불을, 빨간 입술을, 눈동자를, 또한 너의 빨간 눈물을……


이해와 감상  

 

  19192<창조> 창간호의 서시로 실린 주요한의 자유시. 실연한 한 청년을 시적 자아로 하여 가신 님을 그리워하며 회한에 젖는 불안과 감상적 울분을 강렬한 어조로 표출하고 있다. 정형률을 과감히 파괴하여 산문성을 지향하고 있고, 계몽적 설교의 구각에서 벗어나 내적 정서를 분방하게 표출하여 한국시단에 큰 반향을 가져온 작품이다.

  이 작품은 주요한이 일본에 체류하면서 일본에 소개된 서구 상징시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 것이다. <불놀이>에 보이는 애매모호한 느낌의 상징주의 시풍은 이러한 영향으로 볼 수 있는데 특히 산문적 표기, 인상의 감각화 기법은 프랑스 상징시인인 폴 포르(Paul Fort)의 영향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도로 내밀한 언어의 음악성을 통해 만상의 내면세계를 조응하는 상징시의 본질과는 거리가 있는 작품으로, 오히려 감정의 과잉 토로와 데카당적 분위기로 인해 감상적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시 장르 면에서 최초의 자유시냐 산문시냐의 논의가 있어왔는데, 최초의 자유시나 산문시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 작품의 평가에 대해서는 자아의 발견과 개성의 발로’(박철희), ‘불의 상징과 리비도의 억압을 통해 당대의 이념적 갈등을 물과 불의 이미지로 형상화’(오세영), ‘낙원 회귀의 의지 표출’(최원규) 등 긍정적 평가가 있는 반면, ‘소박한 내용과 단순구조로 된 감상적 니힐리즘’(김재홍), ‘신파의 변사조 리듬’(김윤식), ‘착란된 감정의 과장과 우발적 감각’(김흥규) 등의 부정적 평가도 있다.

참고 : <한국현대문학대사전>, 권영민 편, 서울대출판부, 2004 / <한국현대문학작은사전>, 가람기획편집부 편, 가람기획, 2000


▲주요한(朱耀翰, 1900~1979)


 호는 송아(頌兒). 190010월 평양에서 출생. 1912년 숭덕소학교 6학년 때 선교목사로 도쿄에 주재하게 된 부친을 따라 도일, 메이지학원(明治學院) 중학부 및 도쿄 제일고교를 졸업했다. 그의 문단활동은 1917<청춘>이란 잡지에 소설을 투고하면서 시작되었으며, 1919년 김동인과 함께 <창조>를 발간하면서 본격화되었다.

 19195월 상하이로 망명하여 독립신문 기자로 일했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작품을 발표하였다. 1924<조선문단>이 창간되자 시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고, 1924년 처녀시집 <아름다운 새벽>을 간행하였다. 1925년 귀국하여 동아일보 편집국장 및 논설위원 등을 지낸 데 이어 조선일보 편집국장을 역임하는 등 언론인으로도 활약했다. 1930년 이후 간혹 시를 쓰기도 하였으나 언론인, 정치가, 상공인으로 활동하면서 대한무역협회 회장(1947), 민주당의원(1958), 상공부장관(1960) 등을 지냈다.  
  
 일본에 체류하면서 시작활동을 시작한 주요한의 초기 시는 서구 및 일본 근대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 산문적 표기와 인상의 감각화 기법으로 나타난 이러한 징후는 <불놀이>에 잘 반영되어 있다.

 또한 밝음과 의지의 에너지가 분출하는 이상주의적 지향의 시도 선보이는데, <해의 시절>, <아침처녀> 등이 이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한편, <> 연작시에서 민요 및 동요조의 경향을 나타내는데, 이는 민중에 가까이 가려는 시도로 보인다. 이러한 전통 지향적인 민요시 창작은 후기 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상하이 망명시절의 작품들은 망향의 그리움과 이국적 풍물을 서정적으로 노래한 <상해이야기>, <지나 소녀>, <공원에서> 등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불놀이>, <아침처녀>, <빗소리>는 그 자신이 뽑은 대표작들이다. 한편 평론 <노래를 지으시려는 이에게>에서 민족정서와 사상을 표현하고, 국어의 미와 생명력을 창조할 것을 강조하여 본격적인 시론을 개진하기도 하였다. 김억과 마찬가지로 한국 초기시단의 개척자로서, 서구 모방의 시풍에서 전통 지향의 시풍으로 회귀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