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 무섬마을
물속에 안긴 신비의 섬, 외나무다리로 세상과 닿다
글, 사진 : 한국관광공사 국내스마트관광팀 이소원 취재기자
처음에는 '물섬마을'이라 불렸다고 전해진다. 발음상의 이유 때문인지 'ㄹ'이 빠지고 무섬마을이 되었다. 낙동강 지류인 내성천에 폭 안긴 자태가 영락없는 물속의 섬이다. 양반도 평민도 모두 함께 공부했다는 조용한 선비의 마을, 무섬마을로 들어서보자.
영동고속도로를 타고 동해로 향하다 방향을 틀어 중앙고속도로 내려서면 충북 제천과 단양을 지나 경상도 땅에 들어선다. 곧 경북 영주를 필두로 양반의 고장이 시작된다. 영주와 이웃한 봉화 닭실마을과 안동 하회마을은 전국구 양반마을 아니던가. 이웃한 영주에는 그보다 덜 알려졌지만 그래서 더 고즈넉한 양반마을이 있다. '양반마을'보다는 '선비마을'이 더 잘 어울리는 공간, 삼면이 물줄기에 안긴 무섬마을이다.
양반과 평민 함께 공부하던 육지 속 섬마을
영주 무섬마을 전경<사진제공-영주시청>
무섬마을을 보면 세 번 놀란다. 우선 마을을 품은 산과 물줄기에 놀라고 그 안에 들어선 고택들에 놀란다. 마지막으로 이 마을이 품은 개방·개혁 정신에 놀란다. 자연환경, 즉 비주얼(Visual)은 물론 멋진 몸매와 정신까지 갖춘 무섬마을에서 안빈낙도의 삶을 꾸려가던 선조들을 만나보자.
무섬마을과 바깥을 이어주던 외나무다리. 지금도 자리를 지킨다
무섬마을과 바깥세상을 잇는 수도교. 그 위에서 바라본 내성천 줄기
마을 초입 자리한 무섬마을 관광안내소. 해우당 고택 행랑채에 자리한다. 해우당 현판은 흥선대원군이 썼다
중앙고속도로에서 영주IC로 나와 영주시내 초입에서 문수면 와현리 방향으로 향한다. 수도리 전통마을 표지판이 나오면 이를 따라가면 된다. 무섬마을에 들어서려면 수도교를 건너야 한다. 마을 뒤편에 자리한 무섬교도 육지속 섬마을과 바깥세상을 이어주는 통로다. 이들 다리가 놓이기 전, 마을과 바깥을 잇던 것은 외나무다리였다. 마을 주민들은 "외나무다리로 꽃가마 타고 시집왔다 죽으면 그 다리로 상여가 나갔다"고 했다. 무섬마을로 들고 나는 시작과 끝을 보아온 외나무다리는 여전히 무섬마을의 안과 밖을 잇는다.
무섬마을을 감싸 안은 물줄기는 낙동강 지류인 내성천이다. 아예 물 위에 떠 있는 섬은 아니지만 보기에는 '물속의 섬' 같다. 삼면은 내성천 줄기에 안겨있고 뒤로는 태백산 끝자락과 이어진다. 강원도 영월의 청령포를 떠올리면 모양은 비슷하다. 단종의 한(恨)이 건너지 못할 만큼 깊은 물과 도무지 빠져나갈 수 없을 절벽으로 막혔다는 점만 뺀다면.
한문으로도 똑같다. 물수(水)에 섬도(島)를 써서 수도리다. 무섬마을은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에 자리한다. 뭍과 이어진 마을 뒷산은 태백산 줄기, 강 건너에는 소백산 줄기가 스며든다. 태백산에서 이어지는 내성천과 소백산에서 흐르는 서천이 이곳에서 몸을 섞어 '물도리동'이라고도 불렸다.
앞산(남산)에 올라 무섬마을을 살펴보면 물줄기에 물줄기가 더해지고 산과 물이 태극모양으로 돌아나간다. 음양의 조화가 좋아 자식이 잘되고 의식이 풍족하다고 해석된다. 또 무섬마을을 두고 물위에 활짝 핀 연꽃 모양의 땅,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이라고도 한다. 이런 지형에서는 학자들이 많이 배출된다고.
물위에 핀 연꽃, 선비들의 유유자적한 삶 엿볼 수 있어
무섬마을에는 40여 채의 고택들이 자리한다. 이 중 30여 채가 조선 후기 사대부가 가옥이다
수도교를 건너자마자 좌회전하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해우당 고택 행랑채에 관광안내소가 있으니 꼭 들르자. 지도도 챙기고 선성 김씨 종손 김광호 선생의 이야기도 들어보자. 무섬마을의 역사는 길지 않다.
"1666년, 현종7년에 반남 박씨가 강 건너 마을에서 이곳으로 분가하러 들어왔어요. 그때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거죠. 그의 증손녀 사위 선성 김씨가 이곳에 정착하면서 두 성(姓)씨 가 모여 사는 집성촌이 되었어요. 해방 전만해도 100여 가구가 넘는 큰 마을이었는데 80여년 전쯤 갑술년 수해라고 큰 홍수가 나서 절반은 손실됐지요. 지금 남은 고택은 43채에요. 사람이 사는 집은 26채 뿐이고요. 독거노인이 많다는 뜻이죠. 평균연령은 78세, 우리 마을에서 60대는 2명 뿐이에요. 청년들이죠. 90은 넘어야 노인대접을 받아요."
40여 채의 고택 중 30여 채가 조선 후기의 사대부 가옥이다. 반남 박씨 입향시조가 지은 만죽재, 선성 김씨 입향시조가 지은 해우당 등을 포함해 9채가 지방문화재이다. 일제강점기, 김화진 선생이 세운 아도서숙도 빼놓을 수 없다. 아도서숙은 1933년 일제에 강제로 폐숙될 때까지 주민들에게 한글과 농업기술을 교육했던 독립운동의 본거지였다. 고증을 거쳐 복원을 준비하고 있다.
"유교의 고장에서 남녀노소, 양반과 상민을 가리지 않고 교육을 시켰어요. 선조들은 벼슬을 멀리했지만 학문을 중시했어요. 덕분에 이곳은 좌우익이 공존할 만큼 자유로운 공간이었죠."
무섬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엿볼 수 있는 무섬문화촌
오헌 고택의 현판과 내부. 민박으로 묵을 수 있다. 1박 5~7만원 선
아직 반상의 법도가 지엄했을 때 양반과 평민이 함께 공부를 했고,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의 본거지 아도서숙이 있었고, 한민족이 사상전으로 서로에게 총을 겨눌 때 좌우익이 공존했던 공간. 무섬마을을 채우는 공기를 설명하는 키워드다.
내성천을 건너 무섬마을에 들어오면 오래된 시골마을에 들어선 것 같다. 매점도 식당(무섬골동반·054-634-8000)도 한 곳 뿐이다. 아직 관광지화 되지 않아 찾는 이들이 넘치지 않는다. 내성천을 끼고 펼쳐진 드넓은 백사장에서 물놀이를 즐기다 조용한 고택에서 쉬어가기 괜찮다. 현대적이고 편안한 것 대신 여유있게 한 박자 쉬어가고 싶은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공간이다. 2012년 7월 말에는 아직 인터넷도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고택촌에 왔으니 하룻밤 쯤 묵어봐야 진가를 알터. 무섬마을 홈페이지(www.무섬마을.com)나 관광안내소(054-636-4700)로 고택민박을 문의하면 된다. 대부분은 벼슬도 하지 않던 무섬마을 선비들. 산과 강에 안겨 즐기는 유유자적한 삶이 그려진다. 욕심도 싸움도 없는 고즈넉하고 한가로운 생활이다. 시원한 에어컨 바람에 최첨단으로 무장한 휴가지와는 조금 다른 휴식, 이곳이라면 가능하지 않을까.
여행정보
1.찾아가는길
중앙고속도로→영주IC→28번 국도→5번 국도→(영주 시청 방면)→적서교차로에서 우회전→적서로 448번 길→무섬마을(수도리 전통마을)
중앙고속도로→풍기IC→5번 국도(영주 시청 방면)→적서교차로에서 우회전→적서로 448번 길→무섬마을(수도리 전통마을)
2.맛집
현재까지 무섬마을 안의 유일한 식당 무섬골동반(054-634-8000, 070-8815-8008)에서 식사가 가능하다. 골동반은 궁중에서 먹던 비빔밥을 뜻한다. 섣달그믐 저녁에 먹은 골동반은 한해를 마무리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글로 '부븸밥'이라고 적었다고 전해진다. 무섬골동반, 무섬세면, 무섬 선비정식 등을 맛볼 수 있다.
3.숙소
무섬마을 대부분 고택에서 민박을 겸하고 있다. 무섬마을을 찾은 이들은 강줄기 백사장에서 더위를 식히기도 하고 고택에서 조용히 하루를 묵어가기도 한다. 문의는 무섬마을 홈페이지(www.무섬마을.com)나 관광안내소(054-636-4700)로 하면 된다. 완전 고택도 있고 취사시설을 갖춘 집들도 있다.
전통한옥체험관 054-634-0040, 010-2497-0202
김뢰진 가옥 010-8950-7921
박종우 가옥 016-879-0425
만죽재 고택 010-2497-0202
무송헌 종택 010-2521-2329
<출처> 2012. 8. 9 / 한국관광공사
'국내여행기 및 정보 > - 경북. 울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송 피서여행, 슬로시티 청송에서 지내는 유유자적 여름 피서 (0) | 2012.08.17 |
---|---|
경북 영주, 고고한 선비정신 느끼며 고색창연한 정취에 빠지다 (0) | 2012.08.12 |
문경 용추계곡 - 물과 바위, 그리고 시간이 만들어낸 비경 (0) | 2012.08.10 |
울산 장생포 고래문화특구 - "안녕 고래야, 어디 가니? (0) | 2012.06.28 |
대구의 ‘숨은 속살’ 달성 (0) | 2012.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