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수상 및 후보시

2009 대전일보 신춘문예 당선시 : 비 온 뒤 / 구민숙

by 혜강(惠江) 2009. 1. 2.

 

                    <2009 대전일보 신춘문예 당선시>

 

                        비 온 뒤 -   구민숙 作

 

                     빨랫줄에 매달린 빗방울들 
                     열일곱 가슴처럼 탱탱하다 
                     또르르! 굴러 
                     자기네들끼리 몸 섞으며 노는 
                     싱싱하고 탐스런 가슴이 일렬횡대, 환하니 눈부시다 
                     그것 훔쳐보려 숫총각 강낭콩 줄기는 목이 한 뼘 반이나 늘어나고
                     처마 밑에 들여 놓은 자전거 바퀴는 달리지 않아도 신이 났다
                     빗방울의 허물어지지 않은 둥근 선 안에는
                     주저앉지 않은 꿈들이
                     명랑한 송사리 떼처럼 오글거리고
                     서른여섯 나는, 물컹해진 나의 그것과 비교하며
                     녀석들을 살짝 만져보고도 싶다 
                     그래, 내게도 저런 가슴이 있었지 
                     열일곱, 연분홍 유두가 장식처럼 화사하던,
                     주눅 들지 않은 노래로 충전되어
                     금방이라도 둥실 날아오를 수도 있을 것만 같던

                     나는 바구니에 담아 내 온
                     일곱 살 아이의 반바지와 말 안 듣길 소문 난 신랑의 양말과
                     목욕 수건들과 75 A컵 내 분홍 브래지어를 널지 못한다.

 

 

 

<심사평>

 

"메시지 분명하고 시적 논리 합당"

 

  예심을 거쳐 선자들에게 넘어온 스무 분의 30여 편의 시들 중 선자들에게 마지막까지 남아 당선을 겨룬 작품은 다음 세 편이었다.

  <멀리 보는 잠언>은 요즈음 유행하는 시들의 시류에 편승하고 있다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현실을 인식하는 감각은 신선했고 형상화 방식 또한 개성적이었다. 특히 “석양 무렵 던져진 새들에게서 붉은 사과향이 난다” 같은 표현에서 보이듯 그는 느낌을 형상화하는 데 장점을 지녔다. 그러나 시상의 전체적인 전개가 추상적이고 모호했으며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는지 그 메시지가 불분명했다. 시가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의 한 양식인 한 추상적 전언의 약점은 더욱 치명적인 것이다.

  <허물어지는 것들>은 앞의 작품과 달리 이른바 메시지가 분명한 사실주의적 기율의 시였다. 그러나 그의 시는 현실의 ‘재현’에 충실한 나머지 그 현실적 모사를 한 단계 뛰어넘는, 이른바 시적 비약의 순간을 자기 작품에 구현하지 못하고 있는 약점을 범하고 있다. 그리하여 시들이 피랍선원들과 아홉시 뉴스, 조간 속 활자들을 거쳐 지난 암흑의 시절 “외삼촌이 허물던 야심한 밤들”에까지 육박하고 있으나 그 너머, 다른 세상을 구현하려는 데까진 미치지 못한 채 그야말로 현실의 모사 속에 갑갑하게 갇히고 말았다. 네루다도 얘기한 적이 있지만 “리얼리스트가 아닌 시인은 죽은 시인”이지만 리얼리스트에 불과한 시인 또한 죽은 시인이라는 말을 이 시인은 명심하기 바란다.

  <비 온 뒤>는 우선 깨끗하게 정돈된 작품이며 메시지가 분명하고 시적 논리가 합당하다는 점에서 앞의 작품들의 결점을 충분히 뛰어넘고도 남는 작품이었다. “빨랫줄에 매달린 빗방울들/열일곱 가슴처럼 탱탱하다/또르르! 굴러/자기네들끼리 몸 섞으며 노는/ 싱싱하고 탐스런 가슴이 일렬횡대, 환하니 눈부시다”라는 첫 부분의 표현들에서 보듯 이 시는 어느 날 우연히 목격된 ‘빗방울들’에서 시적 사념을 출발시켜 그것을 약동하는 언어의 충전으로 끌고 나가다가 마침내 그것을 ‘시로써’ 터트릴 줄 아는 기량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선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괜스리 어렵거나 추상적이거나 한 표현 한 구절 없이 자기 소리를 하나의 작품 안에 오롯이 담아낼 줄 아는 그 시적 절제 또한 믿음직스러웠다. 한마디로 싱싱하고 단정하며 마지막 연에서 보듯 장난기 어린 웃음이 배시시 행간 밖으로 삐어져나올 듯한 작품이다. 선자들은 이 작품을 당선작으로 밀면서 그의 감각이, 그의 언어가 사념과 철학을 동반하며서, 오늘의 유행에 주눅들지 않으면서 더욱 깊은 세계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오세영, 이시영)

 

 

 <당선소감>   ˝시는 곧 내 삶…꿈꿀 수 있어 감사˝

 

  많이 부끄럽습니다. 아직 시인이 될 그릇이 못 됨을 누구보다 제가 더 잘 알기 때문입니다. 밥 짓고 빨래하고 학교에서 아이들 가르치는 모든 일들이 시와 같아야 함을, 그 모든 일들이 이미 시임을 알면서도 순간순간 욕심 부리고 옹졸한 마음으로 생활하고 있으니 아직 시인이라는 이름을 받기에는 멀었지요.

  하지만 한 편으론 참 기쁩니다. 3년 동안 기다리고 기다리던 당선의 소식이 마침내 제 몫이 되었다는 것이 꿈처럼 낯설지만 그래도 이 기쁨 무엇과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저의 무엇을 보고 부족한 저의 손을 들어 주셨는지 심사위원님과 대전일보사에 빚을 진 기분입니다.

  이 부끄러움과 감사함을 잊지 않아야겠습니다. 길바닥만 내려다보던 제가 이제 손차양을 하고 길 너머를 꿈꿀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저 너머에 닿으려면 쪼그려 앉아 제 마음속 강물 줄기 오래 바라다보는 일 더 많아야 함을 압니다.

  새벽마다 무릎 꿇고 기도하시는 나의 사랑하는 어머니, 평생을 성실과 부지런함으로 사신 아버지, 당선 소식에 누구보다 기뻐하던 남편과 나의 보석 두 아들들 그리고 처음 시에 입문해서 아무 것도 모르던 제게 가르침을 주신 권선생님과 등단문의 산방거인님께 감사드립니다. 네 기쁨이 온전히 내 기쁨이 된다던 친구와 서림문학회 동인들 감사합니다. 평생 삶으로써 시를 쓸 것을 당부하신 중학교 은사님의 말씀이 앞으로 제 글의 지표가 될 것임을 느낍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 내 하나님 아버지의 영광을 위한 일이어야 함을 또한 압니다.


<출처> 2009. 1. 1 / 대전일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