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수상 및 후보시

<시> 타인의 의미(제8회 미당문학상 후보작) / 김행숙

by 혜강(惠江) 2008. 9. 3.

      

           [제8회 미당문학상] 최종 후보작 지상중계 ② [중앙일보]  


 

“타인을 통해 진짜 나를 찾아”

 

  ‘살갗이 따가워.’첫 행부터 막힌다. “시선이 따갑다고 표현하잖아요. 다른 사람의 눈빛은 보이지 않는데도 촉각으로 맞은 것처럼 느껴지죠.”

  김행숙의 시 ‘타인의 의미’는 이렇게 ‘시선이 따갑다’에서 출발했다. 한 걸음 더. ‘뒤돌아볼 수 없는 햇빛처럼’은 무슨 의미일까.

  “음…. 햇빛이 반사되고 굴절되면서 왔던 곳으로는 가지 못하고 대신 아주 먼 여행을 하잖아요. 인생처럼.” 내친김에 하나 더 묻는다. 모래 한 줌은 대체 왜 흩어질까. “따가운 느낌을 떠올리면 모래가 생각나요.”

  김행숙의 시는 어렵다. 시인의 해석을 듣고 나서도 여전히 그렇다. 시어는 평범한데 시는 낯설고 난해하다. 그렇다고 이해가 마냥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잡힐 듯 잡히지 않을 듯 애태우는 여인 같다. 문혜원 예심위원은 “어느 정도는 알겠는데 그것 이상은 내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진실은 언제나 모호하기에 한 단어로 표현하는 것이 오히려 오해를 부른다. 그래서 김행숙의 언어는 오히려 진실에 가깝다. 시인도 “말할 수 없는 걸 말할 수 있는 장(場)”이 시라고 말한다. 김행숙은 “지금까지 한국시가 한 번도 발화한 적 없는 지점에서 전혀 새로운 목소리를 낸다”는 평을 받으며 예심위원 5명의 만장일치로 최종심에 올랐다.

  그는 “가장 스펙터클하고 흥미진진한 텍스트”인 ‘사람’에 이끌려 시인이 되었다. 그래서 시인의 시 속엔 유독 타인이 많다.

  ‘이를테면, 모자를 쓰는 순간에 나는 귓속말이 전달되는 귓속으로 빨려 드는 것 같았어/이제 마악 의미가 진동하고 있어/너무 가까워서 덜덜 떨려’(‘모자의 효과’ 중)

  화자는 누군가 떨어뜨린 모자를 쓰면서 타인과의 대화를 시도한다. 자신의 영역을 침범받을 만큼 가까운 타인과의 거리에 대한 두려움도 보인다. 시인은 “타인은 완벽한 접근이 불가능한 존재”라며 “두렵고 공포스럽지만 삶을 구성하는 가장 근본은 바로 관계”라고 말한다.

  수많은 인연들 속에서 시인이 부닥치고 싶은 타인은 “나를 찢게 하는 이”란다. 섬뜩하면서도 수긍이 간다. 진실 앞에 드리운 커튼을 찢듯 나를 찢어 진짜 ‘나’를 찾게 하는 이는 바로 타인이니까. 하지만 남을 깊숙이 들여다보기 전에 스스로를 먼저 돌아봐야 하는 게 아닐까. 그런데 시의 화자는 자꾸만 자기를 감춘다. “끊임없이 내면을 익명화해 사실은 김행숙이 누군지 알 수 없게 한다”는 이광호 예심위원의 말처럼.

  시인의 답은 이렇다. “‘나는 어떤 사람이야’라고 확신하는 건 자기를 너무 작게 설정하는 거죠. 음…. 내 속에 내가 너무 많아서 ‘너’랑 같은 ‘내’가 한 명은 있거든요. 그렇게 너와 내가 섞이는 그 느낌이 있는데 나한테 어떻게 이름을 붙여요?”

  첫 문단에서 시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 말았다. 도대체 ‘타인의 살갗’이 어디서 일어나는 거냐고 물었다. 시인은 웃었다.

  “종종 내가 왜 이러는지 모를 때가 있잖아요. 그러니까 내 살갗 자체가 타인의 살갗처럼 낯선 느낌이요. 타인의 살갗이 일어나는 거죠. 내 안에서.”

글=임주리 기자, 사진=김태성 기자

 

<출처> 2008. 8 / 중앙일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