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여자
오 규 원
좁은 난장의 길을 오가며 한 시간씩이나
곳곳을 기웃거리는 저 여자
월남치마를 입고 빨간 스웨터를 걸치고
한 손에 손지갑을 들고 한 손으로
아이들의 내복을 하나하나 들었다 놓았다 하며
이마에 땀을 흘리는 저 여자
시금치 한 단을 달랑 들고 그냥 가지도 오지도
못하고 망설이고 있는 저 여자
임신복을 둘러입고 배를 디룩거리며 정육점의
돼지갈비를 물끄러미 쳐다보는 저 여자
돼지갈비집에서 얻은 뼈다귀를 재빨리 비닐 봉지에
쓸어담아 뒤돌아보며 가는 저 여자
양장점 앞을 피해가는 저 여자
청바지를 입고 맨발로 슬리퍼를 끌고 나와
발뒤꿈치가 새까맣게 보이는 저 여자
간이 의자에 엉덩이를 걸치고 눈을 내리깔고
순대를 먹고 있는 저 여자
한 귀퉁이에 서서 이곳 사람이 아니라는 듯
초조하게 먼 하늘을 보고 있는 저 여자
질퍽거리는 난장의 길 위로 타이탄 트럭에
싸구려 화분을 잔뜩 싣고 온 꽃장수의
치자꽃이 여기가 어딘지도 모르고 척 척 향기를
사방으로 풍기는
흐린 어느 봄날
...............저 여자
거울 속에, 그 여자는 구두를 벗고
거울 속에, 그 여자는 침대 위에 던져 놓은 스타킹을 그대로 두고
거울 속에, 그여자는 흐린 별을 보던 창을 두고
거울 속에, 별에 녹아버린 눈동자를 그냥 두고
그 여자는 , 거울 속에 피우던 담배를 재떨이에 두고
연기 한 줄기 두고
그 여자는, 거울 속에 꽃병에 시든 꽃을 그대로 두고
거울 속에, 그 여자는 마른 눈물을 화장대 위 손수건 사이에 두고
그 여자는 사라졌다
아득히 거울밖으로
오규원
나는 한 女子를 사랑했네.
물푸레나무 한잎같이 쬐끄만 女子,
그 한잎의 女子를 사랑했네.
물푸레나무 그 한잎의 솜털,
그 한잎의 맑음,
그 한잎의 영혼,
그 한잎의 눈,
그리고 바람이 불면 보일 듯 보일 듯한
그 한잎의 순결과 자유를 사랑했네.
나는 정말로 한 女子를 사랑했네.
女子만을 가진 女子,
女子 아닌 것은 아무것도 안 가진 女子,
女子 아니면 아무것도 아닌 女子,
눈물 같은 女子, 슬픔 같은 女子,
病身 같은 女子,
詩集 같은 女子,
영원히 나 혼자 가지는 女子,
그래서 불행한 女子.
그러나 누구나 영원히 가질 수 없는 女子.
물푸레나무 그림자 같은 슬픈 女子.
2월 2일, 타계한 오규원 시인을 추모하며 이글을 옮겨갑니다. 진란님과 함께 그분의 업적을 기리며 애도의 뜻을 표합니다.
* 2월 5일 2시, 강화도 정족산 기슭에서 그의 수목장은 엄숙하게 거행되었습니다.
그의 뼛가루는 그의 제자들의 손에 의하여 뿌려졌습니다.
<손민호기자의문학터치>
시인 오규원, 소나무 아래에 잠들다
소나무 가지가 흔들린다. 바람 한 줄기 불어온 모양이다.
시인 오규원이 갔다. 강화도 정족산 기슭의 소나무 아래에 묻혔다. 이름하여 수목장(樹木葬). 시인의 뼛가루는 송진이 되고 가지가 되었다가, 이윽고 솔방울로 매달릴 것이다.
5일 오후 2시쯤. 산비탈 소나무 숲에 고인의 옛 제자들이 두 손 모아쥐고 둘러섰다. 이창기.이경림.신경숙.황인숙.윤희상.장석남.박형준.양선희.최정례.이원.강영숙.천운영.윤성희.조용미 등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제자들이다. 선생으로부터 호된 꾸지람 들으며 시를 깨우친, 이제는 어엿한 시인과 소설가가 된 제자들이다. 선생의 말씀을 빌리자면 '시를 공부하겠다는 미친 제자들'('프란츠 카프카' 부분)이다.
평생의 절반을 알고 지낸 사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김병익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이 추모시를 읽었다.
'문득 돌아보니,/규원이, 자네가 없네./둘러보아 찾아도/규원이, 자네가 없네./…
규원이, 자네/이제 무엇이 되려는가./여기로부터 자리 옮겨/어디로 가려는가./…
나무 한 가지의 정령이 되어/영원의 하늘로 솟아 날아오르려는가
그것이 허망한가/그것이 슬픈가, 한스러운가.'
시인은 1991년부터 아팠다. 흔히 폐기종으로 알려진, 만성폐쇄성폐질환이란 희귀병을 앓았다. 허파가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기능을 잃어 인간이 누리는 산소의 20%만으로 살아야 하는 병이다. 하여 강원도 인제.무릉, 경기도 양평 등 공기 맑은 곳에서 귀한 숨 아껴가며 시 쓰고 살아왔다.
지난달 숨이 가빠왔다. 병원에 입원했고, 병문안 온 시인 이안의 손바닥에 선생은 손톱으로 시를 썼다.
'한적한 오후다/불타는 오후다/더 잃을 것이 없는 오후다/나는 나무 속에서 자본다'
1월 21일의 일이었다. 그리고 2월 2일, 시인은 66세의 일기를 마감했다. 병문안 왔던 이경림.최정례.양선희는 졸지에 선생의 임종마저 보게 됐다. 추모사에서 신경숙은 "그렇게 편찮으신 대로, 그렇게 늘 곁에 계실 거라고만 생각했다"고 겨우 말했다.
고인은 한글세대를 대표하는 시인이었다. 한국 시사에서 오규원이란 이름은 자체로 하나의 계보였다. 수다한 제자 때문이 아니다. 그가 평생토록 쌓은 시업(詩業), '날이미지의 시론' 때문이다.
'주체중심, 인간중심 사고에서 벗어나서 그 관념을 생산하는 수사법도 배제한, 그러한 상태의 살아 있는 이미지들을 시에 구현하는 것, 그것이 날[生]이미지 시이다.'('날이미지와 시'에서, 2005년)
인간의 관념이나 수사 따위로 오염되기 이전의, 날것 그대로의 이미지를 그는 추구했다. 그래서 시창작실습 시간, 제자들이 밤새 쓴 습작원고에 시뻘건 줄 죽죽 그으며 "시가 되지 않는 것은 버려라" 호통쳤던 것이다.
그렇다고 늘 무섭게 대한 것만은 아니었다. 수업 끝나고나면 선생은 막역한 친구가 됐다. 맞담배를 폈고, 후루룩 함께 라면을 들이마셨다. 87년 제자들이 길거리로 나가겠다고 결의했을 때, 선생은 "막는 것은 옳지 않겠지, 다치지만 말아라…"고 말했다.
강화도 시인 함민복은 꾹꾹 울음을 삼키고 있었다. 집안이 어려워 공장에서 학비를 번 뒤 늦깎이로 선생의 제자가 된 시인이다. 굳이 서울예대를 선택한 까닭을 그는 "오규원 선생이 계시잖아"라고 말한 적이 있다. 그 오규원 선생이 하필이면 떠돌이 시인이 정착한 바로 그 섬에 묻히고 있었다. 선생의 제자 문인들은 그래서, 농반진반으로 그를 능참봉으로 명했다. "선생을 평생 곁에서 모시게 됐다" 했더니 "이제부터는 바람소리 하나도 예사롭지 않겠지요"라고 답한다.
소나무 가지, 또 흔들린다. 문득 바람이 아닐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 손민호 기자
- 2007. 2. 6 / 중앙일보 -
'문학관련 > - 읽고 싶은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지니아참사 추모시> 이 부끄러운 슬픔을 딛고/이해인 수녀 (0) | 2007.04.23 |
---|---|
사상 최대 규모의 시화전, 그림과 붓으로 읊었노라. (0) | 2007.02.06 |
새해의 기원 - 벼랑 끝입니다, 날게하소서 /이어령 (0) | 2007.01.01 |
<시> 무엇을 바라는가 / 정현종 (0) | 2006.10.21 |
<시>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 / 정희성 (0) | 2006.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