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관식2

거산호(居山好) 2 / 김관식 거산호(居山好) 2 - 김관식 오늘, 북창을 열어 장거릴 등지고 산을 향하여 앉은 뜻은 사람은 맨날 변해 쌓지만 태고로부터 푸르러 온 산이 아니냐. 고요하고 너그러워 수(壽)하는 데다가 보옥(寶玉)을 갖고도 자랑 않는 겸허한 산. 마음이 본시 산을 사랑해 평생 산을 보고 산을 배우네. 그 품 안에서 자라나 거기에 가 또 묻히리니 내 이승의 낮과 저승의 밤에 아아(峨峨)라히 뻗쳐 있어 다리 놓는 산. 네 품이 고향인 그리운 산아 미역취 한 이파리 상긋한 산 내음새 산에서도 오히려 산을 그리며 꿈 같은 산 정기(精氣)를 그리며 산다. - 《창작과 비평》”(1970) 장거리 : 장이 서는 거리, 세속적인 삶의 공간 수(壽)하는 : 오래 사는 보옥(寶玉) : 보석 아아(峨峨)라히 : 산이나 큰 바위가 험할 정도.. 2020. 3. 21.
거산호 I - 경가도어(耕稼陶漁)의 시 / 김관식 거산호 I -경가도어(耕稼陶漁)의 시 - 김관식 산(山)에 가 살래 팥밭을 일궈 곡식(穀食)도 심구고 질그릇이나 구워 먹고 가끔, 날씨 청명(淸明)하면 동해(東海)에 나가 물고기 몇 놈 데리고 오고 작록(爵祿)도 싫으니 산에 가 살래 -《창작과 비평》(1970) 작록(爵祿) : 관작(官爵)과 봉록(俸祿)을 아울러 이르는 말.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세속을 떠나 산에 가서 소박하게 살고자 하는 마음을 장난기 어린 말투로 노래하고 있다. 이 시의 제목 ‘거산호(居山好)’는 ‘산에 사는 것을 좋아한다’라는 의미이며, 시의 부제는 ‘경가도어(耕稼陶漁)의 시’로 되어 있다. ‘경가도어(耕稼陶漁’라는 말은 ‘맹자(孟子)’에 전하는 말로, ‘밭을 일궈(耕), 씨를 뿌리고(稼), 스스로 질그릇을 구워 쓰고(陶), 낚.. 2020.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