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의 윤동주 추모
‘만나지 못한 연인’ 윤동주·이바라기, 일본서 함께 기리다
나리카와 아야 전 아사히신문 기자
▲윤동주 시인의 기일인 지난 2월 16일 교토 도시샤대에서 추모행사가 열렸다. 그를 기리는 많은 한국인과 일본인이 시비 앞에 헌화하고 있다.
2월 16일은 윤동주 시인의 기일이다. 그는 광복 6개월 전인 1945년 이날 일본 후쿠오카(福岡)형무소에서 옥사했다. 올해 기일엔 시인이 유학했던 교토(京都) 도시샤(同志社)대에서 추모행사가 열렸다.
윤동주를 사랑하는 일본인들, 이바라기가 쓴 윤동주 관련 에세이
일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려
원문 보려 한글 배운 서예가 다나카, 한국어·일본어 콜라보 ‘서시’ 남겨
교토의 시비, 후쿠오카형무소 근처, 매년 2월 16일 기일 맞춰 추모행사
도시샤대엔 시인의 대표작 ‘서시’의 시비가 있다. 95년에 세워진 시비 주변에는 한국을 상징하는 무궁화와 북한을 상징하는 진달래, 그리고 대학 창립자 니지마 죠(新島襄)가 사랑한 매화나무가 있다. 시비 뒤에는 “민족을 넘어 사람들의 마음을 울린 윤동주를 추모한다”는 글이 쓰여 있다. 윤동주는 한국과 북한, 일본 그리고 중국과도 인연이 있는 인물이다. 이날 일본인과 한국인 그리고 재일 코리안이 모여서 시비에 꽃을 바쳤다.
도시샤대뿐만 아니라 그 전에 시인이 유학했던 도쿄(東京) 릿교(立教)대와 후쿠오카형무소가 있던 근처에서도 매년 추모행사가 열린다. 올해는 그를 기리는 한국사람들이 이 세 곳을 돌며 일본의 윤동주를 사랑하는 사람들과 교류하는 여행을 기획했다. 필자도 이 행사에 통역을 겸해 참가했다.
일본 식민지배와 전쟁책임 생각하는 시간
▲오사카 한국문화원에 전시된 다나카 유운의 서예 작품. 한국어와 일본어로 윤동주 시인의 시를 썼다.
일본에서 매년 윤동주를 추모하는 행사가 열린다는 사실이 한국엔 잘 안 알려져 있다. 많은 일본의 윤동주 팬은 해마다 2월에 만나 27세라는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를 추모한다. 그건 물론 일본의 식민지배와 전쟁책임을 생각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한·일 관계가 악화할 때마다 혐한을 외치는 일본사람들이 한국 매체에 등장한다. 하지만 한·일 역사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일본사람들도 많이 있다는 사실은 별로 소개되지 않아 아쉽다.
한편 오사카(大阪) 한국문화원은 이 시기에 한글 서예전을 열었다. 한국 쪽은 가수로도 활동하는 홍순관의 작품, 일본 쪽은 다나카 유운(田中佑雲)이라는 서예가의 작품이 전시됐다. 다나카는 안타깝게도 지난 1월 갑자기 돌아가셨다. 그는 일본어로 번역된 ‘서시’에 감명을 받아 원문을 이해하고 싶어서 한글을 배우기 시작했다고 한다. 다나카의 작품 중 하나는 ‘서시’의 일부분인데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부분은 한국어로,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부분은 일본어로 썼다. 한 작품 안에서도 한·일 ‘콜라보’를 볼 수 있었다.
그런데 홍순관이 원래 기획한 서예전은 한국과 일본뿐 아닌 재일 코리안 서예도 함께 전시하는 것이었다. 오카야마현(岡山県)에 있는 조선학교 학생들의 작품을 함께 걸고 싶었는데 오사카 한국문화원 쪽에서는 ‘조선학교’라는 것이 걸렸는지 한·일 작품만 전시했다.
요즘의 남북 관계를 생각하면 이렇게 선을 긋는 것은 의외였다. 특히 윤동주를 주제로 한 전시인데 말이다. 홍순관은 “한국에서도 요즘 학교에서 안 가르치는 한글 서예를 재일 코리안 아이들이 배우고 있다는 사실에 감동을 받았다”며 “그래서 전시회를 기획한 것”이라고 했다. 다음에 한국에서 서예전을 할 때는 오카야마에 가서 학생들의 작품을 받아 꼭 전시할 생각이라고 한다.
오사카에서는 서예전 외에도 오사카 한국총영사관과 한국의 산문작가협회가 주최하는 윤동주를 추모하는 행사가 열렸다. 오사카는 윤동주와 직접 관계가 있는 곳은 아니지만, 일본사람과 재일 코리안이 함께하는 ‘윤동주와 우리 모임’이 있다. 매년 시를 낭독하거나 윤동주에 대해 발표를 하는 시간을 가진다. 그 멤버들과 한국에서의 일행이 교류하는 행사였는데 영사관의 지원을 받은 덕분에 도쿄에서도 게스트가 오기도 했다.
▲일본의 대표적인 시인 이바라기 노리코는 윤동주의 존재를 일본에 널리 알렸다.
이 행사는 윤동주뿐만 아니라 일본의 시인 이바라기 노리코(茨木のり子)도 함께 추모하는 행사였다. 윤동주가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시인인 것처럼 이바라기도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시인이다. 그뿐 아니다. 이바라기는 윤동주의 존재를 일본에 널리 알린 장본인이기도 하다.
도쿄에서 게스트로 참가한 재일 코리안 작가 서경식은 “두 시인은 만나지 못한 애인 같은 관계”라고 말했다. 이바라기가 윤동주에 대해 알게 된 것은 그가 옥사한 지 한참 뒤다. 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세상에 나온 것이 그가 죽은 다음이라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그녀의 에세이를 보면 윤동주 시인에게 연애 감정을 갖고 있던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 에세이는 『한글로의 여행(ハングルへの旅)』이라는 책에 나오는데 그것이 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렸다. 1990년부터 현재까지 무려 77만 부가 나갔다고 한다. 77만 명이 고등학생 시절에 윤동주라는 시인과 만났다는 것이다. 지쿠마서방(筑摩書房)이라는 출판사의 교과서인데 그 당시 지쿠마서방 편집자였던 노가미 타쓰히코(野上龍彦)에 의하면 이바라기도 그 에세이가 교과서에 실릴 리가 없다고 생각했었다고 한다. 교과서에 실리기 위해서는 일본 군국주의의 희생자인 시인의 이야기가 문부성(당시)의 검정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검정을 통과시키려고 노력한 노가미는 “윤동주 시인의 삶을 배우는 것은 일본 고등학생들에게도 살아가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고 한다. 그 당시 다른 교과서의 검정 때문에 문제가 생겼었다. 그 틈을 타서 아슬아슬하게 통과시켰다고 한다. 교과서에 실린 것이 도시샤대 시비 건립에도 크게 도움이 되었다. 도시샤대 추모행사 후 강연회에서 노가미는 뿌듯한 표정으로 “좋은 일을 했다고 자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연을 들은 숙명여대 김응교 교수는 “강연 내용은 한국인이 잘 모르는 귀중한 증언이었다. 일본에서 진실을 원하고 알리는 시민들이 얼마나 고된 과정을 겪으며 평화의 문을 열어가는지 우리가 알아야 한다”며 “일본시민의 고된 노력을 이해할 때, 한국과 일본의 진정한 대화는 가능할 것이다. 양국에서 정치하는 사람들도 한·일 시민들의 절실한 바람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바라기가 한국이나 한글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어쩌면 서경식이었을지도 모른다. 서경식은 서승과 서준식의 친동생이다. 두 형은 서울 유학 중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어 수감됐다. 그 당시 많은 재일 코리안 유학생들이 ‘북한의 간첩’이라는 혐의로 잡히는 사건들이 일어나 일본에서는 무죄를 호소하는 지원 활동이 벌어졌다. 서경식은 수감된 형 서준식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이바라기의 시집을 보냈는데 서준식은 그 시집을 한국어로 번역해서 동생에게 편지로 보냈다고 한다. 서경식은 그 사실을 당시 일면식도 없었던 이바라기에게 알렸더니 이바라기가 서경식이 살던 교토까지 일부러 찾아왔다.
이바라기, 윤동주 존재 일본에 알린 장본인
그 후 2006년에 이바라기가 죽을 때까지 친하게 지냈다고 한다. 이바라기가 죽은 다음 본인이 쓴 사망통지서도 받았다. 죽기 전에 사망 날짜만 비워 놓고 써 놨다가 죽은 다음 조카가 날짜를 쓰고 보낸 모양이다. 친한 사람들에게 인사하고 떠난 것이다. 정말 끝까지 매력적인 사람이었다.
2017년은 윤동주 탄생 100주년으로 한국에서는 많은 행사가 있었지만, 그해가 지나고 나서는 조용해졌다. 오히려 일본은 100주년과 상관없이 꾸준히 시인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갖고 있다. 한국에서의 참가자들은 그 모습을 보고 감동했다. 내년에 또 한·일 합동 추모 행사를 하자는 이야기도 벌써 나오고 있다. 사실 오사카의 행사는 내가 처음 제안한 것이었지만, 한·일 간의 문화 차이도 있어 실현하는 데 많은 문제가 생기기도 했다. 당일의 통역은 짧은 시간이었지만 행사가 성립될 때까지 수시로 통역과 번역을 맡아 솔직히 지친 적도 있었다. 그런데 나보다 더 고생한 오사카 쪽 주최자가 당일의 교류를 보며 “무엇보다 윤동주 시인이 하늘에서 기쁜 마음으로 지켜보고 계실 것”이라고 한 한마디에 피로가 싹 풀렸다.
※나리카와 아야(成川彩) 2008~2017년 일본 아사히신문에서 주로 문화부 기자로 활동한 후, 동국대 영화영상학과 석사과정에 유학. 한국영화에 빠져서 한국에서 영화를 배우면서 프리랜서로 일본(아사히신문 GLOBE+ 등)과 한국(TV REPORT 등)의 여러 매체에 영화 관련 칼럼을 집필 중
<출처> 2019. 3. 2 / 중앙일보
'문학관련 > -문화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원한 도시’ 로마, 역사의 실험실을 만나다 (0) | 2019.03.05 |
---|---|
레이디 가가 ‘섈로’ , 불운과 행운 모인 것이 인생…절망 속에도 꿈꾸는 희망 (0) | 2019.03.02 |
100년만에 다시 나온 독립선언서 : 종교개혁연대 발표 (0) | 2019.03.01 |
3·1운동 막전막후, 전국 100만명이 "독립만세" (0) | 2019.03.01 |
수원 예기(藝妓) 김향화, 위생검사의 날 동료 30여명 이끌고 '대한독립만세' (0) | 2019.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