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기 및 정보/- 광주. 전남

진도 운림산방, 구름 숲 속 화가의 방

by 혜강(惠江) 2017. 8. 28.

 

진도 운림산방

구름 숲 속, 화가 허련(許鍊)

 

 

 

운림산방 뒤 첨찰산에 아침 안개가 뿌옇다.


 

 

  비 오는 날 진도에 있다면 운림산방으로 가야 한다. 구름 숲 속 화가의 방, 쓸쓸한 툇마루에 앉아 눈을 감으면 연못에 물 듣는 소리, 상록수림 속 휘파람새 소리, 이웃 절집의 목탁 소리가 들린다. 비를 맞으며 피어오른 수련을 보노라면, 100여 년 전 이곳에서 지낸 화가가 죽을 때까지 붓을 놓지 못한 이유를 알 것 같다.

 

  구름 운(雲)에 수풀 림(林). 진도 최고봉 첨찰산 자락에 아침저녁으로 피어오르는 안개가 구름 숲을 이룬다는 운림산방은 조선 후기 남종화의 대가 소치 허련(허유)이 말년을 보낸 집이다.

 

 

 

[왼쪽/오른쪽]허련이 머문 소박한 살림집 / 운림산방에 있는 화실

 

 

 

  1808년 진도읍 쌍정리에서 태어난 허련은 어려서부터 그림에 뛰어난 재주를 보였다. 20대 후반에는 해남 대둔사의 초의선사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30대 초반에는 그의 소개로 한양에 가서 추사 김정희의 제자가 되었다. 추사는 "압록강 동쪽에는 소치를 따를 만한 화가가 없다"며 허련을 아꼈고, 그 또한 스승의 기대에 부응하여 왕실의 그림을 그리고 관직을 받는 등 조선 제일의 화가로 이름을 떨쳤다.

 

  하지만 당쟁에 휘말린 추사가 유배를 거듭하다 세상을 뜨자, 허련은 고향으로 돌아와 첨찰산 쌍계사 옆에 소박한 집을 짓는다. 이때가 1857년, 소치가 49세 때 일이다. 그는 운림산방에서 죽기까지 작품 활동에 전념했다.

 

 

 

 

수련이 핀 운림지가 아름답다.


 

  예술가의 타고난 감성 때문일까. 소치는 운림산방을 이름처럼 멋지게 꾸몄다. 작은 집 앞에 널찍한 연못(운림지)을 파고 한가운데 둥근 섬을 만들어 배롱나무 한 그루를 심었다.

 

  지금도 여름이면 연못 가득한 수련과 함께 붉은 배롱나무꽃이 핀다. 이 아름다운 연못은 영화 <스캔들 : 조선남녀상열지사>를 촬영한 곳이기도 하다.

 

 
운림지 한가운데 섬에는 여름이면 배롱나무꽃이 만발한다.


 

  1893년 86세로 세상을 떠나기까지 소치의 예술혼 또한 그가 심은 배롱나무꽃처럼 활짝 피어났다. 그 예술혼은 아들 미산 허형과 손자 남농 허건을 거쳐 증손자, 고손자까지 5대에 이어지는 화가 집안의 전통을 세웠다. 덕분에 진도는 우리나라 남종화의 중심지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여백을 중시하는 남종화는 사방이 트인 건물에서 보는 풍경 같을까


 

  남종화는 중국에서 시작된 수묵담채화다. 화려한 채색화인 북종화를 주로 전문 화가들이 그렸다면, 수묵에 은은한 색깔을 더한 남종화는 문인의 필수 교양이었다. 조선의 선비 또한 중국 남종화의 전통을 받아들여 시, 서, 화의 맥을 이었다.

 

  빈틈없이 색칠하는 북종화와 달리 남종화는 여백을 중시한다. 남종화의 여백은 빈 부분이 아니다. 어느 때는 구름이다가, 다른 곳에서는 물살이 되었다가, 다시 안개로 변해 산허리를 감고 올라간다. 운림지에서 피어오른 물안개가 첨찰산을 타고 올라 구름이 되듯이, 그림 속 여백은 텅 빈 채로 변화무쌍하다.

 

  
 

[왼쪽/오른쪽]허련 일가의 작품을 전시하는 소치기념관 / 운림산방 옆에 자리한 남도전통미술관
 


  현재 운림산방 주변에는 건물 몇 채가 더 들어섰다. 바로 옆에 있는 소치기념관은 허련과 그 자손의 작품을 전시하는 공간이다. 거기서 조금 더 가면 진도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진도역사관이, 입구 옆에는 진도군이 배출한 또 다른 화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남도전통미술관이 자리 잡았다. 진도역사관에서는 삼별초가 대몽 항쟁을 이어간 용장성, 고려와 조선 수군의 흔적이 있는 남도진성 등 진도의 역사 유적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첨찰산을 휘감는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


 

  운림산방 뒤에는 사시사철 푸르른 숲이 울창하다. 신라 시대 고찰 쌍계사에서 시작하는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천연기념물 107호)은 첨찰산 자락을 휘감아 그 넓이가 약 62만 ㎡에 달한다.

 

 

  동백나무, 후박나무, 참가시나무, 종가시나무, 모새나무, 참식나무 같은 상록수활엽수가 졸참나무, 자귀나무, 느릅나무, 쥐똥나무, 갈매나무, 굴피나무 등 낙엽활엽수와 어울려 숲을 이룬다. 운림산방과 쌍계사는 담장 없이 이웃해서, 쌍계사 상록수림은 소치의 산책로였다고 한다. 나뭇잎에 빗방울 떨어지는 소리가 비 오는 날 운림지 연잎에 물 듣는 소리만큼 듣기 좋다.

 

  운림산방과 쌍계사 상록수림에서 비 오는 날의 정취를 충분히 즐겼다면, 진도의 또 다른 관광 명소를 찾아보자. 특히 아이와 함께하는 가족 여행객이 빼놓지 말아야 할 곳이 있다. 진도 진돗개(천연기념물 53호)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진도개테마파크다. (진도 사람들은 '진도에 사는 모든 개'를 진돗개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진도 특산 개 품종'을 진도개로 구분한다.) 이곳에서는 진돗개 사육과 공연, 강아지 체험과 분양 등이 원 스톱으로 진행된다. 매주 토·일요일 오후 1시부터 진돗개 공연, 장애물 통과 묘기(어질리티), 경주도 볼 수 있다.

 

 
 

[왼쪽/오른쪽]진도향토문화회관은 예향 진도에 있는 대규모 공연장이다. / <토요민속여행> 상설 공연의 인기 레퍼토리, 창극 '심청전'


 

  진도향토문화회관에서는 토요일 오후 2시 <토요민속여행> 상설 공연이 열린다. 예향 진도는 강강술래, 남도들노래, 진도다시래기, 진도씻김굿 등 국가무형문화재가 4개다. 이중 강강술래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기도 하다. 그래서일까, 진도는 군 단위로 드물게 대규모 공연장을 갖추고 군립민속예술단을 운영한다. 이들은 진도아리랑, 진도북춤, 다시래기, 남도민요 등 다달이 조금씩 다른 레퍼토리로 관람객을 맞이한다.

 


<당일 여행 코스>
운림산방→진도 쌍계사 상록수림→진도개테마파크→진도향토문화회관(토요민속여행)→세방낙조전망대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운림산방→진도역사관→진도 쌍계사 상록수림→진도개테마파크→진도향토문화회관(토요민속여행)→세방낙조전망대
둘째 날 / 신비의 바닷길→진도 용장성→이충무공벽파진전첩비


문의전화

진도군청 관광문화과 061)540-3422
운림산방 061)543-0088
남도전통미술관 061)540-6286
진도역사관 061)540-6286
진도 쌍계사 061)542-1165
진도개테마파크 061)540-6306, 6312
진도향토문화회관 061)540-6253


대중교통 정보

[버스] 서울-진도, 센트럴시티터미널에서 하루 4회(07:35, 09:00, 15:30, 17:35) 운행, 약 5시간 소요. 동서울종합터미널에서 하루 2회(09:10, 16:20) 운행, 약 5시간 40분 소요. 진도공용터미널에서 사천리행 농어촌 버스, 약 15분 소요.
* 문의 : 센트럴시티터미널 02)6282-0114 이지티켓 www.hticket.co.kr 동서울종합터미널 1688-5979, www.ti21.co.kr


자가운전 정보

서해안고속도로 목포 IC→서호교차로에서 삼호·목포 방면→호등교차로에서 관광레저로·화원 방면→남동교차로에서 남산로·금갑 방면→운림산방로에서 운림산방·쌍계사 방면→운림산방


숙소

진도한옥펜션 : 의신면 진도대로, 061)544-7316(굿스테이)
태평모텔 : 진도읍 남동1길, 061)542-7000
가휴재 : 임회면 아리랑길, 010-4640-7189
진도관광모텔 : 군내면 진도대로, 061)542-2123
피아노모텔 : 진도읍 남문길, 061)542-1001


주변 음식점

달님이네맛집 : 한정식, 진도읍 서문길, 061)542-3335
묵은지 : 갈빗살, 진도읍 남동1길, 061)543-2242
버섯마을 : 백반, 진도읍 동외1길, 061)544-6446
궁전음식점 : 뜸북국, 진도읍 옥주길, 061)544-1500
옥천횟집 : 회정식, 진도읍 철마길, 061)543-5664


주변 볼거리

진도 남도진성, 진도대교, 진도타워, 조도, 관매도, 도리산전망대, 장전미술관, 진도미르길 등

 

 글, 사진 : 구완회(여행작가) / 기사 제공 : 한국관광공사



[출처] 2017. 8. 22 / 조선닷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