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과 사색
안병욱
-인간은 사회 속에서 사물을 배울 수 있다. 그러나 영감을 받는 것은 오직 고독 속에서다-괴테
제일의 탄생
사람은 두 번 태어난다. 한 번은 존재하기 위해 태어나고 한 번은 생활하기 위하여 태어난다. 우리는 어머니의 뱃속에서 출생하여 이 세상에 내던져진다. 나의 몸뚱이가 태어나는 것이다. 그것은 나의 생명의 탄생이요 신체의 탄생이다. 필자는 이것을 제 1의 탄생이라고 일컫는다. 그러나 인간에게는 제 2의 탄생이 있다. 자아가 탄생하고 나의 정신이 태어나는 것이다. 우리는 청년 시대에 이것을 경험한다.
사람은 제 2의 탄생과 더불어 참된 자기가 되고 진실한 인간이 될 수 있다. 동물에는 제 1의 탄생밖에 없다. 동물은 정신 탄생과 자아의 탄생을 모른다. 오직 인간만이 제 2의 탄생을 갖는다. 인간은 신체적 존재인 동시에 신체를 넘어서는 정신적 존재다. 인간은 육을 가진 영이다. 우리는 육체의 차원에 속하면서 동시에 자아와 인격과 정신의 차원에서 살아간다. 여기에 인간의 영광과 존엄성이 있는 동시에 고민과 불안이 또한 따른다.
인간을 동물의 질서에서 엄연히 구별하는 것은 제 2의 탄생이다. "에밀"의 저자 루소는 이렇게 말하였다. '모든 사람은 세상에 두 번 태어난다. 한 번은 어머니로부터 하나의 생명으로 탄생하고, 한 번은 인간으로서 사회에 태어난다.' 이것은 인간의 2중 탄생을 간결하게 표현한 명언이다. 탄생에는 언제나 심한 고통이 따른다. 어머니는 자기의 생명을 걸고 자식을 낳는다.
제 1의 탄생에서는 한없는 신체의 고통이 동반한다. 제 2의 탄생에서는 신체적 고통 대신에 정신적 고뇌가 따른다. 우리의 정신은 불안의 골짜기를 헤매야 하고, 회의의 안개에 휩쓸려야 하고, 허무의 어두운 밤을 방황하고, 절망의 절벽에 부딪쳐야 한다. 자신 만만한 생의 충실감을 느끼는가 하면 걷잡을 수 없는 인생의 좌절감을 경험하게 된다. 즉 빛과 어둠의 교차를 체험한다. 그것은 제 2의 탄생을 위한 인간 자아의 악전 고투요 정신적 몸부림의 현상이다.
인생의 의미와 자기의 운명의 부조리에 대해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게 된다. 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 것이며, 또 무엇을 해야 하고 어떻게 인생을 살아야 하는가, 무엇이 '참'이고 무엇이 '거짓'이며 생의 목적과 의의는 어디에 있는가? 젊은이들은 인생의 이러한 근본적인 위문 앞에 엄숙히 서게 된다. 그러나 아무도 시원한 해결과 대답을 제시해 주지 않는다. 스스로 탐구해야 한다. 그는 회의로 잠 못 이루는 밤을 경험해야 하고 자기의 생을 저주하고 싶은 우울한 심정을 느낀다. '나를 이 세상에 이끌어 온 자는 도대체 누구인가? 만일 그러한 자가 있다고 하면 나는 그에게 항의하고 싶다.' 이 말은 덴마크의 고독한 실존 철학자 키에르케고르가 인간의 존재의 우연성에 관해서 항의한 말이다. 이것은 비단 키에르케고르만의 항의가 아닐 것이다. 제 2의 탄생을 경험하는 젊은 혼들이 인생의 어느 시기에 반드시 한 번은 던지게 되는 생의 항의다.
우리는 분명히 이 세사에 내던져진 존재다. 하이데거의 표현을 빌린다면 피투성의 존재다. 게보르펜하이트의 자각이다. 누가 무엇 때문에 나를 지금 여기에 한 인간으로 내던졌는가? 기독교에서는 이것을 하나님의 섭리로 돌린다. 불교는 인연이요, 업보라고 한다. 어떤 이는 이것을 운명에 돌리기도 하고 우연에 돌리기도 한다.
실존 철학자들은 이것을 인생의 부조리라고 한다. 내가 지금 여기에 한 인간으로서 실존하는 데 대해서 아무도 합리적인 해석과 이유를 부여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인생은 부조리하다는 것이다. 파스칼은 그의 명저 "팡세"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내 인생의 짧은 기간이 내 앞과 뒤에 연결된 영원 속에 매몰되며 내가 차지하고 있는 이 조그마한 공간이 나를 알지도 못하고, 또 나도 알지 못하는 무한의 공간의 영원한 침묵은 나를 전율케 한다.'
이것은 '내'가 지금 여기에 실존하는 데 대한 파스칼의 철학적 회의의 말이다. 분명히 인생은 하나의 수수께끼요, 부조리요, 아포리아다. 젊은 생명들이 이러한 문제에 회의와 사색의 눈초리를 돌릴 때 그는 정신의 제 2의 탄생을 겪고 있는 것이다. 청년은 인생의 제 2의 탄생을 맞이하는 시기다. 인생에서 참으로 중요하고 보람 있는 것은 제 2의 탄생이다. 왜냐하면, 제 2의 탄생이야말로 새로운 자아, 참된 자기, '나'다운 내가 태어나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는 존재의 차원에서 생활의 차원으로 비약하는 것이다.
<끝>
'문학관련 > - 단문(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필) 해학송(諧謔頌) / 최태호 (0) | 2014.01.11 |
---|---|
(수필)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 / 박완서 (0) | 2014.01.11 |
(수필) 딸에게 / 피천득 (0) | 2014.01.11 |
(수필) 청추수제(淸秋數題) / 이희승 (0) | 2014.01.11 |
(수필) 싸리꽃 / 조병화 (0) | 2014.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