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가송리
낙동강 상류의 아늑한 강마을
아름다운 소나무와 푸른 강물 어릴 적 시골 외갓집 떠올라
*쏘두들에서 굽어본 고산협과 학소대 *
청량산 축융봉(845m) 서편 자락을 휘어 감고 굽이쳐 흐르는 낙동강 상류의 맑은 물을 끼고 아늑한 강마을이 앉아 있다.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마을이다.
농촌진흥청 및 환경부가 농촌전통테마마을 및 생태우수마을로 지정한 마을이다. 아름다운 소나무가 많다고 해서 가송(佳松)이요, 금상첨화로 푸른 강물도 어우러지니 경치야 말할 것도 없다.
찾아갈 고향이 없는 도시인들에게 아련한 향수를 던져주는 곳으로 어릴 적 시골 외갓집을 떠올리게 하는 정경이 펼쳐진다. 퇴계 이황 선생도 이 강변을 즐겨 거닐며 시를 읊조리곤 했다.
안동 도산서원 입구와 봉화 청량산 입구를 잇는 35번 국도를 따르다가 가송리로 들어오는 샛길로 빠지면 쏘두들 마을을 만난다. 스무 자가 넘는 깊은 소(쏘)에 물고기들이 몰려 산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이 마을, 특히 가송사랑방에서 굽어보는 경치가 일품이다.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 양편으로 절벽이 솟아 있고 그 앞으로는 우람한 산봉우리가 딱 버티고 서 있다. 두 절벽 사이로 협곡을 이룬 이곳을 고산협 또는 가송협이라고 하는데 오른쪽 절벽보다는 왼쪽 절벽이 단연 돋보인다. 왼쪽 절벽은 크게 둘로 갈라져 있으며 외병대(외취병)와 학소대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고산협을 휘돌아 흘러가는 물길 저 아래로 걸린 다라도 운치를 돋운다. 가사리 마을 사람들을 바깥세 상과 이어주는 다리다. 학소대에는 1960년까지 천연기념물 200호인 먹황새(오학)가 서식했으나 지금은 볼 수가 없고 '오학번식지비'만 남아 있다.
곳곳에 퇴계 이황의 발자취가 아로새겨지고
도영담과 냉천을 지나 다리 쪽으로 내려가다가 강물 건너편 절벽 아래를 보면 운치 있는 정자 하나가 눈길을 끈다. 위쪽에서 고산협을 굽어보았을 때는 학소대 절벽 뒤에 숨어 보이지 않았던 정자다. 날골(지금의 가사리)에 살던 퇴계의 제자 금난수가 지었다는 고산정이다. 퇴계는 도산서원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다가 낙동강 물줄기를 30여리나 거슬러 이곳을 찾아와 시를 읊고 풍류를 즐겼다고 한다.
청량산 축융봉 서남쪽 기슭에 앉아 있는 가사리 마을에는 홍건적 난 때 이곳으로 피난 왔던 공민왕의 딸을 모시는 부인당(공주당)이 있다. 해마다 정월 대보름 전날 밤과 단오 전날 밤이면 이곳에서 열리는 동제가 수백 년이나 이어져 내려온다고 한다.
가사리 입구를 지나면서 낙동강은 오른편으로 크게 돌아간다. 월명담 등의 웅덩이들과 벽력암 등의 암벽들을 비롯해 여러 경승들이 이어진다. 가송리를 비롯해 단천리, 원천리, 분천리, 토계리 등, 퇴계가 거닐었던 낙동강변 옛길 주변의 경승지 이름들은 거의 대부분이 퇴계가 지은 것이라고 한다. 어디 이름만 지었는가. 이름을 붙일 때마다 시를 지으며 자연을 칭송하지 않았던가.
벽력암을 지나면 고풍스럽고 우아한 한옥들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올미재 마을의 농암종택과 분강서원이다. 농암종택은 본디 도산면 분천리에 있었다가 안동댐 건설로 수몰될 위기에 처하자 여러 곳으로 건물을 옮겼다. 그러다가 농암의 17대손인 이성원 박사(강호문학연구소장)가 이곳에 새 터를 잡은 것이다.
고즈넉한 강변 분위기가 일품인 농암종택에서 하룻밤을
* 분천리에서 가송리 올미재로 옮긴 농암종택에서는 고택 민박 체험을 할 수 있다.
* 고려 때 별채로 지은 농암종택 긍구당 *
농암 이현보 선생(1467~1555)은 연산군 4년(1498년) 문과에 급제했으나 바른말을 하다가 안동으로 귀양 갔다. 중종반정 이후 복직된 농암은 밀양부사, 안동부사, 충주목사, 성주목사, 병조참지, 동부승지, 부제학 등을 역임하면서 많은 인재를 양성하다가 형조참판에 이르러 은퇴하려고 했으나 윤허를 받지 못했다. 그러자 농암은 건강을 상해 휴양해야 한다는 핑계로 귀향하여 제자들을 가르치고 시를 읊으며 여생을 보냈다. 효빈가, 농암가, 어부사, 춘면곡 등의 작품을 남겼다.
농암종택에서 가장 멋스러운 건물은 긍구당이다. 고려말 별당으로 지은 긍구당은 옛 선비들의 우아한 풍류와 소박한 성품을 더불어 느낄 수 있는 아담한 건물로 난간과 마루가 특히 아름답다.
사랑채 마루 문 위에는 선조가 '베풀며 살라'는 뜻으로 친필로 써준 적선(積善)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근래에는 분강서원도 옛 모습 그대로 옮겨졌다. 분강(汾江)은 농암이 분천리 앞으로 흐르던 낙동강을 일컫던 이름이다.
농암종택은 건물들도 아름답지만 낙동강 상류의 수려한 풍경과 어우러져 한결 정취가 돋보인다. 외딴 강변에 위치한 만큼 고즈넉한 분위기를 음미하기에도 그만이다. 더욱이 일반인들도 농암종택(054-843-1202)의 사랑채, 대문채, 별채, 긍구당, 농가주택에서 호젓하게 고택 민박 체험을 할 수 있다. 강물 소리를 벗 삼아 드는 잠은 더없이 달디 달다.
* 근래에 옛 모습 그대로 옮겨진 분강서원 *
찾아가는 길
서안동 나들목에서 중앙(55번)고속도로를 벗어난 다음 34번 국도-안동-봉화 방면 35번 국도-도산서원 입구를 거친다. 봉화군과의 경계 직전에서 분강촌, 농암종택 이정표를 보고 우회전, 2.7km 가량 달리면 가송리 쏘두들을 지나 농암종택에 닿는다. 대중교통은 중앙선 열차나 고속버스 등을 타고 안동으로 온 다음 가송리 입구행 시내버스 로 갈아탄다.
맛있는 집
안동댐 아래의 민속경관지에 있는 까치구멍집(054-821-1056)에 들르면 안동의 향토음식 가운데 하나인 헛제삿밥을 맛볼 수 있다. 제사가 없는 날에 제사 음식처럼 차려 주로 밤참으로 먹던 것을 헛제삿밥이라고 하는데, 이 옛 풍습을 재현해 별미로 내는 것이다. 고춧가루와 마늘 같은 자극적인 양념을 피하고 참기름, 깨소금, 재래식 간장 등으로 맛을 내므로 담백하고 고소하다. 이외에 쇠고기산적, 메밀묵, 식혜, 감주 등도 낸다.
<출처> 2011/03/17 - 한국일보
'국내여행기 및 정보 > - 경북. 울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영양 대티골, 눈부시게 푸르름을 맛보다 (0) | 2011.05.18 |
---|---|
안동 하회마을, 가장 한국적인 모습을 간직한 곳 (0) | 2011.05.03 |
영천 백흥암, 단청이 없어 더 고색창연한 비구니 선원 (0) | 2010.11.24 |
경북 울진 신선계곡,'절대고요’ 속 비경(秘境) (0) | 2010.11.02 |
봉화 청량사, 연꽃 꽃 술에 창건… 전설의 고찰 (0) | 2010.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