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은(純銀)이 빛나는 이 아침에
-오탁번
순은이 빛나는 이 아침에
눈이 밝으면 귀가 맑게 뜨인다.
나뭇가지마다 순은의 손끝으로 빛나는
눈 내린 숲길에 멈추어,
멈추어 선
겨울 아침의 행인들.
원시림이 매몰될 때 땅이 꺼지는 소리,
천 년 동안 땅에 붙여
딴딴한 석탄으로 변모하는 소리,
캄캄한 시간 바깥에 숨어있다가
발굴되어 건강한 탄부(炭夫)의 손으로
화차에 던져지는,
원시림 아아 원시림
그 아득한 세계의 운반 소리.
이층방 스토브 안에서 꽃불 일구며 타던
딴딴하고 강경한 석탄의 발언.
연통을 빠져나간 뜨거운 기운은
겨울 저녁의
무변한 세계 끝으로 불리어 가
은빛 날개의 작은 새,
작디작은 새가 되어
나뭇가지 위에 내려앉아
해 뜰 무렵에 눈을 뜬다.
눈을 뜬다.
순백의 알에서 나온 새가 그 첫 번째
눈을 뜨듯.
구두끈을 매는 시간 만큼 잠시
멈추어 선다.
행인들의 귀는 점점 맑아지고
지난밤에 들리던 소리에
생각이 미쳐
앞자리에 앉은 계장 이름도
버스 스톱도 급행 번호도
잊어버릴 때, 잊어버릴 때,
분배된 해를 순금의 씨앗처럼 주둥이 주둥이에 물고
일제히 날아오르는 새들의 날갯짓.
지난밤에 들리던 석탄의 변성 소리와
아침의 숲의 관련 속에
비로소 눈을 뜬 새들이 날아오르는
조용한 동작 가운데
행인들은 저마다 불씨를 분다.
불씨, 불씨를 분다.
행인들의 순수는 눈이 내린 숲속으로 빨려가고
숲의 순수는 행인에게로 오는
이전의 순간,
다 잊어버릴 때, 다만 기다려질 때.
아득한 세계가 운반되는
불씨, 불씨를 분다.
은빛 새들의 무수한 비상 가운데
겨울 아침으로 밝아가는 불씨를 분다.
*196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일러스트=잠산
<해설> - [문태준·시인]
겨울 서정시의 대표 격인 이 시는 평론가 이숭원 씨의 표현대로 '찬란한 시간의 금비늘'이 반짝반짝한다. "눈을 밟으면 귀가 맑게 뜨인다"라는 섬세한 감각이나, "순백의 알에서 나온 새가 그 첫 번째 눈을 뜨듯" 같은 투명한 언어 감각을 보라. 시인은 다른 행인들처럼 나뭇가지에 내린 눈을 보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시의 묘미는 자연 현상인 눈의 적설을 생명의 큰 순환으로 읽어낸 데 있다. 눈이 쌓인 원시림이 석탄이 되고, 탄부의 손에 의해 채탄이 되고, 이층방 스토브의 꽃불이 되고, 하늘로 올라가는 기운이 되고, 다시 숲으로 내려앉는 눈이 되는 그 시간의 돌고 돎-둥근 궤적을 시인은 읽어내고 있다. 이 '돌아옴'의 발견이 이 시를 빼어나게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우주의 모든 존재가 돌아온 것으로 생각한다면 이 세계는 얼마나 신비롭고, 얼마나 기특하고, 얼마나 황홀하겠는가.
오탁번(65) 시인은 1966년에 동화 당선, 1967년에 시 당선, 1969년에 소설 당선이라는 신춘문예 3관왕의 화려한 등단 이력을 갖고 있다(김은자 시인을 아내로 둔 시인 커플로도 유명한데, 김은자 시인도 신춘문예 2관왕 출신이다). 이 시는 그의 시 데뷔작이다. 너무 가난해서 고등학교 3학년 2학기를 다니지 못했는데 담임선생님이 졸업장을 우편으로 보내주었다는 일화를 나는 언젠가 들었다. 대학에서 시 창작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도 독특했다. 가끔은 밤새 쓴 시를 칠판에 적어놓고 학생들로부터 터놓고 평가를 받기도 했다. 나도 시 창작 수업을 들었는데 기말시험에 '학교에 자목련 나무가 몇 그루인가'를 묻는 문제가 있었을 정도였다.
요즘 오탁번 시인은 고향으로 내려가 살고 있다. 그의 고향은 충북 제천시 백운면으로 천둥산과 박달재 사이에 있는 조그만 마을. 폐교된 모교를 사들여 '원서헌'이라는 문학관을 차렸다. 그곳에서 그는 시골 아이들에게 시를 읽히는 훈장님이다. 그곳에서 그는 우리가 잊어버린 토박이 우리말을 되살려내는 시를 쓰고 있다. "산속에 큰 항아리를 하나 묻고 그 속에 들어앉아 글을 쓰고 싶다"라는 그는 "아기를 낳는 산모의 지독한 아픔과 숨찬 기쁨이 바로 시"라고 말하는 순은의 시인이다.
<출처> 2008. 2. 5 / 조선일보
'문학관련 > - 읽고 싶은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정 묘지 / 조정권 (0) | 2020.02.08 |
---|---|
광야(曠野) / 이육사 (0) | 2020.02.08 |
성탄제 / 김종길 (0) | 2020.02.08 |
사라진 손바닥 / 나희덕 (0) | 2020.02.08 |
혼자 가는 먼 집 / 허수경 (0) | 2020.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