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맛집 정보/- 맛집

군산으로 떠나는 주전부리 ‘먹자여행’

by 혜강(惠江) 2013. 12. 17.

군산 맛기행

군산으로 떠나는 주전부리 ‘먹자여행’


 

글, 사진 : 이송이(여행작가)

 

 

 

  군산은 근대 역사 도시다. 구도심 곳곳에 일제강점기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적산가옥도 많고

구조선은행, 구군산세관, 근대역사박물관 같은 근대 문화유산도 즐비하다. 미곡을 수탈해 가던 옛 철길도 만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여행은 군산의 근대 문화유산을 둘러보는 여행이 아니다.

구도심에 펼쳐진 근대의 흔적들을 덤으로, 갖가지 먹을거리를 찾아다니는 일명 ‘먹자여행’이다.

군산에서는 길거리에 흔한 웬만한 식당도 40년 역사를 쉽게 넘긴다. 해방 후부터 쭉 이어지고 있는 식당이나 주전부리도 심심찮다.

역사는 거리나 건물, 철길에도 흐르지만 우리네 음식에도 생생하게 흐르고 있다.

 

 

 

흰찰쌀보리로 빵을 만드는 영국빵집

               [위/아래]군산의 명물 이성당 빵집 / 흰찰쌀보리로 빵을 만드는 영국빵집



 

군산 하면 바로 떠오르는 이성당

 

 

  2~3년 전부터 전국 곳곳에서 오랫동안 시간과 맛을 쌓아온 옛날 빵집들이 호황이다. 그런 이유로 요즘엔 군산 하면 이성당부터 떠오른다. 이성당 단팥빵은 군산 가면 꼭 한번 먹어보고 싶은 간식이 됐고, 숱하게 매스컴을 탄 덕분에 이제 군산에 가도 쉽게 맛볼 수 없는 명물이 됐다.

 

  해방 후 역사만 67년에 이르는 이성당에서 가장 유명한 단팥빵과 야채빵이 구워져 나오는 것은 하루 몇 차례. 그날그날 정해진 시간에 빵이 나오는데, 기다리고 있던 손님들이 그 시간을 보상받고자 한 번에 몇십 개씩 사가는 통에 단팥빵 쟁반은 빵이 나오기 무섭게 바닥을 드러낸다. 빵이 채 식기도 전에 빵을 차지하고자 하는 손님들의 빠른 손놀림이 먼저 식을 판이다. 그래서 단팥빵이나 야채빵은 1인당 사갈 수 있는 빵의 갯수를 제한하기도 한다.

 

 

 

          

이성당의 명품 야채빵

 

                                          

이성당 빵 나오는 시간은 하루 5~6번

                 

 [위/아래]이성당의 명품 야채빵 / 이성당 빵 나오는 시간은 하루 5~6번

 

 

  그렇게 우여곡절 끝에 맛본 따뜻한 단팥빵 하나는 기다림에 지친 마음을 단숨에 위로한다. 담백하고 달달한 팥소가 가득 든 단팥빵은 몽실몽실 부드럽고, 어릴 적 시장에서 엄마가 사주시던 아삭아삭 야채빵도 옛날 맛 그대로다. 애써 찾아가고 기다린 보람이 있다.

 

  사실 빵이 더 맛있게 느껴지는 건 빵이 나오기까지의 기다림과 설렘 때문이다. 아무때고 단번에 살 수 없다는 아쉬움, 누구나 사먹고 싶어 하는 빵을 차지했다는 기쁨, 먼 데서부터 부러 찾아갈 때까지 빵 하나에 담긴 기대 같은 것들이 어우러져 실제보다 더 맛있게 느껴질 법도 하다.


 

 

 

                                    

푸근한 인상의 이성당 주인

 

 

이성당의 카페 메뉴

                  

 [위/아래]푸근한 인상의 이성당 주인 / 이성당의 카페 메뉴

 

 

  이성당 빵의 70% 정도는 쌀가루를 섞어 만들고 어떤 것은 100% 쌀가루로 만들기도 한다. 그중 블루빵이 100% 쌀가루 빵이다. 쫄깃하고 소화도 잘 되는 쌀가루로 만든 빵은 식사 대용으로도 손색없다. 이성당에서는 오전 7시 30분부터 10시까지 계란프라이와 스프, 커피와 샌드위치가 어우러진 모닝세트를 판매한다.

 

  서양식 아침식사를 동경하던 옛날부터 지금까지도 인기다. 전국의 다른 오래된 빵집들처럼 이성당에서도 파스타, 피자 등 간단한 식사를 할 수 있다. 영업시간은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10시까지(첫째, 셋째 일요일 휴무).

 

 

<영국빵집> 

 

 

 

                          

영국빵집 전경

 

                          

흰찰쌀보리빵으로 인정받은 영국빵집

                        

[위/아래]영국빵집 전경 / 흰찰쌀보리빵으로 인정받은 영국빵집

 

 

  군산에는 이성당 말고도 또 다른 의미의 명물 빵집이 있다. 바로 영국빵집이다. 1980년대 초에 문을 열어 동네 빵집으로 꾸준히 이름을 알리다가 3년 전부터 군산에서 생산되는 ‘흰찰쌀보리’라는 보릿가루를 반죽에 섞으면서 유명세를 타고 있다. 흰찰쌀보리는 희고 찰기가 있는 보리 품종으로 군산에서 대량 생산된다.

 

  보리는 원래 농약을 칠 필요가 없는 곡물이어서 안심이 되는 데다 찰쌀보리가 찰기까지 더해 쫀득한 빵이 만들어진다. 자칫 퍽퍽할 수 있는 소보로빵도 촉촉하고 쫀득하다. 보릿가루를 50% 정도 섞어 만드는 단팥빵과 부추빵을 비롯해 100% 보리 반죽으로 만드는 보리만쥬가 영국빵집의 대표 빵이다. 영업시간은 오전 7시부터 자정까지(연중무휴).

 

 

 

                         

100% 흰찰쌀보리로 만든 보리만쥬

 

                         

직접 빵을 만드는 영국빵집 주인

           

[위/아래]100% 흰찰쌀보리로 만든 보리만쥬 / 직접 빵을 만드는 영국빵집 주인

 

항구의 도시, 짬뽕의 도시

 

 

  군산의 구도심을 기웃거리다 보면 흔히 보게 되는 것이 중국집이다. 짬뽕으로 이름난 중국집만 여럿이다. 복성루, 쌍용반점은 외지 사람들에게 더 유명한 짬뽕집이고 영화원, 서원반점, 빈해원 등은 군산시민들이 추천하는 맛집이다. 복성루는 돼지고기 고명을 올린 짬뽕으로 유명하고, 쌍용반점은 해산물 그득한 얼큰한 짬뽕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   그중 고풍스러운 옛날 집 구경까지 덤으로 할 수 있는 맛집은 빈해원이다. 주문한 음식은 물짜장과 짬뽕. 춘장이 들어가지 않고 잡채밥처럼 담백하면서도 찰기가 있는 물짜장은 버섯과 각종 야채가 가득하다. 삼선짬뽕은 얼큰하고 푸짐하다. 주인이 추천하는 메뉴는 탕수육. 피가 얇고 바삭하다. 1인당 1만 5천 원이면 정식도 먹을 수 있다.

 

 

 

                                       

빈해원 전경

 

      

빈해원의 물짜장과 삼선짬뽕

                       

  [왼쪽/오른쪽]빈해원 전경 / 빈해원의 물짜장과 삼선짬뽕

 

 

  화교가 운영하는 빈해원도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1951년부터 운영했으니 벌써 환갑을 넘었다. 중국식 인테리어를 그대로 보여주는 내부에 들어서면 마치 중국의 어느 식당, 그것도 근대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이 든다.

 

  덕분에 그동안 영화 촬영 장소로 종종 이용됐다. 눈을 동그랗게 뜰 정도로 깜짝 놀랄 맛은 아니지만 전통적인 중국 스타일의 식당에서 맛보는 짬뽕 한 그릇이 적잖은 감흥을 불러일으킨다. 영업시간은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9시까지(명절 휴무).

 

 

 

                                    

중국식 인테리어를 보여주는 빈해원의 고풍스러운 내부

 

       

빈해원의 다채로운 메뉴

<위/아래>중국식 인테리어를 보여주는 빈해원의 고풍스러운 내부 / 빈해원의 다채로운 메뉴



 

번호표 뽑아 줄 서서 사먹는 호떡집 <중동호떡>

 

 

  군산에는 70년 된 호떡집도 있다. 중동에 있는 중동호떡이다. 이 호떡 하나를 맛보자고 군산에 오는 여행객도 있다니, 군산에 온 이상 맛보지 않고 갈 순 없겠다. 내항에서 경암동 철길마을로 걸어가는 길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갈 수 있다.   흔히 포장마차에서 파는 호떡을 상상하고 찾아간 중동호떡집은 멀끔한 가게였다. 원래는 바로 앞 허름한 집에서 시작했는데 호떡으로 제법 돈을 벌어 번듯한 건물까지 산 모양이다.

 

 호떡집에 먹고 갈 수 있는 테이블이 3~4개 있고, 깨끗한 화장실에 무료 커피자판기와 정수기까지 갖췄다. 더 놀라운 것은 은행에서만 보던 번호표 기계다. 평일에도 번호표를 뽑고 한참을 기다려야 주문할 수 있는 순서가 돌아온다. 호떡집에 어울리지 않지만 그래도 마냥 서는 줄이 아니라 위안이 되는 부분이다.

 

 

 

                           

깔끔한 새 집으로 이사한 중동호떡집

 

                           

중동호떡 가격표

                       

[위/아래]깔끔한 새 집으로 이사한 중동호떡집 / 중동호떡 가격표


 

 

  중동호떡은 중국식 호떡으로 맛이 담백하다. 보릿가루를 섞어 반죽을 하기 때문에 텁텁하지 않고 쫄깃하다. 안에 든 시럽도 흘러넘칠 정도로 흥건하다. 시럽이 진한 갈색을 띠는데 흑설탕과 각종 곡물가루를 섞어 체에 친 것을 사용한다.   테이블에서 먹고 가는 사람들에게는 집게 2개씩을 준다.

 

 이 집게로 호떡을 찢어서 윗면의 피를 벗겨낸 다음 안에 든 시럽에 찍어서 먼저 먹고 아랫부분의 피는 남은 시럽과 함께 돌돌 말아 먹는다. 이렇게 먹으면 호떡 안에 든 시럽을 흘릴 일이 없고 깔끔하게 먹을 수 있는 데다 호떡의 맛을 좀더 명확하게 느낄 수 있다. 중동호떡을 한번 맛본 사람이라면 또 찾을 만하다. 하지만 포장해 가면 맛이 훨씬 덜하다는 것도 명심해야 할 부분이다. 영업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 30분까지.


 

 

 

                              

먹는 방법이 이색적인 중동호떡

 

                              

중동호떡의 오픈 주방

                          

[위/아래]먹는 방법이 이색적인 중동호떡/ 중동호떡의 오픈 주방

 

떡볶이, 만두, 어묵을 한데 넣어 끓인 잡탕

 

 

  군산에 와서야 알게 된 명물 중 하나는 바로 잡탕이다. 잡탕은 군산의 여고생들이 즐겨 먹는 간식이자 청년기에 잡탕을 즐겼던 어른들도 좋아하는 분식이다. 잡탕은 떡볶이와 만두, 어묵, 달걀, 쫄면, 라면 등을 한데 넣고 얼큰하게 끓여낸 후 깻잎을 고명으로 올린 탕이다. 커다란 뚝배기에 끓여내는 것이 특징인데, 덕분에 뚝배기의 깊은 맛을 분식에서 느낄 수 있다.


  지난 100여 년 동안 다양한 문화와 사람들을 흡수했던 항구도시 군산의 역사를 반영하듯 모두 한데 넣고 끓인 잡탕의 맛은 걸쭉하면서도 진하다. 어느 한 재료가 튀기보다는 다양한 분식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내는 자연스러운 그 맛이 군산을 닮았다. 얼핏 별것 아닌 분식 같아 보여도 군산에서 잡탕의 역사도 40년을 넘겼다. 그래도 다른 간식들에 비해서는 아직 어린 편. 지금도 변함없이 학생들의 허기진 배를 채워주는 싸고 푸짐한 잡탕은 명산동의 두줄스넥이 가장 유명하고 인근에 몇몇 잡탕집이 더 있다.

 

 

 

                                          

온갖 분식이 모두 섞여 있는 잡탕

 

         

학생들이 즐겨 찾는 두줄스넥 내부

           

[위/아래]온갖 분식이 모두 섞여 있는 잡탕 / 학생들이 즐겨 찾는 두줄스넥 내부

 

여행정보


빈해원 : 군산시 동령길 57, 063-445-2429이성당 : 군산시 중앙로 177, 063-445-2772
영국빵집 : 군산시 대학로 144-1, 063-466-3477
중동호떡 : 군산시 서래로 52, 063-445-0849
두줄스넥 : 군산시 거석길 12, 063-442-4824
군산관광안내소 : 063-453-4986

 

1.찾아가는길

* 자가운전

서해안고속도로 군산IC → 십자들로


* 대중교통

용산역에서 군산역까지 가는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하루 16회 운행, 약 3시간 30분 소요.
센트럴시티터미널과 동서울터미널, 남부터미널에서 군산까지 가는 버스가 자주 있다. 터미널에 따라 2시간 30분~3시간 30분 소요.

2.주변 음식점

한주옥 : 게장백반 / 군산시 구영2길 31 / 063-443-3812
한일옥 : 무국 / 군산시 구영3길 45-1 / 063-446-5491
서원반점 : 중식 / 군산시 백릉안1길 12 / 063-445-7718
쌍용반점 : 중식 / 군산시 내항2길 121 / 063-443-1259

 

3.숙소

고우당 : 군산시 구영5길 20 / 063-443-1042
홍인장모텔 : 군산시 죽성로 33-5 / 063-442-8941
베스트웨스턴호텔 : 군산시 오식도동 814-5 / 063-469-1234

 

 

<출처> 한국관광공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