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수상 및 후보시

2017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작 : 두꺼운 부재(不在) / 추프랑카

by 혜강(惠江) 2017. 2. 3.


2017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작


두꺼운 부재不在



추프랑카

                  

  

안 오던 비가 뜰층계에도 온다 그녀가 마늘을 깐다 여섯 쪽 마늘에 가랑비

 

육손이 그녀가 손가락 다섯 개에 오리발가락 하나를 까면 다섯 쪽 마늘은

쓰리고, 오그라져 붙은 마늘 한 쪽에 맺히는 빗방울, 오리발가락 다섯 개

에 손가락 하나를 까면 바람비는 뜰층계에 양서류처럼 뛰어내리고, 타일

과 타일 사이 당신 낯빛 닮은 바랜 시멘트, 그녀가 한사코 층계에 앉아 발

끝을 오므리고 마늘을 깐다


매운 하늘을 휘젓는 비의 꼬리


마늘을 깐다 한 줌의 깊이에 씨를 묻고, 알뿌리 키우던 마늘밭에서 흙 탈탈

털어낸, 당신 없는 뜰층계에서 통증의 꼬리 하나씩 눈을 뜨며 낱낱이 톨 쪼

개고 나와야할 마늘쪽들, 층계 갈라진 틈 틈으로 촘촘하게 내리는 비, 집어

넣는 비, 비의 꼬리도 꿰맬 듯 웅크려 앉아 그녀가 마늘을 깐다. 묵은 마늘

껍질처럼 벗겨져, 하얗게, 날아가 버리는 맨종아리의 육남매 비안에 스며

있는 그늘의 표정으로 여섯 해, 꿈속 수면에 번지던 당신 뜰층계에 불쑥 붐

는 당신의 이름, 아멘 아멘 아멘 마늘은 여섯 쪽이고 육손이 그녀 뒤뚱거

리며, 오리발가락 여섯 개에 손가락 여섯 개를 깐다


세 시에 한번 멎었다가 생각난 듯 쿵, 쿵 아멘을 들이받으며 아직 다 닳지

않은 비가, 다시 여러 가닥으로 쪼개진다



추프랑카

1966년 경북 달성 출생.

국문학과`행정학 전공.



<심사평>  ----------------------


모호한 화법이지만 '여섯' 리듬의 변주 뛰어나


책으로 묶인 예심 통과 작을 읽으며 시의 균질화 현상에 잠시 당황했다. 하나의 예로, 세계를 ‘책’으로 펼치고, 일상을 ‘열람’하며, 물의 ‘문장’으로 바꾸는 환유(換喩)들은 범상한 재능으로 상투형에 가까운 것이다.

한 교재로 시를 배운 게 아닐까 의심이 들 정도다. ‘시적인 것’에 갇히면 ‘날것의 감각’과 낡은 작법(作法)을 깨고 부수는 신인의 예기(銳氣)를 드러내기 힘들다. 스무 명의 본심 대상작들 중에서 1차로 고른 것은 송현숙, 이도형, 김재희, 박윤우, 김종숙, 김서림, 추프랑카 등 여섯 분의 시다. 이 중에서 송현숙의 '박스를 접다', 이도형의 '구름을 통과한 검은 새의 벼락', 김종숙의 '파'를 눈여겨보았으나 상상력의 발랄함과 시적 갱신의 정도가 모자라다고 판단했다. 최종적으로 김서림의 '사해문서 외전(外傳)'과 추프랑카의 '두꺼운 부재(不在)'가 당선을 겨루었다. 김서림은 시를 빚는 조형력과 언어 구사가 좋았다. “물속에 파종된 햇빛” “달의 뒤꿈치에서 하얀 밤이 돋는다” “슬픈 거미들은 죽음의 전언을 행으로 옮긴다” 같이 의미를 감각화 하는 시구들은 반짝이지만, 낯익은 발상과 기성(旣成)의 영향이 어른거리는 것은 흠이다. ‘날것의 감각’이 미흡하다는 방증이다.

추프랑카의 '두꺼운 부재(不在)'는 모호하고 화법(話法)이 낯설지만, 우리는 그 낯섦을 ‘날것의 감각’으로 이해했다. 여섯 쪽 마늘, 육손이, 여섯 해, 육 남매 등에서 ‘여섯’은 잉여고, 덧나고 아픈 상처다. 시인은 상처를 화석화하고 정적인 것으로 소모하지 않는다. 이 특이점은 까고, 벗기고, 날아가고, 스미고, 붐비고, 들이받고, 쪼개지고… 등등 다양한 움직씨 활용으로 나타난다. ‘여섯’은 여러 가닥으로 쪼개지고 끝내 셀 수 없는 빗줄기로 전화(轉化)한다. ‘여섯’을 리듬에 실어 여러 겹의 의미로 변주하는 솜씨가 대단하다. 두 심사자는 추프랑카의 '두꺼운 부재(不在)'의 낯섦이 다른 응모자들이 보여주지 못한 시적 새로움의 징후라고 판단하면서 기쁘게 당선작에 올렸다.

- 장석주(시인), 장옥관(시인`계명대 교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