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수상 및 후보시

2012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시조 - 연암, 강 건너 길을 묻다(김종두)

by 혜강(惠江) 2012. 1. 3.

 

               2012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시조

 

       연암, 강 건너 길을 묻다

 

                                                  김종두

 

 

            차마 떠나지 못하는 빈 배 돌려보내고
            낯선 시간 마주보며 갓끈을 고치는 연암,
            은어 떼 고운 등빛에 야윈 땅을 맡긴다.
            근심이 불을 켜는 낯선 세상 왼 무르팍,
            벌레처럼 달라붙은 때아닌 눈발 앞에
            싣고 온 꿈을 물리고 놓친 길을 묻는다.
            내일로 가는 길은 갈수록 더 캄캄해
            속으로 끓는 불길 바람 불러 잠재우면
            산과 들, 열하熱河를 향해 낮게낮게
            엎드린다.


-----------------------------------------------------

 

[서울신문 2012 신춘문예] 시조 심사평

 

세련된 감각적 재단 돋보여

서사의  능란함과 새로운 화법을 찾으려는 탐색이 두드러진 해였다. 무게 있는 제재를 골라 그 본질에 낱낱이 접근하는 심도와 짜임새 좋은 남다른 전개를 보임으로써 사색과 습작의 치열함을 짐작하게 만든다. 다만 안전하게 당선작에 오르려 번뜩이는 시도 대신 부드러운 변주만을 구사한 작품들도 있어 그 솜씨의 잠재력에 아쉬움을 느낀다.

 

올해 시조 부문은 양적으로 늘어난 응모 편수만큼이나 질적인 진화 또한 돋보여 신진들의 필력에 대한 설렘을 갖게 한다. 고전적 원형과 현대적 미학을 동시에 이루어야 하는 시조에서 이처럼 적극적인 관심은 장르의 신선한 동력이 될 것이다.

 

당선작은 김종두의 ‘연암, 강 건너 길을 묻다’이다. 시조의 본질을 지키면서 감각의 세련된 재단으로 수려한 완성도를 확보했다. 주제로 정한 시점이 과거이나 박제된 이야기로 흐르지 않고 동시대와 교감할 수 있도록 생기를 불어넣은 형상화가 뛰어났다. 기승전결에서도 매끈한 흐름으로 긴 호흡의 이야기를 탄탄하게 직조하여 주시할 만한 정점에 이르렀다.

 

최종심에 오른 작품들은 장윤정의 ‘물의 사원 짓다’, 박성규의 ‘별을 쓸다’, 강송화의 ‘교각이 된 금강송’, 방승길의 ‘서해 낙조’이다. 저마다의 솔깃함으로 매료시키는 수작들이었으나 전개에서 표출된 작법의 출중함에 비해 흐릿해진 종장이 안타깝다. 또한 전반적으로 서술에 몰입하여 서정이 다소 희석된 듯하다.

 

신춘문예를 위한 어떤 공식은 없다. 정답을 찾듯이 쓰기보다 압도적인 작법을 스스로 만들어 낼 퍼덕이는 창의성을 기대해 본다

 

 

----------------------------------------------------------------

 

<당선소감>

 

 더 깊고 넓게 세상 품고 싶어

 

▲ 김종두

라다크 민족의 속담에 ‘말을 백 마리나 가진 사람도 채찍 하나가 없어 남의 신세를 져야 할 때가 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는 그물망처럼 얽힌 이 우주에서 끊임없이 타자와 에너지를 주고받으며 살아갑니다.

 

한 편의 작품이 탄생되는 과정도 이와 같으리라 봅니다. 달려왔던 길을 가만히 되돌아보니 거기에는 수많은 분들이 아로새겨 놓은 격려와 채찍의 흔적이 보이고 산과 들, 물과 바람, 햇살과 달빛의 호흡도 잡힐 듯합니다.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다 보니 도리어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아이들은 저에게 부단히 새로운 가르침을 요구해 왔고, 저는 이들과 어울리기 위해 책을 읽고 경험의 폭을 넓혀 나갔습니다.

 

특히 독서는 자신을 성찰하는 유용한 도구이자 드넓은 세상으로 나아가는 통로가 되었습니다. 책을 매개로 다양한 인물들과 대화하고 세상과 소통한 경험이 제 시조 작품의 모티프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시조를 읽어 오면서도 시조의 맛을 몰랐는데, 시조를 짓기 시작하면서 시조가 지닌 특유의 매력을 알게 되었습니다. 넘실대는 모국어 가락 속에 다채로운 삶을 담아내는 시조, 이 시조는 한 편의 드라마처럼 다가와 제 삶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어 버렸습니다.

 

아이들에게 시조의 멋과 가치를 심어 주려고 애썼고 또 틈틈이 시간을 내어 시조를 써 왔습니다. 하지만 사색의 깊이가 얕고 언어를 부리는 힘이 모자라 번번이 무릎을 꿇어야 했습니다.

 

이 번민의 시간을 헤아려 주시고 엉성한 넋두리를 따스하게 쓰다듬어 주신 심사위원님께 감사드립니다. 이제 시조라는 신대륙을 향해 항해하는 출발선에 서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는 앞만 보고 달려왔는데, 이제부터는 사방을 살피면서 세상을 더욱 깊고 넓게 품도록 하겠습니다. 힘에 부치고 흔들릴 때마다 지금의 이 마음, 이 자세를 되새기면서 자신을 가다듬어 나갈 것입니다.

 

시조는 글로벌 시대를 빛낼 우리 문화의 대표적 브랜드가 될 것으로 믿습니다. 따스하면서도 서늘한 시조를 지어 국격(國格)을 드높이고 세상을 풍요롭게 하는 데 한 알의 밀알이 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