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단문(수필)

(수필) 보름달 / 김동리

by 혜강(惠江) 2008. 11. 24.

<수필>

 

보름달

 

  - 김동리(金東里)

 

  

  새벽달보다는 초승달이 나에게는 한결 친할 수 있다. 개나리, 복숭아, 살구꽃, 벚꽃들이 어우러질 무렵의 초승달이나 으스름달이란, 그 연연하고 맑은 봄밤의 혼령(魂靈) 같은 것이라고나 할까. 소식(蘇軾)의 ‘봄 저녁 한 시각은 천 냥에 값하나니, 꽃에는 맑은 향기, 달에는 그늘(春宵一刻値千金 花有淸香月有陰)’이라고 한 시구(詩句) 그대로다. 어느 것이 달빛인지 어느 것이 꽃빛인지 분간할 수도 없이 서로 어리고 서려 있는 봄밤의 정취란 참으로 흘러가는 생명의 한스러움을 느끼게 할 뿐이다.   그러나 그렇단들 초승달로 보름달을 겨룰 수 있으랴. 그것은 안 되리라. 마침 어우러져 피어 있는 개나리, 복숭아, 벚꽃들이 아니라면, 그 연한 빛깔과 맑은 향기가 아니라면, 그 보드라운 숨결 같은 미풍이 아니라면, 초승달 혼자서야 무슨 그리 위력을 나타낼 수 있으랴. 그렇다면 이미 여건(與件) 여하에 따라 좌우되는 초승달이 아닌가.

  보름달은 이와 달라 벚꽃, 살구꽃이 어우러진 봄밤이나, 녹음과 물로 덮인 여름밤이나, 만산에 수를 놓은 가을밤이나, 천지가 눈에 싸인 겨울밤이나, 그 어느 때고 그 어디서고  거의 여건을 타지 않는다. 아무것도 따로 마련된 것이 없어도 된다. 산이면 산, 들이면 들, 물이면 물, 수풀이면 수풀, 무엇이든 있는 그대로 족하다. 산도 물도 수풀도 없는, 아무것도 없는 사막이라도 좋다. 머리 위에 보름달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고 세상은 충분히 아름답고 황홀하고 슬프고 유감(有感)한 것이다.

 

  보름달은 온밤 있어 또한 좋다. 초승달은 저녁에만, 그믐달은 새벽에만 잠깐씩 비치다 말지만, 보름달은 저녁부터 아침까지 우리로 하여금 온밤을 누릴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보름달은 온밤을 꽉 차게 지켜줄 뿐 아니라, 제 자신 한쪽 귀도 떨어지지 않고, 한쪽 모서리도 이울지 않은 꽉 찬 얼굴인 것이다. 사람에 있어서도 그렇지 않을까. 보름달같이 꽉 차고 온전히 둥근 눈동자의 소유자를 나는 좋아한다. 보름달같이 맑고 둥근 눈동자가 눈 한가운데 그득하게 자리 잡고 있는 사람이 나는 좋다. 시선이 옆으로 비껴가지 않고, 아무런 사기(邪氣)도 없이 정면을 지그시 바라보는 사람을 나는 좋아한다.

 

 

<이해와 감상>

 

  보름달 아래 서서 그 달의 고전적인 완전미와 조화적인 충족감을 예찬하고 있는 글이다. 대작가다운 번득이는 비유가 글의 곳곳에 보인다. 지은이는 보름달을 줄곧 새벽달과 초승달에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새벽달이 차갑고 날카롭다면 그 반대쪽의 보름달은 따스하고 부드럽다.

 

  인간을 대할 때도 작가는 보름달 유형을 더 좋아하며 특히 보름달을 사람의 눈동자에 비유하는 부분은 일품이다. 사기도 편견도 없이 정면을 바라보는 눈동자에 대한 찬사는 곧 보름달에 대한 찬가와 맞닿아있다. 보름달은 완벽을 표상한다. 꽉 찬 달은 곧 이룰 것이니 덜찬 것이 더 귀하다고 주장하는 사람에게 작가는 그건 관념의 유희일 뿐이라고 일축한다.

 

  보름달이 너무 싱겁고 평범하다고 지적하는 사람에게도 동의하지 않는다. 짧은 글이지만 김동리의 대인다운 면모가 역력히 드러나 있는 수필이다. 기발하고 예리한 것보다 시간, 공간을 초월한 완전성을 지향하고 그 깊은 경지에 이르려는 작가의 예술관이 보여지는 글이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