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관련/- 문학기행(국내)

하동 이병주문학관, 지리산이 품고 기른 작가

by 혜강(惠江) 2022. 3. 10.

 

하동 이병주문학관

 

지리산이 품고 기른 작가, 대하소설 『지리산』의 이병주

 

 

글·사진 남상학

 

 

“역사는 산맥을 기록하고 나의 문학은 골짜기를 기록한다” (이병주「어록」에서)

 

  섬진강 물줄기를 따라 남으로 내달렸다. 경남 하동에 세워진 이병주문학관을 가기 위해서였다. 첩첩이 이어진 산줄기와 올망졸망한 산세는 정겨운 남도의 이미지를 닮아 있었다.

 

  섬진강을 지나고 전라도의 끝자락을 지나 하동으로 들어선다. 멀리 바라보이는 지리산 줄기는 늘 그렇듯 넉넉한 품으로 다가왔다.

 

  섬진강 동쪽의 하동은 언제 와도 시정(詩情)이 넘치는 고장이다. 섬진강을 아우를 뿐만 아니라 비옥한 이미지를 담고 있다. 그래서인지 하동 가는 길은 늘 흥겹고 싱그럽기 그지없다.

 

 

 

  더구나 화개장으로 이름난 하동은 ‘문학수도 하동’을 내세우며 문향(文鄕)으로 변모 중이다. 하동의 문학적 면모는 소설가 이병주와 박경리로 대표된다. 이병주의 고향 하동 북천면에 이병주문학관이,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의 배경이 된 평사리에는 박경리문학관 평사리문학관 ‘최참판댁’이 들어서 있다.

 

  오늘 찾아가는 이병주문학관은 한국의 근ㆍ현대사를 배경으로 80여 권의 방대한 작품을 남긴 작가, 한국 문단의 거목 나림(那林) 이병주(李炳注, 1921~1992)의 창작 저작물과 유품을 전시하기 위하여 2008년 개관했다.

 

 

 

 

펜촉, 만년필 조형물이 인상적인 이병주문학관

 

  이병주 문학관은 그가 다녔던 북천초등학교 인근에 세워졌다. 전체적으로 통나무집 같은, 거대하고 푸른 지붕이 인상적이다. 건물 뒤편은 높진 않지만, 이명산에서 뻗어 나온 듬직한 산등성이가 둘러싸고 있다. 문학관 마당 조형물 곳곳에 이병주가 문학 속에 남긴 어록이 눈에 띈다.

 

  "나는 이 나라에서 문학이 가능하자면, 역사의 그물로써 파악하지 못한 민족의 슬픔을 의미로 모색하는 방향으로 슬퍼해 보는 데 있다고 믿는 사람이다."(소설 「지리산」 중에서)

 

 

 

  2,992㎡의 대지에 504.24㎡의 규모 2층으로 되어있는 이병주문학관에는 전시실과 강당 및 창작실을 갖췄다. 한국의 근ㆍ현대사를 배경으로 한 80여 권의 방대한 작품을 남긴 작가의 문학 정신을 느낄 수 있는 문학 현장이다.

 

  문학관 앞에는 하늘을 찌를 듯 뾰족하게 솟은 펜촉 조형물이 서 있다. 좌우로 나란히 선 두 개의 펜촉은 마치 이곳의 출입을 관장하고 통제하는 수문장과 같다. 글을 쓰는 이들뿐 아니라 이곳을 찾는 이들에게 던지는 무언의 메시지로 보인다.

 

  문학관에 들어서면 이번에는 거대한 만년필 조형물이 맞이한다. 천정에서부터 종이를 뚫고 내려온 만년필은 작가의 정신을 드러내는 그것으로 보인다. 바깥의 펜촉과 내부의 만년필 조형물은 모두 순교할 각오로 집필을 이어왔던 작가의 치열함을 보여준다. 전시관 가운데 이병주 선생의 대표작인 지리산의 한 장면을 모형으로 만든 디오라마(Diorama)가 관람객들의 눈길을 끈다.

 

 

 

  

  문학관 내부는 원형 전시실로 이루어져 있다. 연대기 순서로 이병주 선생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도록 관련 유품과 작품 등이 소개 글과 함께 전시돼 있고, 생전의 이병주 선생이 한복을 입고 집필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그는 지리산이 품고 기른 작가다. 1948년의 여수순천 10·19사건, 6·25전쟁이 일어났을 때 지리산 남쪽에 위치한 하동은 많은 피해를 입기도 했다. 그래서 이병주는 그 실상을 가까이서 직접 체득했다.

 

  그의 역작 『지리산』은 1972년 9월부터 1978년 8월까지, 6년에 걸쳐 『세대』에 연재된 작품이다. 1938년부터 1956년까지 일제 강점기―해방―분단―6·25를 거치는 민족사의 굴곡을 배경으로 빨치산의 활동과 공산당의 잔학상을 서사화함으로써 근대의 격동기에 민족사적 모순과 비극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냉전 시대의 자유인, 그 삶과 문학

 

  작가 이병주의 삶은 그리 순탄하지 못했다. 경남 하동군 북천면 이명산 자락에서 태어났다. 필명인 나림(那林)은 ‘어떤 숲’ 또는 ‘큰 숲’이라는 뜻으로, 질곡의 근현대사의 이면을 파헤쳐온 작가의 정체성을 명징하게 상징한다.

 

  진주공립농업학교(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에 입학하였으나 퇴학당하고, 일본에 건너가 1943년 메이지대학 문예과를 졸업한 뒤 와세다대학 불문과를 수학했다.

 

  일본 유학 중 태평양 전쟁에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중국 전선에 투입되었고, 광복 후에 귀국하여 경남대학교의 전신인 해인대학 교수 재직 중이던 1953년에 『부산일보』에 장편 「내일 없는 그날」을 연재하였고, 1955년부터 『국제신보』 편집국장 및 주필로 왕성한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부산 지역의 언론계에 명성을 떨쳤다.

 

 

 

  그러나 정론 직필의 태도로 글을 쓰던 4·19 혁명 시기, 『국제신보』에 “나에게는 조국이 없다. 오직 산하만이 있을 뿐이다”라는 논설을 발표한 것이 반공법에 걸려 10년형을 선고받고 2년 7개월 복역했다.

 

  그는 옥중에서 소설을 통하여 역사를 기록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출옥한 이후 소설 쓰기에 전념하여 1965년 마흔넷에 『세대』에 「소설 안렉산드리아」를 발표하며 늦깎이로 데뷔한다. 이병주 문학의 원형이라 평가받는 이 소설은 필화 사건으로 겪은 옥살이의 부당성을 고발함과 아울러 인간과 역사, 전쟁과 이데올로기 등을 날카로운 시각으로 그려낸 것이다.

 

 

 

  이후 1985년에는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지리산』을 내놓는다. 이 작품은 지리산 빨치산의 활동과 공산당의 잔학상을 서사화한 것으로, 일제 식민지와 해방 그리고 분단과 전쟁으로 이어지는 민족사적 모순과 비극을 그 나름 특유의 예리한 문체로 생생하게 담아냄으로써 명성을 얻었다,

 

  이외에도 일제 말 지식인들의 생존 모습과 내면을 파헤친 『관부연락선』을 비롯하여 해방공간부터 자유당, 4·19에 이르는 현대사를 조명한 『산하』, 『그해 5월』 등 현대사를 소재로 한 역사 소설을 통하여 권위주의 정부 아래에서 금기시된 이데올로기 문제를 다뤄 파란을 일으켰다.

 

 

 

  그는 말한다. “어떤 주의를 가지는 것도 좋고, 어떤 사상을 가지는 것도 좋다. 그러나 그 주의 그 사상이 남을 강요하고 남의 행복을 짓밟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 자기 자신을 보다 인간답게 하는 힘이 되는 것이라야 한다.”(이병주, 「삐에로와 국화」에서)

 

  역사의 진실을 복원하는 것이 작가 의식의 산물이라 여기고 투철하게 살아온 작가 이병주는 1992년 4월 3일 미국에서 역사 소설 『제5공화국』을 집필한 뒤, 71세를 일기로 파란만장한 삶을 마감했다.

 

 

 

  그는 “나의 문학은 골짜기를 기록한다”라며 80여 편의 많은 작품을 남겼다. 또, "기록이 문학으로서 가능하자면, 시심(詩心) 또는 시정(詩情)이 기록의 밑바닥에 지하수처럼 스며 있어야 한다는 것이 나의 문학 이론이었다."(소설 「겨울밤」 중에서)

 

  현재와 미래는 기록(저장 데이터)을 활용한 기술로 승패가 결정이 난다. 기록이 기억보다 한 수 위이고, 무딘 연필이 총명한 머리보다 낫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었다.

 

  냉전시대 질곡의 근현대사, 그 이면을 파헤쳐온 그를 ‘기록자로서의 소설가’, ‘증언자로서의 소설가’라고 평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문학관에 하늘을 찌를 듯 뾰족하게 솟은 펜촉 조형물과 현관의 만년필 조형물은 이런 그의 정신을 상징한 것이다.

 

  2006년 한길사에서 그의 소설 세계를 갈무리하여 『이병주 전집』 30권을 발행한 바 있다. 작품으로는 『마술사』, 『관부 연락선』, 『망명의 늪』, 『산하』, 『낙엽』, 『배신의 강』, 『지리산』, 『남로당』, 『이병주 전집』 등이 있다.

 

 

 

  장편 『낙엽』으로 한국 문학 작가상(1977), 중편 「망명의 늪」으로 한국 창작 문학상, 장편 『비창』으로 한국 펜 문학상(1984)을 수상했다.

 

  문학관에서는 이병주 문학의 기리는 다양한 행사가 펼쳐진다. 매년 ‘이병주 문학강연회’, ‘이병주 하동국제문학제’가 열린다. 이밖에 전국학생백일장 및 논술대회, 어린이 문학캠프도 개최해 체험의 장을 선사한다.

 

 

 

 

◎상세정보

 

주소 : 경남 하동군 북천면 이명골길 14-28 (북천면 직전리 231)

전화 : 055-882-2354

관람 :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휴관 : 매주 월요일과 설, 추석 명절

 

 

 

 

<끝>

 

 

댓글